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서"(으)로 총 7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7화. 한국의 잊힌 국론 대가, 이임학수학동아 l2021년 05호
- 그의 다양한 업적을 인정한 프랑스의 세계적인 수학자 장 디외도네(Jean Dieudonne)는 그의 저서 ‘순수 수학의 파노라마(A Panorama of Pure Mathematics)’에서 군론이라는 역사적인 연구를 이끈 위대한 수학자 21명 중 한 명으로 이임학 교수를 꼽았을 정도입니다. 이 교수는 군론으로 수학사에 큰 업적을 ... ...
- 현실로 다가온 위기, 변화로 맞서는 대학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코로나19)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얻기도 했습니다. 허준 연세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는 저서 ‘대학의 과거와 미래’에서 “2013년과 2014년 국내외 주요대학들이 MOOC에 대한 환상과 두려움을 동시에 느꼈다”며 “한 학자는 MOOC로 인해 대학의 25% 정도는 문을 닫을 거라 예측했다”고 설명했습니다 ...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세포 살려내는 나노봇은 아직 요원한 꿈미국의 공학자 킴 에릭 드렉슬러는 1986년 발표한 저서 ‘창조의 엔진’에서 지금의 나노봇 개념을 처음 제시했다. 당시 드렉슬러는 분자 조립자(molecular assembler)라고 일컬었다. 이 책에서 꿈꾸는 나노봇은 고도로 프로그래밍돼 다양한 역할을 하고 ...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그런 과학자가 많지 않다.정 교수는 “외국에서는 교수의 정년보장(테뉴어) 심사 등에 저서나 강연 활동을 일정 점수로 인정해주는데, 아직 한국은 그런 제도가 부족하다”고 답했다.앞서 정 교수는 과학이 아주 재밌는 영화라 비유했지만, 과학은 ‘어려운 학문’이라는 편견에 쉽게 흥미를 가지지 ... ...
- [과동 키즈]잘 살고 있지? 지켜 줄 연구는 내가 할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013년 남방큰돌고래 제돌이 방류 사업 참여2018년 해양동물생태보전연구소(MARC) 결성저서 ‘저듸, 곰새기’ 출간2020년 MARC, 해양보호생물 보호보전 유공 장관 표창 ... ...
- 식물이 만든 독극물이라고요? 하지만 지금은 제 점심이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아편의 효과를 알고 활용했다. 기원전 3세기 초 그리스의 철학자 테오프라스토스의 저서에서 양귀비를 언급한 것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죽은 이에 대한 그리움을 잊기 위해 아편을 복용했고, 로마인들은 양귀비를 수면과 죽음의 상징이라고 여겼다.아편에 들어있는 알칼로이드 ... ...
- 재생에너지 ‘루키’ 수상태양광...물 속 생태계는 괜찮을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작은 구멍이 난 채로 식물성 플랑크톤을 채집해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했고, 지렁이 같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도 채집했다. 철새들도 찾아오는 시기에 맞춰 관찰했다. 하지만 종수와 개체수, 그리고 우점종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상태양광 시설이 생육장의 역할을 해서 ... ...
- [이달의 수학자] 뇌는 누구보다 자유로웠던 스티븐 호킹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스티븐 호킹은 과학 지식은 물론 과학, 수학의 대중화에 기여해 잊을 수 없는 유산을 남겼습니다.” 2018년 3월 14일 스티븐 호킹이 세상을 떠나자 스티븐 ... 했죠. 이번 기회에 이 영화를 감상하거나 우주의 역사를 통해 미래를 전망한 호킹의 저서 ‘시간의 역사’를 읽어보면 어떨까요 ... ...
- [매스크래프트] #9. 부산의 광안대교 현수교의 곡선은 현수선일까,포물선일까?수학동아 l2020년 09호
- 포물선이 아닐까 의심했어요. 이탈리아 과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1638년 발표한 저서 ‘두 개의 새로운 과학’에서 현수선은 포물선에 가깝다고 주장했어요. 지면과 곡선이 이루는 각도가 45° 미만일 때 곡선이 많이 휘지 않을수록 포물선에 가까워진다고 이야기했죠. 하지만 독일의 수학자 ... ...
- [한페이지 뉴스] 미래 식량문제, 바다가 답일까?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경제학자 토머스 맬서스는 1798년 출판된 그의 저서 ‘인구론’을 통해 미래 사회의 식량난과 인구증가의 한계를 경고했다. 2050년 전 세계 인구는 98억 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의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육류와 수산물 등 동물성 식품 생산량이 지금보다 최대 25% 증가해야 한다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