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오래
d라이브러리
"
긴
"(으)로 총 3,49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우리 집에 수학이 있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피타고라스 정리는 직각삼각형에서 성립하는 법칙입니다. 직각삼각형의 세 변 중 가장
긴
변인 빗변의 길이를 제곱한 값이 나머지 두변의 길이를 각각 제곱해 더한 값과 같다는 법칙이지요. 테이블 위에 초콜릿 통이 놓여 있어요. 알록달록하고 다양한 모양의 초콜릿이 잔뜩 들어있는데, 안타깝게도 ... ...
[과학뉴스] 사해 소금으로 다시 태어난 환상의 드레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예술작품을 만든다. 2014년에는 사해가 얼마나 짠지 보여주기 위해 1920년대 스타일의
긴
검정 드레스를 두달 동안 사해에 담가 소금 크리스탈로 장식된 환상적인 드레스로 부활시켰다. 드레스가 변하는 과정을 찍은 사진은 9월 3일까지 영국 런던에 있는 말바라현대미술관에서 전시됐다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사진은 55b라는 영역이 정해지게 된 근거 자료들입니다. 각 사진 중앙 쪽에 위치한 가늘고
긴
55b 영역을 눈여겨보세요. 그림 a는 수초의 양을 나타낸 사진입니다. 55b 영역의 수초는 적은 편이죠(연보라색). 반면에 주변부는 평균 이상의 수초가 분포해 있습니다. 특히 오른쪽에 빨간색 부분과는 더 ... ...
Intro. 장내미생물이 제2의 게놈?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때 함께 분화해 본격적인 공생을 시작했던 사실도 최근에야 알려졌으니 말이다(1파트).
긴
무명생활을 청산한 건 ‘유산균’ 덕분이었다. 19세기 러시아의 생물학자 메치니코프가 장내미생물의 건강영향을 집중 조명했다. 그러다 2006년, 장내미생물이 비만과 관련이 있다는 논문이 ‘네이처’에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길이가
긴
다리는 여러 모양을 합쳐서 만들기도 한다. 바다를 가로지르는 다리 중 가장
긴
중국의 ‘자오저우완 대교(오른쪽 사진)’는 다리의 일부 구간은 사장교, 다른 구간은 현수교 형태로 만들었다.올해 완공 예정인 터키의 ‘보스포러스 제3대교(위 사진)’ 역시 사장교와 현수교를 합친 ... ...
[지식] 앨리스의 거울나라 속 거울분자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감각수용기도 거울분자와 만나면 결합하지 못한다. 이와 반대로 거울분자처럼 생
긴
입자를 인지하는 수용기가 있기도 하다.예를 들어 달콤한 맛을 내는 인공감미료인 아스파탐은 D형이다. 그런데 L형 아스파탐을 우리 혀는 씁쓸한 맛으로 느낀다. 향기입자인 리모넨은 D형인 경우 오렌지 향을 내지만 ... ...
PART 1. 악마가 좋아하는 소수는?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집 안은 어둡고 고요했어요. 오싹하게도, 입구부터 이어진
긴
복도의 맨 끝 방에서만 불빛이 새어나왔어요. 수학 천사가 방문을 열고 처음 본 것은 숨도 안 쉬고 숫자를 읊는 머리에 뿔 달린 악마였어요. 천사는 이 집을 안전하게 빠져나갈 수 있을까요? 벨페고르의 소수 “1000000000000066600000000000001 ... ...
[Knowledge] 뛰지 못하는 작은 원숭이의 생존법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침과 섞어야 비로소 독이 활성화된다. 느림보원숭이는 이렇게 만든 독 물질을 빗처럼 생
긴
아래쪽 이빨을 이용해 털에 발라서 사용한다.흥미로운 건, 독의 정확한 용도가 미스터리라는 점이다. 많은 연구자들이 독의 성분과 기능을 연구했지만 아직까지 용도를 명확히 밝히지 못했다. 가장 유력한 ... ...
[Tech & Fun] 다음 체중계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왜 반말이세요?”그날 밤 은경은 숙제검사를 하러 온 외계인을 만나 삶과 우주에 관해
긴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리고외할머니의 뒤를 이어, 외계문명과 직접 접촉하는 지구 측 교섭대리인이 되었다. 그렇게 새 삶이 시작되었다 ... ...
[출동! 섭섭박사] 밀가루 반죽에서 전구가 반짝! 전도성 반죽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특히 LED 전구의 경우, 두 다리의 길이를 다르게 만드는 것으로 양극을 구분해 놓았어요.
긴
다리는 (+)극에, 짧은 다리는 (-)극에 연결해야 LED가 빛을 낼 수 있답니다.소금물을 넣은 밀가루 반죽과 마찬가지로 컬러점토 역시 전기가 통해요. 컬러점토 안에도 전해질 성분이 들어 있기 때문이에요.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