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하"(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편견 부수기수학동아 l2009년 12호
- 시각이나 공간 능력을 맡고 있지. 남자는 우뇌가 좌뇌보다 더 발달해 지도를 잘 읽고 기하학도 잘 한대. 좌뇌와 우뇌 사이에서 둘을 연결하는 ‘뇌량’이라는 신경다발도 중요해. 여자의 뇌량은 남자보다 많고 두꺼워. 그래서 좌뇌와 우뇌가 균형있게 발달할 수 있지. 남자는 뇌량이 가는 대신 필요에 ... ...
- [수학의 뿌리를 찾아서] 수학계 변신의 귀재, 선!수학동아 l2009년 12호
- 점은 영어로 point라 하고 p로 표기하며 point p로 읽는다. 선은 line이라고 하며 l로 표기하고 line l로 읽는다. 선은 생김새에 따라 곡선과 직선으로 나눌 수 있는데 곡선은 연속된 점들의 집합이다. 직선은 끝없이 곧은 선으로 직선도 곡선에 포함된다. 곡선을 뜻하는 영어단어 curve는 라틴어 curvus(커부스 . ...
- 옮기고~ 뒤집고~ 돌리고~ 도형을 춤추게 하라!수학동아 l2009년 11호
- 했을 때 무엇이 변하고 무엇이 변하지 않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기하학의 변하지 않는 열 가지 성질은 ①곡선의 열림과 닫힘, ②내부, 외부, 경계점, ③순서, ④연결성, ⑤직선성, ⑥볼록성, ⑦평행성, ⑧거리의 비, ⑨각의측도, ⑩길이다.실생활의 꼭꼭 숨은 도형의 이동 ... ...
- The Limits of Internet?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자라는 토끼 가족이라고 생각해 보라. 초기에는 그들의 숫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그러나 점점 더 많은 토끼들이 자원을 사용하면 어떤 지점에서 평야가 고갈되고, 인구가 파멸한다. 이 시나리오가 현재의 위키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의 직면한 어려움을 ... ...
- 2014년 국제수학자대회 유치의 기적을 일구어 낸 수학자수학동아 l2009년 10호
- 아름다움에 매료됐던 거예요.”현재 포스텍에서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는 박 교수는 대수기하학을 연구해 박사 학위를 받았지만, 지금은 폭을 더 넓혀 공학에 응용되는 수학도 연구하고 있다. 컴퓨터가 세상 곳곳에 도입되면서 생기는 정보 보안과 같은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다.“저는 수학이 ... ...
- 패턴의 과학과학동아 l2009년 10호
- 발전했다. 이번 호에서는 자연과 사회가 어떻게 수학의 대상이 됐는지 살펴보자.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한다. 만약 당신이 수학을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이라면 이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할 것이다.-토머스 멜서스,1798년 ‘인구론’에서.자연은 수학적이다 ...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수학동아 l2009년 10호
- 죽임을 당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로마가 그리스에 쳐들어왔을 때 도형을 그리며 기하학을 연구하고 있던 그는 다가오는 로마 병사에게 '내 도형을 건드리지 마라!'라고 말한 뒤 살해당했다고 한다. 생명의 위협도 못 느낄 정도로 몰두하다니 정말 대단하다.중학수학, 추상화의 벽을 ... ...
-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수학동아 l2009년 10호
- 도입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변호사이자 정치가면서 심심풀이로 수학도 연구해 대수학, 기하학, 삼각법 등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많은 업적을 남겼다.소수 왜 태어났니?자연수와 분수 개념에 배해 소수의 역사는 짧다. 자연수와 분수는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생겨나고 발달했지만, 소수는 수학자의 ... ...
- 수학,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하는 힘!수학동아 l2009년 10호
- 그래서 위성은 하루에도 몇 번씩 북극점과 남극점을 통과할 수 있지요. 이런 비유클리드 기하학 성질을 이용해 우리는 노르웨이의 최북단 섬인 스발바르에 위성 수신소를 세웠습니다. 북극권에서는 한반도보다 위성 사진을 더 자주 받을 수 있으니까요! 해상도흑백 화면의 경우 지상에 있는 1m ... ...
- Part 2.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즐거움!수학동아 l2009년 10호
-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다면 그래프와 같은 추상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도형을 다루는 기하학도 잘 할 수 있다.단순하게 풀어라, 한붓그리기 종이에서 연필을 떼지 않고 도형을 그리는 문제인 한붓그리기는 단순화시켜서 문제를 해결하는 좋은 예다. 쾨니히스베르크라는 도시의 다리 7개를 딱 한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