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위
활동
행실
실행
동작
소행
태도
스페셜
"
행동
"(으)로 총 1,17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생명유지의 핵심, 뇌의 작은 방 '시상하부'
동아사이언스
l
2023.10.29
상호작용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짚었다. 공격적
행동
을 비롯한 반사회적인
행동
의 치료법의 단서가 시상하부에 담겨있다는 것이다. 안투안 아다만티디스 스위스 베른대 교수 연구팀은 시상하부가 수면리듬을 조절하는 방식이 아직까지 완전하게 규명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포유류가 ... ...
[일상 속 뇌과학] 보잘것 없는 생물도 배우고 기억할까
2023.10.27
새로운
행동
의 결과물을 낼 수 있다면 간단한 신경계를 가지고도 생존에 필요한
행동
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신경계가 단순하더라도 동물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효율적인 연합 학습 기능을 구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동물과 전혀 다른 구조와 기능을 갖춘 식물들을 어떨까. 이들도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기술개발인의 날 기념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0.25
주제로 뇌신경 발달과 정신질환, 외상성 스트레스가 뇌에 미치는 영향, 자폐 유전자의 뇌.
행동
과의 연결성 등 다양한 뇌신경과학 분야 최신 연구 동향이 소개된다.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김시환 전 부소장(현 유저스 기술연구소장)이 저서 '원자력 기술 자립 여정'을 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정적 생각을 '생각'할 줄 알아야 한다
2023.10.14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하고 목소리를 내어 스스로에게 이야기해 보았다. 별 것 아닌
행동
이지만 목소리를 내어 이야기해 보니 나를 계속해서 괴롭히던 것의 정체는 나의 생각임이 분명해지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내가 만들어 낸 생각과 현실을 조금 구분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 기저에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뒷담화'의 사회적 순기능
2023.10.07
타인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없는 우리는 자신이 쓴 색안경이나 오해로 인해 타인의
행동
을 실제보다 더 부정적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따라서 정의를 실현하겠다고 어떤 이에 대한 험담을 잔뜩 했지만 실상을 알고보면 내가 틀린 경우 또한 적지 않다. 때문에 많은 이들이 이미 가십을 어느 정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갈수록 더워지는 지구, 인간의 한계는
동아사이언스
l
2023.10.01
언제 어떻게 닥칠지 예상하는 것 뿐이라고 설명한다. 기후변화는 동물과 인간의
행동
뿐만 아니라 온도, 습도, 강우패턴에 영향을 미치며 각각의 요인들이 또 다시 각 질병에 대해 다른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실천 없는 '무지성' 믿음은 해롭다
2023.09.23
않아서 잘 안 된 거라고 생각하고 마는 것은 실패의 진짜 원인을 찾아서 해결하는
행동
과도 거리가 있어 보인다. 오직 자신이 하면 잘 될 거라는 믿음 하나로 단 몇 달 만에 별 다른 준비도 없이 시작했다가 현실이 예상과 너무 다르다며 곤혹스러워하던 사람을 본 적이 있다. 별 다른 준비도 없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오랜 이론 무색한 '기후 위기' 우려
2023.09.16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지킬 수 있다는 믿음이다. 손을 씻거나 주사를 맞는 작은
행동
으로 나보다 약한 사람들을 지켜낼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을수록 공중보건을 위협하는 요소들이 줄어들고 실제로 더 많은 사람들이 보호받는 안전한 환경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후 위기 또한 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피곤하면 왜 몸이 무겁게 느껴질까
2023.09.06
몸이 무겁게 느껴지는 게 몸의 피로도를 나타내는 신호이고 그 결과 자연스럽게 쉬는
행동
을 하게 된다. 그렇다면 결국은 모든 게 심리적 현상이란 말인가. 설사 그렇더라도 가볍게 볼 일은 아니다. 우리 몸은 심리의 변화를 반영한 생리적 반응을 보이기 때문이다. 앞서 의족의 예도 심리적으로만 ... ...
[일상 속 뇌과학] 내 기억이 내 아이에게 유전될 수 있을까?
2023.08.25
충분한 먹이가 주어진 환경에서 성장해왔기 때문에 특정 냄새 자극에 대한 회피
행동
은 부족한 먹이에 의한 대사 변화나 스트레스에 의한 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했을까. 역시 예쁜꼬마선충의 후성유전학적 메커니즘이 학습에 의해 작동하였기 때문이었다. 유전자 발현에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