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공환경"(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일상에서 찍히는 디지털 탄소발자국을 따라가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디지털 탄소발자국’은 디지털 기기와 서비스의 생산과 소비,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뜻한다. 디지털 탄소발자국은 어디서 어떻게 찍힐까. 과학동아 신입 기자 수린의 하루를 따라가며 디지털 탄소발자국의 흔적을 추적했다. 첫 번째 탄소발자국은 데이터 센터에서 2 ... ...
- [특집] 만화가 AI로 영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일본 만화의 신이라 불린 故데즈카 오사무(1928∼1989) 작가의 신작 이 사후 31년만에 발표됐어. 후배 작가들과 AI(인공지능)의 협업으로 탄생했다는 소식에 화제가 됐지. 그런데 우리나라에도 AI로 영생을 꿈꾸는 작가가 있다는데? 이현세 작가, AI에 만화 기법 전수한다!지난 10월, ...
- 2mm 캡슐이 만들어낸 커다란 도약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미국 에너지부 산하 국립점화시설(NIF)이 핵융합 반응을 만들어냈다. 이전과 달랐다. 투입된 에너지보다 생산된 에너지가 더 컸다. 순에너지 생산이다. 순에너지 생산은 그동안 왜 어려웠을까. NIF는 어떻게 순에너지를 만들었을까. 2mm 캡슐이 터지며 만들어낸 에너지가 연구자들에겐 이정표를, 인류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배아 착상을 모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정자와 난자가 만나 만들어진 포유류 수정란은 연속적인 난할(수정란의 분할)을 통해 여러 개의 세포로 나뉘어 ‘배반포(blastocyst)’를 만듭니다. 배반포는 태아가 될 부분인 배아줄기세포와 태반이 될 영양막줄기세포로 이뤄져 있습니다. 성숙된 배반포가 엄마 자궁에 착상한 뒤 배아로서 잘 자랄 ... ...
- [5년 후, 과학은] 의생명과학과 공학의 경계, 조직공학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공학(Engineering)’이라고 하면 흔히 전자공학, 화학공학 같은 정통 공학 분야를 떠올릴 텐데요. 공학의 영역이 인간의 몸, 그 안의 장기와 조직들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인간을 구성하는 세포를 재료로 원하는 조직을 만들고 고치고 강화하는 ‘조직공학’ 이야기입니다. 이 분야는 2006~2020년 전 세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넌 다리가 몇 개니? 귀뚜라미 로봇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뜨끈한 전기장판에 누워 있던 섭섭박사님은 갑자기 다리가 많은 곤충이 부럽다고 말했어요. 그게 뭐가 좋냐고 하자, 다리가 많으면 얼마나 편리한지 보여주겠다고 하셨죠. 그런데 이 귀뚜라미 로봇의 다리 개수가 …, 8개?! 만들어 보자!지그와 와셔를 활용해 로봇 이번 메이커에서는 귀뚜라미 ... ...
- [뉴스&인터뷰] 3D 프린터, 우주 개척에 날개를 달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바야흐로 우주 개척 시대다. 미국은 지난해 50년만에 유인 달 착륙 프로젝트를 재개했고,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는 화성 탐사용 거대 로켓 ‘스타십’의 첫 궤도 시험 비행을 2023년 1분기에 계획하고 있다. 이들의 목표는 과거처럼 단순히 우주에 진출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우주에 사람이 살 수 ... ...
- [커리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안성천의 생물다양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일대 약 415만m²(126만평) 규모로 지어지는 차세대 첨단 반도체 생산 기지다. 국가 버팀목 산업인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대기업-중소기업이 상생하며 건전한 산업경쟁력을 갖추려는 목 적으로 설립된다. SK하이닉스가 약 120조원을 ... ...
- [특집] 900만명 먹을거리 어떻게 해결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더 라인에서는 서울 전체 인구에 맞먹는 900만 명이 살아갈 예정입니다. 이들은 모래 사막 한가운데 위치한 더 라인 내에서 자급자족할 예정이죠. 어떻게 먹을거리를 조달할까요? 동식물도 ‘공장’에서 키운다!더 라인에서는 먹을거리를 수직으로 설계된 스마트팜에서 생산할 예정입니다. 스 ... ...
- [가상 인터뷰] 우주에서 태양광 발전을! 솔라리스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여기는 20XX년 미래의 지구. 사람들은 친환경 에너지 발전 시스템 구축에 성공했어요. 일리 특파원이 과거로 돌아가 친환경 에너지 발전 시스템을 개발한 유럽우주국(ESA) 연구원을 취재했습니다. ESA의 친환경 에너지 기술이 뭔가요? ‘솔라리스’ 프로젝트는 우주 공간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 시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