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1"(으)로 총 10,076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은 글로벌 연료전지 테스트베드동아사이언스 l2016.02.24
- 자동차는 서 있을 때 10kW 발전을 할 수 있는데, 만일 10만 대가 모인다면 원전 1기(GW급)의 발전이 가능하다. *본 콘텐츠는 녹색기술센터에서 발행한 8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2016.02.23
- 허용한다는 내용이었다. 게놈편집은 학술지 ‘사이언스’의 2015년 10대 뉴스에서 당당히 1위로 뽑힌 혁신적인 생명공학기술로 소위 ‘유전자 가위’로 불리기도 한다. 게놈편집이 이렇게 높이 평가되는 이유는 게놈에 ‘흔적’을 남기지 않기 때문이다. 즉 작물이나 가축의 특정 유전자를 바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2016.02.13
- 이어지는 업그레이드 작업에 박차를 가하게 됐다. 참고로 이번 진짜 중력파 사건은 ‘GW150914’로 명명됐다. 라이고 업그레이드 작업이 마무리되던 2014년 7월 17일자 ‘네이처’에 실린 탐방기사(리빙스턴 라이고)를 보면 라이고 프로젝트에 오랫동안 참여하고 있는 칼텍의 스탠리 휘트콤 교수의 ... ...
- 삶을 압축해 놓은 작은 공간, 큐브(Cube, 1997)IBS l2016.02.03
- 큐브에는 많은 숫자들이 등장한다. 먼저 영화 설정 상 정육면체의 방은 26×26×26개, 총 1만 7576개로 구성돼 있다. 여기에 등장하는 26은 바로 영문 알파벳의 글자 수를 의미한다는 설명이다. 김 연구위원은 큐브가 세계를 표현한다고 말했다. “누군가는 26×26×26개의 큐브를 갇힌 세계로 표현하기도 ... ...
- 로또 1등 명당에서 사면 정말 로또에 당첨될까2016.02.02
- 등 명당’ ‘1등 나온 곳’ 등 다양한 홍보 문구가 붙어있다. 그리고 다양한 후기에서 ‘1등이 나온 자리에서 또 나온다’ 같은 근거는 없지만 어째선지 믿고 싶은 이야기가 나온다. 그렇다면 이쯤에서 다음의 질문에 응답해 보자. 여러분은 뭔가 ‘믿는 구석’이 있는가? 아니면 그런 거 없이도 ... ...
- 레이저가 보여주는 전자들의 흔적을 찾아IBS l2016.02.02
- 있으면 이들이 노벨상을 수상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아토는 10-18으로 펨토의 1000분의 1이다. 윤 연구위원의 설명에 따르면, 아토과학은 아토초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연구하는 분야다. 예를 들어 원자 내에서 전자가 움직이는 것(즉 전자 동력학)이 여기에 해당한다. 그는 “전자가 아토초에서 ... ...
- 바이오 마커, 질병 진단에서 개인맞춤의학까지IBS l2016.02.01
- 혈관 연구단장(KAIST 특훈 교수)은 혈관이 생성을 촉진하는 단백질인 ‘콤프 앤지원(COMP-Ang1)’을 개발해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콤프 앤지원은 혈액 내 단백질을 새롭게 디자인해 만든 것으로 물에 잘 녹고 응집이 잘된다. 이 물질을 사용하면 혈관 생성이 촉진돼 상처가 더 빨리 아물게 된다. ... ...
- 원자력 규제도 고객 중심이 가능할까?2016.01.28
- 만들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 2008년 서비스가 시작된 이래 현재까지 NEPS를 통해 약 1만여 건의 업무가 처리됐다. 지난해에는 사전 판정 프로세스를 거친 것만 2,700개가 넘는다. 신동훈 실장은 올해에는 5,000건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현재 정부에서 노력하고 있는 원전 수출 영업이 ... ...
-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2016.01.25
- 감염이 되지 않는다는 말이다(물론 환자의 피를 수혈하면 감염된다). 그런데 2011년 학술지 ‘신종감염질환’에 모기 매개 질환의 사람 간 감염의 첫 사례를 보고한 논문이 실렸다. 바로 지카바이러스다. 2008년 의학곤충학자 브라이언 포이(오른쪽)은 말라리아 연구를 위해 세네갈을 찾았다가 ... ...
- 꽃처럼 아름다운 눈결정에 담긴 비밀2016.01.18
- 자라 평형상태가 유지되므로 육각형 박판이 커지기만 한다. 반면 영하3도에서 영하10도의 육각기둥 또는 육각바늘 형태의 눈결정 생성은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얼굴이 똑같은 사람이 없듯이 눈결정도 다 다른 이유는 구름에서 눈결정이 만들어질 때(보통 수십 분이 걸린다) 대류에 따라 ... ...
이전8968978988999009019029039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