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가
증대
번식
확장
증진
증가액
d라이브러리
"
증식
"(으)로 총 782건 검색되었습니다.
2009년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주기적으로 유행하는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옮겨가는 과정에 쓰인다. HA 단백질은 바이러스가 세포에 붙도록 한다. NA 단백질은
증식
된 바이러스가 다른 숙주세포로 옮겨갈 때 기존에 감염된 숙주세포와 바이러스 입자 간의 결합을 끊어주는 역할을 한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유전정보를 RNA에 담아 놓은 RNA 바이러스다. ... ...
코로나19 팩트체크┃덥고 습하면 전파력 떨어진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그런데 코로나19는 다르다. 현재까지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기후 조건에 상관없이
증식
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5도 이상의 고온도 코로나19를 막을 수 없다”고 밝혔다. 평균 기온이 높은 아열대 국가에서도 코로나19 확진자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6월 11일 미국 ... ...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런 관점에서 제기된 가설 중 하나는 ‘세포퇴화설’이다. 세포퇴화설은 평범한 세포가
증식
과 같은 생명 현상을 다른 세포에 의지하게 되면서 이전에 필수적이었던 유전자를 점점 잃어 현재의 바이러스가 됐다는 가설이다. 이는 온몸에 수포를 발생시키는 천연두바이러스나 대상포진을 일으킬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그러다 특정 자극을 받거나 바이러스를 퍼뜨리기 좋은 환경이 되면 폭발적으로
증식
한다.일단 전파가 시작되면 바이러스의 최종 목표는 또 다른 숙주를 찾아 최대한 멀리 자손을 퍼뜨리는 것이다.호흡기 바이러스는 들어올 때와 마찬가지로 호흡기를 통해 자손을 퍼뜨리는 전략을 취한다. 포유류가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감염증(코로나19)의 치료제 후보물질로도 주목받고 있다. 항체 치료제는 바이러스의
증식
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환자를 치료하는 데도 쓰이지만, 감염을 예방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네덜란드와 독일 국제 공동연구팀은 2020년 5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코로나19를 유발하는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때문이다. 반면 단백질은 그 자체로 항원의 역할을 하면서도 다른 숙주로 감염되거나
증식
하지 않는다. 유일한 예외는 광우병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프리온(prion) 단백질뿐이다. 다만 면역반응 유도율은 단백질 백신이 세포전체 백신에 비해 조금 떨어진다. 항원만으로는 면역반응이 충분히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승인받았다. 다사다난한 백신 개발 비하인드 스토리는 현재 진행형이다. 최근에는
증식
과정에서 수시로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가 큰 도전 과제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경우 유행하는 유형을 일부 예측할 수 있는 것과 달리, 코로나바이러스는 같은 바이러스가 반복적으로 나타나지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일종인 JAK2-STAT3 경로에 의해서 시작된다. 이 경로에서 핵심이 되는 유전자는 과산화소체
증식
-활성화 수용체감마(PPARγ)란 이름을 가진 전사 인자인데, 이 전사 인자는 지방세포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데 중요한 아디포넥틴(adiponectin)*, 페리리핀(perilipin)* 등을 합성하는 유전자를 활성화시킨다 ... ...
코로나19의 창, 치료제...항바이러스제가 끌고 항체치료제가 쫓고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와 리토나비르(ritonavir)를 주성분으로 하는 칼레트라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의
증식
에 필요한 단백질분해효소를 억제한다.차오빈 중국 국립임상연구센터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칼레트라를 이용해 1월 18일~2월 3일 코로나19 치료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환자 199명을 두 ... ...
[과학용어 따라잡기] 기후(climate), 유전체(genome)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5호
평소 잘 보이지 않던 유전물질이 굵직하게 응축된 형태를 말해요. 생명체의 세포가
증식
할 때 나타나는데, 현미경으로도 관찰할 수 있어 유전물질의 형태 중 초기에 알려졌지요. 이런 염색체 전부를 가리키기 위해 윙클러는 용어 ‘게놈’을 만들었답니다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