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치
뉴스
"
병렬
"(으)로 총 140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한수학회 학술상에 박종일 서울대 교수·이창옥 KAIST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10.22
이창옥 교수는 유한요소법의 개발과 이를 이용해 문제를 풀 때 계산시간을 줄이기 위한
병렬
계산 방법을 개발했다. 최근에는 의료영상 등 영상 연구에도 기여하고 있다. 공로상 수상자로 선정된 이용훈 교수는 비선형 2계 상미분방정식 등을 연구했으며 대한수학회장을 역임하며 산업수학을 진흥한 ... ...
세계 최대 규모 실험으로 은하 형성과 진화 이론 가장 사실적으로 재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기존 슈퍼컴퓨터로는 수행하기 어려웠던 계산을 3개월간 7.5PF 규모에서 수행했다. 최적
병렬
화는 슈퍼컴퓨터에서 수천대의 컴퓨터가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코드를 개발해 어려운 문제를 빠르게 계산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람세스는 별이 마지막 진화 단계에서 폭발하는 현상인 초신성과 활동성 ... ...
꿈의 양자컴퓨터, 우주방사선 때문에 지하골방 신세 전락 운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현상을 활용해 0과 1 두 정보를 가진 채 정보를 처리한다. 동시에 수많은 정보를 처리하는
병렬
연산이 가능하다.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되면 오늘날 컴퓨터보다 수십만 배 빠르게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양자컴퓨터의 성능은 큐비트를 만드는 양자중첩 현상을 얼마나 ... ...
PC 3300대 성능 핵융합 연구 전용 슈퍼컴 '카이로스' 본격 운용
동아사이언스
l
2020.08.24
개인용 데스크탑 3300대에 해당하는 연산 능력을 갖고 있다. 코어는 424대로 2만여 개의
병렬
계산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카이로스는 국내에서 특정 연구를 전용으로 하는 가장 큰 규모의 슈퍼컴퓨터다. 이론 성능 기준으로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기상청에 이어 공공기관 중 세 ... ...
정확도 높고 자원 소모량 줄인 '양자컴' 오류수정 알고리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않은 상태로 정보를 처리한다. 이 때문에 동시에 수많은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빠른
병렬
연산이 가능하다. 큐비트는 자기장으로 가둔 이온이나 반도체, 초전도체 등을 이용해 물리적으로 구현한다. 큐비트는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취약한데, 이 과정에서 중첩 성질을 잃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 ...
KAIST,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 처리기술 'NVMe' 공짜로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4
교수 연구팀은 저장장치 중 하나인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의 데이터
병렬
입출력 처리를 하드웨어로 구현한 NVMe 컨트롤러 '오픈익스프레스'를 개발했다고 이달 4일 밝혔다. NVMe 기술은 빠른 입출력 장치에 특화된 데이터 전송규격이다. 기존 하드디스크 데이터 전송용으로 개발됐던 SATA ... ...
역사상 가장 정밀한 X염색체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5
‘인간게놈프로젝트’를 통해 처음 해독됐고, 이후 빠른 속도로 염기서열을 해독하는
병렬
해독기술인 NGS를 통해 비약적으로 빠르고 자세하게 해독되고 있다. 이제는 100만 원 이하의 비용으로 1주일 이내에 사람 한 명의 게놈을 해독할 수 있는 수준이 됐다. 하지만 이렇게 읽어낸 게놈은 완벽하지 ... ...
국내 연구진, 양자컴퓨터에서 AI 구현하는 알고리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7.07
있다. 연구팀은 학습데이터와 테스트데이터를 양자 정보로 생성한 뒤 양자 정보의
병렬
연산을 가능케 하는 기술과 양자 측정 기술을 조합해 양자 데이터 간 유사성을 효율적으로 계산하는 지도학습 구현이 가능한 양자 알고리즘 체계를 만들었다. 그런 뒤 IBM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실제 ... ...
대재앙 일어날 정확한 '그날'을 예언한다…난제 중 난제 '기후재앙' 막을 해법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3
기술을 융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뉴로모픽’은 인간의 뇌와 유사하게 정보를
병렬
로 처리해 적은 에너지로 많은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반도체다.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버려지는 에너지를 전기로 바꿔 쓰는 기술이다. 이 교수는 이종 구조의 흡수층을 만들어 태양전지가 태양 에너지를 ... ...
손톱보다 작은 '초소형 전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0
전지들은 실제 전자 부품이 작동할 때 온도인 80도 온도에서도 잘 작동했다. 연구팀은 “
병렬
이나 직렬로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어 소형기기 맞춤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집적회로(IC) 칩처럼 좁은 기판 위에 전지를 고밀도로 집적함으로써 공간 제약 없이 전지 성능을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