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월간지
매월
d라이브러리
"
월간
"(으)로 총 158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보에 날개를 단 무선단말기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짝사랑의 환희에 젖어있는 영문과 3학년 여대생 소은과 아마추어 무선통신의 매력에 흠뻑 빠져있는 광고창작과 2학년 남학생 지인. 개기월식이 일어나던 어느날 밤 전혀 불가능한 일이 마술처럼 일어나, 두사람은 21년이라는 긴 시간의 터널을 초월해 무전기를 통해 우연히 서로를 알게 된다. 이때 ... ...
전세계 정보감시망 에셜론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존재한 빅브라더를 가능케한 감시시스템, 그것이 현존하는 에셜론이다. 1988년 8월 영국
월간
지 ‘뉴 스테이츠먼’에 ‘누군가 엿듣고 있다’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다. 1980년부터 에셜론을 추적하기 시작한 탐사보도 전문기자 던컨 캠벨의 기사였다. 이 기사로 인해 에셜론은 전세계에 알려지게 ... ...
인터넷 집장만 10분이면 뚝딱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인터넷 시대에 E메일 하나 없으면 넷맹으로 통한다. 그런데 요즘에는 홈페이지를 갖추고 있어야 네티즌으로 대접받는다. 어떻게 하면 인터넷에 나만의 집을 장만할 수 있을까. 인터넷을 여행할줄만 알면 초보자라도 홈페이지를 쉽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있다.올해로 중학교 2학년생인 최정민. 컴퓨 ... ...
태백으로 떠나는 화석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화석은 과거 생물들의 타임캡슐. 그 안을 들여다보면 수억년 전의 일도 어제의 일처럼 생생하게 되살아난다. 누구나 쉽게 화석을 찾을 수 있는 '돌멩이 반 화석 반'의 고장 태백을 소개한다.'화석'하면 보통 외국의 책이나 전시장에서 보는 크고 화려한 것을 떠올리고. "우리나라에는 왜 이런 것이 없 ... ...
월척도 과학으로 낚는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생명과의 씨름. 무더위를 잊는 방법 중에서 낚시를 백미로 꼽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그러나 낚시를 감(感)과 경험으로만 한다고 생각하면 오산. 월척을 건지려면 최소한 물고기의 생태를 잘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쉽고 재미있는 낚시의 과학을 붕어낚시를 통해 알아보자.해마다 여름이 되면 댐이 ... ...
3. 미래의 달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이용해 지구로 전송하는 발전소)와 더불어 영구달기지의 건설을 꼽았다. 1997년 11월 격
월간
지 ‘더 퓨처리스트’에 발표된 조지워싱턴대학의 예측에 따르면 영구달기지가 들어설 시기는 2028년, 그 가능성은 55%였다.일찍이 영구적인 달기지를 체계적으로 연구한 학자가 있다. 바로 독일 출신의 미국 ... ...
유령은 왜 나타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보통 청각으로 들을 수 없는 음성을 전자장치로 녹음하는 것을 가리킨다.EVP는 1920년 과학
월간
전문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서 토마스 에디슨에 관한 기사를 게재하면서 처음으로 대중의 관심사가 된다. 발명왕 에디슨이 죽은 사람과의 대화에 사용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중이라고 주장한 ... ...
② 정보통신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있는 북한 잡지와 통일원 웹사이트에 띄운 자료, 그리고 북한연구소에서 발간하는
월간
지 ‘북한’이 도움이 됐다.김정일이 선물한 닌텐도 게임기북한은 일찍부터 컴퓨터에 관심을 보였다. 1960년대 말 이미 ‘전진-5500’이라는 디지털 컴퓨터를 만들었지만 산업화는 이루지 못했다. 그후 1982년 ... ...
컴퓨터 파일복구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컴퓨터를 쓰다보면 무심코 중요한 파일ㅇ르 지우는 실수를 범한다. 그럴 때 필요한 것이 파일복구기술이다. 어떻게 하면 쉽게 파일을 복구할 수 있을까.최근 이종기 변호사의 수임비리사건으로 온 나라가 시끌벅적했다. 아직 수사가 종료된 것은 아니지만 경찰, 검사, 판사 등이 뇌물을 받은 것으로 ... ...
② 네티즌과 즐기는 신나는 게임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예나 지금이나 컴퓨터와 가장 빨리 친숙해지는 길은 게임을 하는 것이다. 게임은 컴퓨터의 특성은 물론 최근 발전하고 있는 신기술을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네티즌 사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네트워크 게임과 다시 고개를 드는 복고풍 에뮬레이터 게임들을 알아보자.PC를 사용하면서 가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