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한 눈에 보는 블랙홀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이론적으로 증명했다. 1967년 존 휠러가 처음으로 ‘블랙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1970년 블랙홀로 추측되는 곳이 X선 탐사 위성에 의해 발견됐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빛나는 블랙홀 검은 구멍의 수학적 재구성PART 1 한 눈에 보는 블랙홀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PART 3 웜홀 타고 ...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블랙홀 근처에 있어 지구에 비해 중력이 어마어마했다. 단 2시간 가량의 탐사로 무려 23년을 허비했다. 블랙홀 속으로 들어간 것은 더욱 치명적이었다. 엄청난 중력장에 있었기에 지구로 돌아온 아버지는 지구 기준으로 124살이 되었다.웜홀, 아직 증거는 없다영화 제작 과정에 웜홀로 시간여행이 ... ...
- [생활] 상식을 뒤집어 생각을 전환하라! 무한의 발견 ∞수학동아 l2014년 12호
- 그러나 무한의 경우에는 그 순서가 정반대다. 기호 ∞가 먼저 자리를 잡은 다음, 약 200년이 지난 뒤에야 무한의 개념을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정의할 수 있었던 것이다.“수학의 본질은 자유에 있다”고 주장한 칸토어의 말처럼, 상식을 뒤집어 생각을 전환할 때 위대한 발견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 ...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돼 있으니, 돌이켜 보면 참 신기할 정도예요. 지금도 그때 당시 같이 일했던 사람들과 10년째 함께 하고 있답니다. 개인의 능력도 중요하지만, 어딜 가든 함께 하는 주변 사람들이 중요하다는 걸 친구들이 잊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일반상대성이론에서 중력이 시공간을 휘게 한다고 주장했다. 1916년에는 독일의 천문학자 카를 슈바르츠실트가 아인슈타인의 중력장 방정식을 가지고 별 주변의 시공간이 얼마나 휘어지는지 계산하는 데 성공했다. 여기서 슈바르츠실트 반지름이 나온다.0.9cm로 압축하면 ... ...
- [체험] 크리스마스 장식볼 만들기 별모양 다면체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크리스마스에는 ‘별모양 다면체’로 트리를 꾸며 보는 건 어떨까?별모양 다면체는 1811년 프랑스 수학자 오귀스탱 루이 코시가 이름 붙인 도형으로, 볼록하지 않은 다면체를 일컫는다. 수학에서는 다면체의 어느 면을 연장해도 그 평면이 다면체의 내부를 자르지 않으면 ‘볼록다면체’라고 한다. ...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게 더 쉬워. 힘을 들이지 않아도 모세관으로 잉크가 술술 나오거든. 이번 시험 공부는 만년필로 하는 게 어때? 김호영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호기심을 가지고 세상을 바라보다 보면 재미있는 사실을 많이 알 수 있게 된답니다. 그러다 보면 친구들이 새로운 것을 발견하거나 밝혀낼 수도 ... ...
- [시사] 서양수학사에 한 획을 그은 수학의 명가 베르누이 가문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진로를 바꾼 야곱과 요한은 라이프니츠에게 하나라도 더 배우기 위해 노력했다. 1690년에는 세 사람이 연구팀을 결성해 함께 미적분학을 연구했다. 그 결과 야곱은 미적분학책을 썼고, 요한은 극한값을 쉽게 구할 수 있는 계산법인 ‘로피탈의 정리’를 발표했다.그러나 두 형제의 사이가 항상 좋았던 ... ...
- 환자는 의사에게, 의사는 수학자에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공포’는 지금도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는 에볼라로부터는 아직 안전하지만, 2003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나 2009년 신종독감, 최근 조류독감과 같은 질병은 사회 문제로 떠오를 만큼 심각했다. 수학자도 가만히 있지 않았다. 국내외 수학자들은 ‘질병 수리 모델’ 연구를 통해 해결책을 찾기 ... ...
- 주머니 속 동전 줄이기!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수는 없다. 더 효율적인 방법이 있다면 슬슬 마음을 열어보는 게 어떨까? 그러면 매년 수백 억을 들여 동전을 새로 만들어 내지 않아도 될 것이다.지폐냐, 동전이냐? 그것이 문제로다!동전이 무거우면 지폐만 만들면 되지 않을까? 하지만 동전은 싼 물건을 사고팔 때 많이 쓰인다. 또한 동전의 수명은 ... ...
이전902903904905906907908909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