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으)로 총 3,731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 어디에나 붙는 게코파워!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행성 중에서도 탐사 난이도가 아주 높아요. 공전 속도가 초속 48km로 태양계 행성 중 가장 빠르기 때문이지요. 수성의 급격한 온도 변화도 견뎌야 합니다. 인류가 수성에 정착하려면 또 어떤 한계를 넘어야 할까요?지구에서 우주로 로켓을 발사하려면 아주 많은 양의 연료가 필요합니다. 그러다 보니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미디어 속에서 소확행하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SNS에서 새로운 친구를 사귀는 것도 행복을 줍니다. 미디어는 사람들이 모이는 거대한 광장과 같아요. 온라인 커뮤니티, SNS, 온라인 게임 등에서 새로운 사람들과 만나고 친밀한 관계를 만들다 보면 소속감과 안정감을 얻을 수 있지요. 하지만 온라인에서의 모습이 그 사람의 진짜 모습과 다를 수도 ... ...
- [똥손 수학체험실] 분수로 만드는 바닷속 세상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클 것 같지만, 사실 두 수의 크기는 같아요. 위 색종이의 칸을 비교해 보세요. 색종이 한 장을 1/2로 나눈 것과 3/6으로 나눈 것의 크기가 같지요? 3/6은 1/2의 분모와 분자에 각각 3을 곱한 것일 뿐, 두 수의 크기는 같아요. 이처럼 분수는 분모와 분자에 0이 아닌 수를 똑같이 곱해도 그 크기가 늘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몸에 악성 종양이 생기면 이를 제거하기 위한 외과 수술을 받는다. 큰 수술일수록 절개해야 하는 부분은 넓어진다. 그만큼 수술 이후 회복하기까지 시간도 오래 걸린다. ... 의사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 그리고 여러 분야의 사람을 만나 함께 발전시켜 가는 연구라는 점이 가장 보람됩니다 ... ...
- [이달의 과학사] 1667년 6월 15일, 인간에게 첫 수혈,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6월 15일, 프랑스 루이 14세의 주치의였던 장 밥티스트 드니에 의해 처음 이뤄졌습니다. 장 밥티스트 드니는 사람이 아닌 양의 피를 고열에 시달리던 15세 소년의 정맥에 수혈했어요. 이 소년은 수혈 후에도 살아남았지요. 이후 몇 차례 더 수혈 치료가 시도되었는데, 일부 환자가 수혈 후 사망하자 ... ...
- 질문하면 답해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피아노의 뚜껑을 열고 건반을 눌러 보세요. 그럼 건반마다 연결된 ‘해머’라는 장치가 현을 때리는 동시에 현을 들어 올리는 걸 볼 수 있어요. 이렇게 들어 올려진 현은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면서 진동해요. 그 결과 특정 진동수에 맞는 피아노 소리가 들리지요. 이렇게 해머로 현을 치며 ... ...
- 위로와 희망이 공존하는 실패 나눔의 장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이게 신의 한 수였지요. 30년간 연 평균 수익률이 30%대였고, 2021년 세계에서 가장 큰 헤지펀드 회사 중 하나가 됐습니다. 목표한 대학교 입학하지 못했지만하룻밤 만에 수학계 대표 난제 증명한 군론의 아버지 1830년대 초 프랑스 수학자 에바리스트 갈루아는 목표했던 대학교인 프랑스 에콜 ... ...
- [한 장의 과학] 서남극 빙붕의 돌이킬 수 없는 미래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영역으로 꼽힌다. 특히 아문센해의 빙붕이 녹을 경우, 남극 전역의 해수면 상승에 가장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아문센해의 빙붕이 인간이 어떻게 해도 이미 돌이킬 수 없을 지경에 이르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0월 23일, 케이틀린 노턴 영국 남극연구소(BAS) 연구원이 이끈 ... ...
- [최신 이슈] 70년간 독도경비대원 괴롭힌 흡혈곤충의 정체, 모기점등에모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신종과 미기록종을 발굴하는 과정을 “인류 지식의 끝에서 지식을 한걸음 한걸음 확장해 가는 과정”이라고 표현했다. 독도점등에모기가 신종임을 밝혀내기까지는 우여곡절이 많았다. 시작은 생물다양성생태학연구실의 지도교수인 배연재 교수의 ‘직감’이었다. 배 교수가 독도에서 채집해 온 ... ...
- [기획] 실패 이야기의 효능: 위로, 용기, 또는 재미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명색이 ‘스탠딩 코미디’인데, 두고두고 기억날 만한 ‘썰’도 있어야 하겠죠. 이찬민(KAIST 산업 및 시스템공학과 학사과정) 씨는 지난 7월, 첫 해외 음악 페스티벌 참가의 꿈 ... 좋겠습니다. 다들 비슷한 실패, 비슷한 고민으로 고통받는다는 사실을 통해 위로받을 수 있는 장이잖아요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