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
엔진
기기
기계
숨통
숨구멍
공공기관
뉴스
"
기관
"(으)로 총 10,236건 검색되었습니다.
임신 테스트 하듯 노로바이러스 검사한다
2016.05.24
연구를 계기로 시장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다른 정부출연연구
기관
과 융합연구를 통해 지카 바이러스,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뎅기열 바이러스에 대한 고감도 검출 장치 개발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츠’ 13일자에 ... ...
1학급 1과학동아 과학자 기부 릴레이 13호
동아사이언스
l
2016.05.23
동아사이언스가 과학기술 정부 출연 연구
기관
과학자들과 함께 전국 초중고교와 소외 지역 공부방 등에 연말까지 과학 잡지를 보내 주는 ‘1학급 1과학동아’ 캠페인을 벌인다. 특히 과학자들의 자발적인 기부 릴레이가 더해지고 있다. 1학급 1과학동아 과학자 릴레이 캠페인의 ‘13호’ 기부 ... ...
당신의 이력서, 휴지통으로 직행? 문제는 이것!
2016.05.23
10년 가까이 일하고 있다. 대기업에서 스타트업, 외국계 기업에 인재를 추천하며, 공공
기관
면접관으로도 활동중이다. 경력이나 스펙에 앞서 '사람'이 먼저 라는 신념으로 업무에 임한다 ... ...
1학급 1과학동아 과학자 기부 릴레이 12호
동아사이언스
l
2016.05.19
동아사이언스가 과학기술 정부 출연 연구
기관
과학자들과 함께 전국 초중고교와 소외 지역 공부방 등에 연말까지 과학 잡지를 보내 주는 ‘1학급 1과학동아’ 캠페인을 벌인다. 특히 과학자들의 자발적인 기부 릴레이가 더해지고 있다. 1학급 1과학동아 과학자 릴레이 캠페인의 ‘12호’ 기부 ... ...
드론-무인車-초소형전기차… 미래 新산업 장벽 모두 허문다
동아일보
l
2016.05.19
한 달 단위로 허가를 받아야 하지만 앞으로는 6개월마다 허가를 받으면 된다. 여러
기관
으로 분산돼 불편했던 비행 승인, 항공 촬영 허가 등 각종 신청은 온라인으로 일원화된다. 7월 중에는 비행금지구역을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응용프로그램)을 배포할 예정이다. 국토부 ... ...
암-발달 장애 관여하는 단백질 확인
2016.05.18
역할을 하는 ‘14-3-3’ 단백질을 발견했다. 이 단백질이 부족하면 두뇌와 날개 등 주요
기관
성장에 심각한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 교수는 “14-3-3 단백질은 사람에게도 존재하기 때문에 추가 연구를 통해 유사한 조절 기작이 확인된다면 토르 신호전달체계 이상으로 생기는 암과 발달 ... ...
방울뱀 허물로 스스로를 보호하는 다람쥐
2016.05.18
보낸다는 것을 발견했는데요. 뱀은 사냥할 때 주로 머리에 있는 ‘핏’이라는 감각
기관
으로 열을 감지해 먹잇감의 움직임을 파악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다람쥐는 방울뱀의 이러한 감각을 역으로 이용해 방울뱀이 가장 민감하게 감지하는 적외선을 꼬리에서 내보내며 방울뱀을 혼란스럽게 한다는 ... ...
[병역특례제도 폐지 후폭풍] 과학기술계 반응 긴급 취재
2016.05.17
좋은 학생을 구하기가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출연연구
기관
운영에도 타격이 생길 전망이다. 출연연 연구 인력에서 대체복무제도로 유입되는 인력은 5~10%를 차지한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한 수석연구원은 “군 복무를 하는 대신 출연연에서 연구하며 기술을 ... ...
1학급 1과학동아 과학자 기부 릴레이 11호
동아사이언스
l
2016.05.17
동아사이언스가 4월 ‘과학의 달’을 맞아 과학기술 정부 출연 연구
기관
과학자들과 함께 전국 초중고교와 소외 지역 공부방 등에 연말까지 과학 잡지를 보내 주는 ‘1학급 1과학동아’ 캠페인을 벌인다. 특히 과학자들의 자발적인 기부 릴레이가 더해지고 있다. 1학급 1과학동아 과학자 릴레이 ... ...
햇빛만 받으면 충전 완료, 피부 밑에 넣는 태양전지 개발
2016.05.17
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동물실험을 통해 그 성능도 확인했다. 현재 신체
기관
을 보조하기 위해 많은 전자기기들이 인체에 삽입돼 사용되고 있다. 심장 박동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심박조율기’도 그중 하나. 하지만 심박조율기의 배터리는 수명이 5~8년으로 일정 시간이 ... ...
이전
898
899
900
901
902
903
904
905
9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