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10,105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둘기도 어린이처럼 학습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02
무작위로 보여 줬어요. 비둘기가 사진이 속한 분류를 알아내면 먹이를 주는 방식으로
실험
을 했답니다. 그 결과 비둘기들은 원래 분류해 놓은 대로 사진을 구별해냈어요. 연구팀은 비둘기가 무언가를 인지할 때 그것의 환경이나 특징을 토대로 배운다는 뜻이라면서, 어린이가 새로운 단어를 학습할 ... ...
다른 사람 ‘눈치 보는’ 뇌세포 찾아냈다
2015.03.02
상대방의 결정을 의식할 때 활성화되는 뇌세포군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 셀(Cell) 제공
실험
결과 원숭이들의 선택은 34.7%가 협력이었다. 둘 다 협력을 선택한 경우는 17.1%였다. 특히 상대방이 이전 게임에서 배신을 한 경우 협력을 선택하는 경향은 26%로 크게 낮아진 반면 서로 협력을 선택한 경우 ... ...
‘땅 위에 있는 잠수함 시험장’ 세계 3번째 준공
2015.03.01
세계 3번째다. 선박은 한번 건조하면 해체나 수리가 어렵기 때문에 개발단계에서 철저한
실험
이 필요하다. 이 시험설비는 잠수함이나 쇄빙선 등에 쓰는 첨단 전기추진 시스템을 실제 배와 유사하게 육상에 미리 설치할 수 있다. 건축연면적 6400㎡의 전용 시설로 각종 전기 선박들의 설계 및 첨단 엔진 ... ...
산책 땐 ‘아메리카노’보다 ‘라떼’를…
2015.02.25
설명했다. 카페와 술집에서 나타난 현상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연구팀은
실험
을 설계했다. 유리 용기에 물을 넣고 여기에 밀도를 높이는 글리세롤을 첨가했다. 그 다음 주방세제를 이용해 지름 3mm짜리 거품으로 이뤄진 거품층을 만들어 액체 위에 얹은 뒤 용기를 흔들어 액체가 흔들리는 ... ...
땅콩 알러지 원인 유전자 찾았다
2015.02.25
유전자 영역에서 발견된 변이가 땅콩 알러지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변이는
실험
대상자의 20%에게서 발견됐다. 하지만 이 변이를 지닌 대상자가 모두 땅콩 알러지를 호소하진 않았다. 연구진은 임신 기간의 환경이나 영양 상태와 같은 후성유전학적 변화가 실제로 땅콩 알러지를 ... ...
스마트폰으로 오존, 자동차 매연 측정 척척
2015.02.24
분야에 쉽게 이용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박 교수는 “휴대용 공기오염 센서 뿐 아니라
실험
실용 바이오센서 등의 다양한 융합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세계적 과학저널 ‘네이처’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1월 30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신생아에게 엄마 목소리 자주 들려주세요
2015.02.24
나머지 19명에게는 엄마 소리 대신 병원의 일상적인 소리를 녹음해 들려줬다.
실험
을 마친 뒤 아이들의 뇌 발달 과정을 비교한 결과 엄마의 소리를 들은 그룹은 상대 그룹의 아이들 보다 대뇌 측면의 피질이 30%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부분은 청각을 담당하는 곳으로, 그동안 아이의 ... ...
조삼모사(朝三暮四)의 긍정심리학
2015.02.23
효과가 더 컸고 암컷은 프레임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참고로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
에서도 비슷한 패턴이 나왔다. 즉 남성은 프레이밍 효과가 두드러졌고 여성은 연구에 따라 결과가 엇갈렸다. 조삼모사, 즉 프레이밍 효과는 인간의 비합리적 의사결정 패턴이 아니라 유인원이 공유하는 ... ...
1조 분의 1초, 분자 탄생 순간 눈으로 봤다
2015.02.23
시작과 끝을 모두 밝히는 쾌거를 이뤘다. 연구팀은 특수광원을 이용한 이
실험
방법을 단백질 연구에도 응용할 계획이다. 단백질의 탄생 순간과 구조 변화를 밝혀 단백질의 반응을 제어하고 신약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2015.02.22
하지만 스핀을 그냥 양자역학적으로 다루면 이 부등식은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핀
실험
을 통해 만약 벨 부등식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오면 국소적 숨은 변수이론이 틀렸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1982년 알랭 아스페는 두 개의 광자를 이용해 벨의 부등식이 틀렸음을 보인다. ... ...
이전
905
906
907
908
909
910
911
912
9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