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계"(으)로 총 729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하나와 산소 두 개가 결합한 이산화탄소(CO2)가 아닌 탄소 하나에 산소 4개가 결합한 CO4 등 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화합물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물질들이 만들어진 뒤 어떻게 변하는지 불과 1초 안에 일어나는 과정까지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연구자가 좋은 아이디어만 있으면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흐리는 이차적인 능력으로 간주했다.‘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명제의 붕괴인간이 자연계의 다른 존재와 구별되는 특권적 지위를 갖고 있다는 생각은 우리에게 결코 낯설지 않다. 근대 과학 혁명의 여명기에 살았던 프랑스의 철학자 르네 데카르트(1596~1650년)는 세계를 구성하는 독립적인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서로 얽히고설켜 하나의 요소만 떼어내도 그물망 전체가 기능을 하지 못한다. 그러니 자연계에 존재하는 게놈에서 유전자를 하나씩 없애는 방식으로는 최소유전자를 확인할 수 없다. 반대로, 생명체의 설계단계부터 다시 시작하는 게 낫다. 이런 배경에서 나온 것이 합성생물학이다 ...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만드는 데 있지는 않다. 다만 유전자 전체를 새롭게 설계하고 직접 제조함으로써 자연계에서는 전혀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생명체를 만들어낸다는 점에서는 합성생물학과 맥이 닿는다. 영화 제목인 스플라이스(splice)는 유전공학에서 ‘서로 다른 유전자를 이어 붙인다’는 뜻으로 쓰이는 용어다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 기체는 이후 ‘질소’로 불리게 되었답니다.질소는 대기 중에 78%를 차지하고 있으며, 자연계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원소예요. 과자를 포장할 때도 질소를 쓰지요. 그 이유는 음식물이 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예요. 음식물을 실온에 보관하면 지방이 산소와 반응해 맛이 변하고 미생물이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입자물리학 분야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전망했다. 입자물리학에서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네 가지 힘인 중력과 전자기력, 약한 핵력, 강한 핵력이 우주초기에 통합돼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표준모형’이라는 이름으로 중력을 뺀 나머지 세 힘을 통합적으로 ... ...
- [Tech & Fun] 다윈의 특별한 어려움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일어나지만 때때로 개체보다 더 높은 집단 수준에서도 일어난다. 그러므로 협력이 자연계에 흔하다 한들 그다지 호들갑을 떨 일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제 인간의 숭고한 이타심과 헌신조차 자신의 이론으로 매끄럽게 설명할 길이 열렸음을 다윈은 놓치지 않았다. ‘종의 기원’이 출간된 지 10여 년 ... ...
- [News & Issue] ‘꽉 찬’ 주기율표 새로운 화학 문 여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못했다.0.0002초를 위한 12년113번 원소는 원자량이 매우 큰 초중 원소(superheavy element)다.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고, 두 종류의 원자핵을 충돌시키는 핵융합을 통해 합성된다. 하지만 원소 그대로 존재하는 시간이 0.0002초에 불과해 직접 관찰하기는 매우 어렵다. 때문에 알파붕괴된 횟수와 붕괴로 생성된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폭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라늄-235가 90% 이상인 고농축 우라늄이 필요하다. 하지만 자연계에 존재하는 우라늄의 99% 이상은 우라늄-238이다. 때문에 기체원심분리법을 통해 자연 우라늄에서 우라늄-235를 농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미국 정부가 기술적 장벽으로 꼽은 부분도 바로 이 부분이었다. 194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정도로 어렵지만, 한번 깨달으면 그 아름다운 모습에 감탄할 수 밖에 없다.물리학자들은 자연계의 4가지 힘, 즉 중력과 전자기력, 약력 그리고 강력을 결국에는 통일된 물리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입자들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의 세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더욱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