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자기 둥지 앞에서 숨 거두는 가시고기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거둔다. 며칠 후 새끼들이 죽은 수컷 주위로 몰려든다. 아버지의 살을 파먹기 위해서다.
큰
가시고기는 죽어서까지 몸을 새끼들의 먹이로 내주는 것이다.4월말이나 5월초 강바닥에 수백개 이상의 잔자갈을 모으는 어름치는 일기예보를 한다. 어름치가 자갈 더미를 강 가장자리에 모으면 그 해는 비가 ... ...
태양계 타임캡슐 토성에서 무엇을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드러내줬다.내년 1월 호이겐스 타이탄 착륙카시니호가 공개한 타이탄 영상에서는
큰
크레이터를 비롯해 지질활동을 암시하는 지형들이 존재한다. 크레이터의 수가 적은데, 이는 타이탄의 표면이 역동적이라는 의미다.이번 영상으로 드러난 가장 놀라운 점은 타이탄의 모습이 과학자들의 예상과 ... ...
고려청자 비취색의 비밀은 철 이온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발생한다는 사실에 주목해 에너지 간격을 측정했다. 그 결과 고려청자는 에너지 간격이
큰
반도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전기저항과 홀(Hall) 상수를 측정해 고려청자는 n형 반도체라는 특징도 확인했다.이에 대해 김 교수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반도체는 유독성환경에 노출될 때 산화해 ... ...
마침내 모습 드러낸 파란장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보이기도 하고요.”메이슨 박사는 블루 진이 장미에서 성공적으로 발현됐다는 것에 더
큰
비중을 둔다고 말한다. 일단 유전자가 발현하게 했으므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좀더 선명한 파란색을 가진 장미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블루 카네이션의 경우도 1997년 색이 훨씬 짙은 ‘문섀도우’ ... ...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최재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시작했다.“영장류 보호와 연구에 대한 구달 박사의 헌신적인 노력과 조언, 성원은 제게
큰
힘이 됐습니다. 다시 연구에 뛰어들 용기가 났어요.”최근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한국영장류연구소에는 그의 오랜 염원이 담겨있다. 눈코뜰새 없이 바쁜 강연일정을 소화하면서도 앞으로 세워질 연구소에 ... ...
우주여행 즐기며 여름나기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생물학적 활성에
큰
차이가 있다. 술은 에탄올을 희석한 것으로 적당히 마시면 생물에게
큰
해를 입히지 않지만 메탄올은 치명적이다. 몸에서 알코올을 분해해 생기는 1차 산물인 알데히드의 독성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에탄올의 분해 후 생성되는 아세트알데히드(CH₃CHO)는 계속 분해되는 반면 ... ...
호킹 박사, “내 블랙홀 이론 틀렸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점을 인정한 셈이다.호킹 박사의 새 이론은 물리학, 특히 ‘끈이론’ 연구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초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사미르 마튜르 교수팀이 ‘끈이론’에 따라 블랙홀이 입자가 아니라 진동하는 작은 끈으로 구성됐다고 가정하면 블랙홀에서 나오는 빛에 내부 정보가 ... ...
열대지방에서 동면하는 포유류 첫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동부의
큰
섬나라 마다가스카르. 이곳에는 원시 영장류인 여우원숭이류가 많이 살고 있다. 그런데 그 중 한종인 살찐꼬리여우원숭이는 4월이 되면 자취를 감췄다가 10월이 다 지나서야 슬슬 모습을 드러낸다. 최근 독일의 연구자들은 이 녀석들이 이 기간 동안 어디서 뭘 하는지 밝혀냈다. 뜻밖에도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한약재로 거래되던 화석 조각 중에서 영장류의 특징을 보이고, 현대인보다 10배나
큰
용적의 어금니(臼齒)를 발견하고 이것에 거대한 원숭이를 뜻하는 기간토피테쿠스라는 학명을 붙였다 증발하기 쉬운 액체를 증발시켜 그 증발열로 물체를 냉각 · 냉동하는 방법 증발된 기체의 냉매(冷媒)를 ... ...
02. 심해를 누비는 드림팀, 수중로봇 시스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해상에 떠있는 해양조사선과 철갑 케이블로 연결돼있다. 수중진수장치의 가장
큰
기능은 AUV를 수중에서 진수하고 회수하는 임무다. 우주에서 도킹이 이뤄지는 것과 유사하다. AUV가 수중진수장치에 장착돼 있다가 수중 탐사를 위해 발사된 후 다시 수중진수장치로 돌아오는 것이다.또 ... ...
이전
905
906
907
908
909
910
911
912
9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