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이크로폰
마익
월튼
키보드
알유진
요세프컴퍼니
요셉
뉴스
"
마이크
"(으)로 총 581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바이오게시판] 자가포식 단백질 'LC3B', 유전체 손상 복구 능력 최초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3.20
손상 복구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확인했다. 연구팀은 레이저
마이크
로 조사 시스템과 분자 생물학적 실험방법을 통해 LC3B가 핵 내 DNA-RNA 하이브리드와 상호작용을 통해 유전자 손상으로 인한 오류를 복구해 유전체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 ...
다리 괴사·절단 막는 ‘줄기세포 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4.02.25
확장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 책임연구원은 “연구팀이 개발한 콜라겐
마이크
로젤은 생체적합성이 우수해 임상 등 실용화 가능성이 매우 높은 바이오 신소재”라며 “의료현장에서 요구하는 투여 방법에 대한 기술 개발, 치료제의 명확한 작용기전 규명 및 타겟인자 발굴 등 후속 ... ...
[과기원NOW] KAIST, 흡연과 음주가 구강암을 촉진하는 새로운 기전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21
이 상을 수여한다. 2016년 지스트에 부임한 송영민 교수는 광자 구조 연구에 필요한
마이크
로 광학계/이미징 소자에 대한 연구를 이어오고 있다. 동물의 시각구조를 모사해 기존 카메라가 갖지 못하는 특수한 기능을 구현하는 데 주목하고 있다 ... ...
유전자 신호 따라 클러치 작동하는 스마트 나노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세포와 결합해 생체 신호를 기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질병 인자에 해당하는 특정
마이크
로 RNA 유전자가 존재하는 경우 클러치 나노로봇이 이를 감지하고 스스로 작동해 세포의 유전자 활성화를 유도한다. DNA 클러치는 20개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져 있어 무한대에 가까운 질병 인자를 감지하도록 ... ...
'젤리' 입자로 1000km 달리는 전기차 가능성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부피 팽창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그 결과 나노 실리콘 음극재에 비해 100배 큰
마이크
로 실리콘 입자(5μm)를 사용했음에도 구조적 안정성이 높아졌다.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기존 전지와 유사한 이온 전도도를 보이면서도 에너지 밀도는 약 40% 향상됐다. 연구팀은 "현재 바로 적용할 수 있는 ... ...
KAIST '전자 코' 기술, 2023년 10대 나노기술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3.12.29
센서의 수가 적은 만큼 전체 시스템 부피와 소모 전력이 감소했다. 박 교수는 "
마이크
로 LED 기반의 광원 일체형 가스 센서는 상온 동작이 가능하고 기존의 가열 방식 가스 센서에 비해 소모전력이 1000분의 1 이하 수준으로 초저전력 구동이 가능하다”며 “대기오염 모니터링, 음식물 신선도 ... ...
국민이 뽑은 2023 재료과학 기술 1위는 '암 조기진단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3.12.27
인공지능 기반 현장형 미세 플라스틱 검출 기술은 919표(23.5%)를 얻으며 3위를 차지했다.
마이크
로 스케일의 기공을 가진 종이필터 표면에 미세 플라스틱을 포집하는 나노 포켓 형태의 플라즈모닉 소재를 합성해 포집한 미세 플라스틱의 광학 신호를 증폭하도록 개발했다. 이외에도 총 10개의 ... ...
[과찬의 말씀] 인공 뇌 새 지평 연 과학자…"실험실 떠나 상용화 이루겠다"
2023.12.22
기술을 통한 바이오 인공 장기 생산 연구(2021~2023) - 간 조직 특이적 매트릭스와
마이크
로 디바이스를 이용한 간 오가노이드 생산 플랫폼 개발(2018~2022) - 3차원 장기(organ) 및 가상 장기 모델을 이용한 바이오의약품 안전성 평가기술 마련 연구(3)(2019~2021) NTIS 보러가기▶ (https://www.ntis.go.kr/ThMain.do ... ...
"나 지금 우울해?"…스마트폰 사용 패턴으로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3.12.21
연구를 설계했다.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문자 메시지 등 키보드 입력 내용과 스마트폰
마이크
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음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신건강을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러한 언어 데이터는 사용자의 민감한 정보를 담고 있을 수 있어 활용에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 ...
[과기원NOW] KAIST, 원하는 색깔의 '
마이크
로 LED 전사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2.19
접착력 전환성을 달성했고 다수의 진공 채널별 독립적인 진공 조절을 통해 대량의
마이크
로 LED 칩을 선택적으로 전사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지난달 26일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이재영 지구⋅환경공학부 교수와 정범균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