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민함
뉴스
"
민감함
"(으)로 총 1,377건 검색되었습니다.
첫 돌 이후부터 기억 쌓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생후 12개월이 넘은 아기는 자신이 본 것을 뇌에 저장하는 능력이 생기기 시작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람은 5살 이전에 겪은 일들을 거의 기억하지 못한다. 유아기 때 경험을 기억하지 못하는 현상을 ‘유아기 기억상실증’이라고 한다. 유아기 기억상실증은 당시의 기억이 머릿속에 저장 ... ...
혈중 산소 농도 아는 물범, 익사하지 않고 오래 잠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3.21
해양 포유류인 회색물범(학명 Halichoerus grypus). 물범은 잠수해서 먹이를 사냥하지만 숨은 물 밖에서 쉬어야 한다. 게티이미지뱅크 뛰어난 수영 선수인 해양 포유류 물범은 잠수해서 먹이를 사냥하지만 숨은 물 밖에서 쉬어야 한다. 물범은 혈중 산소 농도를 인지하는 능력 덕분에 익사하지 않고 잠수 ... ...
"美 민감국가 지정, 사용후핵연료재처리 연구엔 영향 미미"
동아사이언스
l
2025.03.21
모의 핵연료를 이용해 파이로프로세싱 공정을 실험해 볼 수 있는 시설.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올해 초 한국이 미국 에너지부(DOE) 민감국가 목록에 올랐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10년 넘게 한국과 미국이 공동연구를 진행한 파이로프로세싱 연구에 차질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파 ... ...
[동물do감] 뗏목 타고 태평양 8000km 횡단한 피지섬 이구아나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남태평양 피지섬 코코넛 나무 위에 있는 피지 크레스티드 이구아나(학명 Brachylophus vitiensis). Nicholas Hess 제공 남태평양 피지섬에 사는 이구아나들이 3400만년 전 북미 서부에서 나무조각 등 '뗏목'을 타고 태평양을 8000km 횡단해 정착한 사막 출신 이구아나의 후손이라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육상동물 ... ...
이창윤 과기 차관·출연연 "美 민감국가 지정, 협력에 아직 지장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이 19일 오후 대전광역시 유성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열린 '한-미 과학기술 협력 강화 연구기관 간담회' 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미국 에너지부(DOE)가 최근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것과 관련해 과힉기술정보통신부 및 DOE와 ... ...
"원자력발전소, 韓 최대 강점은 건설 시간 준수와 강력한 공급망"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19일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린 '2025 한-영 클린 에너지 워크숍'에서 피오나 레이먼트 영국 원자력연구소장이 인터뷰하고 있다. 한국공학한림원 제공 영국 원자력 전문가가 원자력발전소(원전) 분야 한국의 최대 강점으로 건설 시간 준수를 꼽았다. 또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원전을 반복 건설할 수 있는 ... ...
美 '민감국가' 원인 거론 원자로 관련 유출에 과기부 "확인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5.03.18
조태열 외교부 장관(오른쪽)이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해 회의 시작 전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대화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연합뉴스 제공 미국 에너지부(DOE)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것과 관련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산하기관에서 보안 문제가 발 ... ...
미국 '민감국가' 지정에 과기계 '직격탄'…원자력·AI 협력 위축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6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2025년 1월 9일 목요일 플로리다주 팜비치에서 열린 마라라고 공화당 주지사들과의 회의에서 연설하고 있다. AP 사진/에반 부치/연합뉴스 제공 미국 정부가 지난 1월 한국을 '민감국가 리스트'에 포함한 사실이 확인되면서 한미 간 첨단기술 협력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 ... ...
제주도 과거 건조? 4200년 전 한라산 흙으로 가설 뒤집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3.1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팀이 제주도 한라산 사라오름에서 퇴적층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 지질연 제공 국내 연구팀이 제주도 한라산의 4200년 전 흙을 분석해 당시 폭우의 증거를 밝혀내고 과거 제주도가 건조했을 것이라는 기존 가설을 뒤엎었다. 연구 결과는 제주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장 ... ...
심해 잠수정·우주선용 차세대 금속 소재 개발 '물꼬'
동아사이언스
l
2025.03.12
일본 양성자가속기연구단지 내에 있는 현장 중성자 회절 장비의 모습. 원자 배열 및 구조 변화를 분석하는 역할을 하는 장비다. 포스텍 제공. 대부분의 물질은 온도가 내려가면 쉽게 깨지고 취약해진다. 국내 연구팀이 일부 금속 합금이 오히려 낮은 온도에서 강해지는 이유를 규명했다. 포스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