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1
일
싱글
혼자
독신
단위
단원
스페셜
"
하나
"(으)로 총 3,060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혼자서도 행복한 '자족감'이 중요한 이유
2024.03.23
모습을 보인다. 여기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
가 불안 애착(anxious attachment), 다른
하나
가 회피 애착(avoidant attachment)이다. 불안 애착은 흔히 사람들의 사랑을 원하지만 사랑을 받을 수 있을 거라는 자신감이 낮다. 따라서 사람들이 자신을 혹 싫어할까 항상 두려워하고 자신을 좋아해줄 것 같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행성 포식자' 흔하다…지구의 운명은
동아사이언스
l
2024.03.23
쌍 중 약 8%인 7쌍에서 두 별의 원소 구성 비율이 눈에 띄게 차이 났다. 연구팀은 "두 별 중
하나
가 행성 포식으로 성분 변화가 일어난 것"이라며 "두 별이 비슷한 행성을 동시에 먹었거나 암석 행성이 아닌 목성 또는 해왕성 같은 가스 행성을 먹은 경우를 제외했기 때문에 실제 행성 포식이 일어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이 잘 자라려면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
2024.03.20
가장 왕성하게 자라는 배경이다. 이런 현상은 여러 성장 신호 경로 가운데 영향력이 큰
하나
가 낮이 길 때만 스위치가 켜지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실체는 모르는 상태였다. 장일식물인 애기장대의 개화(flowering)와 성장(leaf growth)에 미치는 빛의 영향이 꽤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빛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비 511배 증가에 의사수 7배 늘어?…통계의 함정
2024.03.13
앞세운다. 실제로 숫자와 그래프로 표시되는 통계의 위력은 대단하다. 백 마디 말보다
하나
의 통계 숫자가 복잡한 현실을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다. 중구난방(衆口難防)처럼 보이는 복잡한 현실도 통계로 분석하면 누구나 인정할 수밖에 없을 정도로 분명한 특징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어린 별의 성장을 방해하는 자외선 바람
동아사이언스
l
2024.03.03
최초의 증거를 제시했다는 평가다. 연구팀은 "최근 태양계에 대한 연구들은 태양계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거대한 별들을 포함하는 항성단에서 형성됐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태양계 자체가 원자외선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광우병' 단백질 '프리온', 바이러스로 오인된 이유
2024.02.17
문제를 일으켰으므로 이러한 식인습관이 쿠루의 원인일 거라 생각되었다. 증거의
하나
로 쿠루 환자가 여성과 어린이들에게서 많이 나타났는데 이들이 뇌조직을 떼어 먹는 식인행사에 흔히 참여했기 때문이다. 가이듀섹은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의식으로 인해 쿠루가 계속 전파된다고 판단하고 195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나치게 파격적인 의대 증원
2024.02.14
미적분·기하와 과학을 선택하는 소위 ‘자연계열’ 학생들에게는 최상위권 대학이
하나
더 생기는 셈이다. IMF 이후에 본격화되기 시작해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른 ‘의대 쏠림’이 더욱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 이제 의대는 단순한 ‘쏠림’의 대상을 넘어서 교사·직장인은 물론 초등학생까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경계는
2024.02.07
질량 공백 가설이 흔들리고 있다. 태양의 2배에서 5배 사이 범위의 고밀도 천체가
하나
둘 보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질량 공백 가설이 완전히 폐기된 것은 아니다. 왜 그럴까. 2019년 8월 14일 검출된 중력파를 분석한 결과 각각 태양질량의 23배와 2.6배인 천체가 병합한 사건으로 밝혀졌다. ... ...
[과기원NOW] KAIST, 암과 루게릭병 등 난치성 질환 새로운 발병 메커니즘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6
특성을 자유롭게 제어하는 인공 나노 구조체인 메타표면을 사용해 빛이 특정 각도에서
하나
의 위상 정보만 나타내도록 했다. 입사각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가 구현됐다. 실험 결과 연구팀의 메타표면은 좌원편광에 대해 '+35도'와 '-35도'에서 서로 다른 입체 홀로그램 이미지를 생성했다. 연구 결과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
2024.02.04
보수적인 사람들이 반대 의견을 내는 것은 흔한 일이다. 반대론자들이 내세운 이유중
하나
는 ‘진화가 점진적으로 일어난다면 왜 특정 단계의 화석과 그 다음 단계의 화석 사이에 중간 화석이 존재하지 않는가’였다. 다윈의 진화론은 시간이 지날수록 처음보다 동조하는 이들이 많아져 165년이 지난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