d라이브러리
"약력"(으)로 총 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1. 톱쿼크 발견과학동아 l1996년 06호
- 다른 하나는 전자와 같은 경입자라고 불리는 것들이다.이 기본입자들은 전자기력 약력 강력 등의 힘에 의해 서로 결합해 핵과 원자들을 이루거나, 붕괴해 다른 입자들로 변하면서 우주의 만물을 이룬다. 이러한 소립자들을 정리하면 (표1)과 같다. 쿼크와 경입자는 각각 세쌍의 세대를 형성한다. ... ...
- 3. 대통일장 이론은 가능할까과학동아 l1996년 06호
- 왜 입자들의 질량을 알아낼 수 없을까입자물리현상론앞에서 말한 와인버그의 전기 약력이론은 이른바 이 분야의 '표준모형'으로 많은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아직도 여러 미해결의 문제들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는 것이 현재 고에너지 입자물리학의 당면과제다. 표준모형도 ...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과학동아 l1996년 02호
- 국방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 천길성 사고의 전환을 제시한 KAIST천길성(55) 박사의 약력은 다른 KAIST졸업생에 비해 특이하다.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월남전 참전을 포함한 10여년간을 전방에서 현역군인으로 복무하다 KAIST 2기로 입학했다. 그래서 같이 입학한 동기생에 비해 9살 정도 나이가 많은 ... ...
- 김환기 CD화집 영원의 노래과학동아 l1995년 12호
- 슬라이드 감상의 4부분으로 구성됐다. 연보와 예술세계로 나뉜 작가코너에서는 그의 약력과 함께 12페이지에 걸친 김환기의 활동 경력을 보여주고 각계 인사들이 '인간 김환기'를 음성으로 전해준다.4백30여점이 수록된 작품코너는 시대별 주제별 매재별로 구분돼 쉽게 그의 작품 세계를 들여다 볼 수 ... ...
- 인터네트로 떠나는 우주여행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역대 로켓 계획과 셔틀계획에서 제작, 운용됐던 우주선들에 대한 기록과 승무원들의 약력 등의 자료를 얻을 수 있으며, 셔틀 각 부분의 구조와 사용법 등에 관한 참고자료도 찾아 볼 수 있다(NASA Hot Topics ; http://www.nasa.gov/nasa/nasahottopics.html).인네트로 보는 우주쇼 재방송최근에 일어난 가장 ...
- 톱쿼크 발견 임박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쿼크다.이중 쿼크는 검출기에서 제트(jet)라는 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나 중성미자는 약력에 의해서만 작용하기 때문에 다른 물질과 거의 상호작용을 일으키지 않아 검출기에 검출되지 않는다. 충돌로부터 생성되는 불안정한 입자들은, 붕괴 후의 안정한 입자들의 궤적, 운동량, 에너지, 그리고 위치 ... ...
- 식물, 왜 '근친혼' 싫어하나과학동아 l1994년 05호
- 생산을 통해 21세기 농업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배현숙 박사 약력83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물공학과 졸업. 91년 미국 코넬대에서 초파리 연구로 박사학위. 펜실베니아 주립대 카오 박사 연구실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면서 식물의 자가불화합성 연구.이 연구성과는 지난 2월 1 ... ...
- 신비의 입자 톱쿼크 발견 임박과학동아 l1993년 06호
- 것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면 바텀쿼크는 스트레인즈나 다운과 마찬가지로 약력 강력 전자기력에 반응하면서도 그 질량은 스트레인즈의 25배, 다운의 7백배다.이 입자의 질량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여러가지 이론이 제기됐는데 가장 간단한 것은 힉수기구. 만약 톱쿼크의 질량을 정확히 ... ...
- 5. 87㎞돌아 입자를 충돌시키는 SSC과학동아 l1993년 02호
- b쿼크를 FNAL에서 찾았다. 또한 전자기적 상호작용과 약한 상호작용을 통합한 전자기 약력 상호작용의 매개체인 W와 Z˚입자들을 CERN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이렇듯 많은 실험들이 가속기를 바탕으로 진행되어 왔고 이 실험결과들을 집대성한 이론이 오늘날의 표준모형이론(standard model)이다 ... ...
- 인플레이션이란?과학동아 l1992년 10호
- 고온에서 하나로 융합되었던 자연계의 네가지 힘, 즉 중력 강력 전자기력 그리고 약력이 우주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차례로 두개 세개 네개의 '구분' 가능한 힘들로 상전이를 말한다. 이 상전이의 결과로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에 앞에 말한 네개의 구분가능한 힘들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 ...
이전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