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심야
한밤
미드나이트
야반
자시
자정
밤중
d라이브러리
"
한밤중
"(으)로 총 152건 검색되었습니다.
혜성, 스키장 밤하늘을 가로지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관측에 대단히 유리해진다.지구에서 볼 때 혜성은 태양의 정반대 편에 위치하므로
한밤중
에 하늘 높이 보이게 된다. 즉 고도가 높아진 혜성은 최상의 관측 조건을 제공한다. 하지만 단점도 있다. 혜성의 꼬리는 태양의 반대편으로 뻗기 때문에 지구에서 볼 때 혜성의 꼬리가 반대편인 우주 저편으로 ... ...
2004 엽기 노벨상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한밤에 청어가 방귀를 뀌는 까닭은 무엇일까. 화장실 유머가 아니다. 노벨상 시즌에 맞춰 재미있으면서도 엽기적인 연구에 주는 ‘이그노벨상’ 중 생물학상을 받은 주제다. 이그노벨상은 모두 10개 분야로 올해로 14회째다.생물학상은 청어가 밤에 방귀를 뀜으로써 ‘적의 등장’을 동료에게 알 ... ...
금성, 태양의 품속에 잠기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1백22년 전인 1882년 12월 6일이었다. 하지만 그날 우리나라에서는 이 현상을 볼 수 없었다.
한밤중
에 일어났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었던 금성일면 통과 현상은 이보다 8년 전인 1874년 12월 9일에 있었다.특이하게도 금성일면 통과 현상은 1백여년 간격으로 연달아서 두번씩 나타난다. 올해 ... ...
지구가 선사한 어린이날 선물,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개기월식이고 새벽에 서쪽하늘에서 일어난다는 것이다. 차이점이라면 지난번엔 월식이
한밤중
에 시작해 개기식이 끝날 즈음 달이 졌기 때문에 월식의 거의 전 과정을 볼 수 있었지만, 이번에는 새벽 무렵 시작해 달의 개기식이 한창일 때 달이 지므로 개기식을 끝까지 보기가 어렵다는 것이다.5월 ... ...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기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1일 경우 1백의 5제급근인 2512배만큼 차이가 난다 이 때 등급의 기준을 정하기 위해
한밤중
일정한 고도에서 볼 수 있는 북극 부근의 별 몇 개를 이용한다 이것이 북극광도계열 이를 기준으로 하면 일등성의 밝기는 1촉광의 빛을 107km 떨어진 곳에서 보는 밝기와 같다 그러나 이보다 밝은 별은 ... ...
3 새들의 사투리 방방곡곡 가지각색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그 이상한 소리의 주인공은 다름아닌 호랑지빠귀라는 이름의 새였다. 번식기 때 주로
한밤중
에 암수가 함께 다니며 높고 가느다란 소리를 내기 때문에 일명 귀신새라고도 불린다. 사람들에게는 이상하게 들리는 소리가 그들만의 짝짓기 신호였던 것이다.지구상에는 8천5백여종의 새가 있다. ... ...
어린 시절 꿈을 간직한 안드로메다은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살았고 훗날 죽은 후 밤하늘의 별자리가 됐다고 한다.가을이 되면 안드로메다자리는
한밤중
에 하늘 높이 떠오른다. 안드로메다자리는 페가수스자리의 북동쪽에 위치해 있다. 페가수스 사각형에서 보면 세번째 별인 안드로메다 베타별(β)을 지나 북쪽으로 다시 세번째 별인 누별(ν) 옆에 ... ...
주인 바뀐 렘브란트 작품 속 얼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오랫동안 교회로부터 금지돼 왔습니다. 16세기에 해부학을 혁신한 베살리우스는
한밤중
에 묘지에서 시체를 훔쳐야만 했습니다. 교황의 주치의였지만 그로서도 내놓고 해부를 하지 못했던 것이죠. 그러던 것이 데카르트의 심신이원론이 의학에 도입되면서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데카르트는 ... ...
숲에서 오감의 즐거움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비비거나 울림판 등으로 소리를 내는데, 이것은 교미를 위한 일종의 생존 수단이다.또한
한밤중
에 울어대는 개구리 소리는 번식기에 수컷이 암컷을 부르는 소리다. 허파로 들이 쉰 공기를 울음주머니 속으로 내뱉거나 울음주머니 속의 공기를 허파로 들이쉴 때 성대가 진동하면서 소리를 내는 ... ...
붉은별 화성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있는 두 행성 천왕성과 해왕성도 충의 자리를 지난다. 여름철에 외행성이 충이 되면,
한밤중
에 남쪽 하늘에 뜨고 거리도 가까워지므로 관측하기에 아주 좋다. 현재 물병자리에 있는 천왕성은 8월 25일 충을 맞이하는데 8월 30일 충이 되는 화성과 매우 가까운 위치에 놓인다. 이 무렵 천왕성은 화성에서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