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인
저자
저술가
문필가
기자
필자
서기
d라이브러리
"
작가
"(으)로 총 1,347건 검색되었습니다.
1991년 사이먼 르베이 박사의 동성애자 뇌구조 차이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아름다워’의 방영기간 내내 시청자들의 반응이 그다지 ‘아름답지’ 못했다. 김수현
작가
가 작심한 듯 동성애 문제를 정면으로 건드렸기 때문이다. 한 학부모 단체는 아이들에게 안 좋은 영향을 준다며 신문에 방송중단 호소문을 싣기도 했다. 물론 이제는 우리 사회도 이런 문제를 포용할 만큼 ... ...
함께 그려 보는 프랙탈 아트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그리는 사람도 예상할 수 없다. 프랙탈 아트도 마찬가지다. 작품을 작업하는 그날의
작가
의 컨디션과 작업 시간 정도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그림이 만들어질 수 있다.박 교수는 차가운 컴퓨터 그래픽 아트에 생명을 불어넣는 사람이다. 그의 작품은 대부분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생명체에 담아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없다.마지막으로 인류가 어떤 관계도 맺기 어려운 외계생명체를 상상해 보자. 폴란드의 SF
작가
스타니스와프 렘의 소설 ‘솔라리스’에 나오는 바다는 의식을 지닌 거대한 지성체다. 인간과는 너무나 이질적인 생명이라 둘 사이에는 제대로 된 의사소통이 이뤄지지 않는다. 두 종족 사이에 공통적인 ... ...
전자책 나가신다, 종이책 물렀거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현재 400만 대가 넘게 팔린 아이패드를 통해 수백만 권의 전자책을 다운받았다고 한다.“
작가
의 세계에 빠져들기 위해서는 테크놀로지가 자연스럽게 사라져야 합니다.”인터넷서점 아마존의 대표인 제프 베조스는 아이패드의 등장 덕분에 전자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데 감사하지만 독서라는 ... ...
누가 피터팬의 그림자를 가져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돌아오지요. 해적 선장 훅은 나쁜 짓을 일삼다가 악어 밥이 되고 말았거든요.작품소개
작가
인 제임스 매튜 베리는 원래 기자였어요. 그런데 자신과 친하게 지냈던 다섯 명의 아이들에게서 영감을 얻어 자라지 않는 소년 피터팬에 대한 희곡을 썼지요. 이 희곡은 1911년 동화로 발표됐는데, 그게 바로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걸까. 우리가 흔히 읽는 삼국지의 바탕인 ‘삼국지연의’는 정사인 ‘삼국지’와 달리
작가
의 상상이 가미된 소설이다. 당시 기술 수준으로 미루어 봐도 목우유마는 과장이거나 상상일 가능성이 크다.2000년 가까이 지난 오늘날 이 이야기는 현실이 됐다. 게다가 목우유마와 달리 현대의 군사용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모임인 야간비행(www.nightflight.or.kr)에서 원정대를 조직했다. 2명의 천체사진
작가
가 합류했다. 원정대의 관측 장비는 115mm 굴절망원경과 EM11 적도의, QSI CCD 카메라, 소형 적도의 2대와 천체용으로 개조한 DSLR 3대. 안시관측 전용 천체망원경은 옵세션(Obsession)사의 18인치 UC(UC:Ultra Com ...
카메라에 담긴 수학, 영화사진
작가
에게 듣다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영화 홍보 사진이 공개되면 한세준
작가
님이 찍은 사진이 아닌지 확인하게 될 것 같아.
작가
님의 활약을 기대하면서 사진을 찍을 때 카메라에 얽힌 수학도 떠올려 보면 어떨까 ... ...
내 몸속 유전자 99%는 미생물의 것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불과 25살이었다.19세기가 끝나기도 전에 폴란드 작곡가인 프레데릭 쇼팽, 러시아 극
작가
안톤 체호프, 영국 여류 소설가 에밀리 브론테를 비롯한 수백 만 명이 같은 질환으로 죽었다. 결핵이었다.19세기 말, 독일 세균학자 로버트 코흐 박사가 처음으로 결핵균을 발견했다. ‘그 심각한 질환’으로 ... ...
좀비 만드는 '5가지 레시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떼로 달려든다.이미 죽은 사람의 뇌에서는 신경조직이 생성되거나 분열할 수 없다. 웡
작가
는 다양한 신체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줄기세포를 이식하면 가능하지 않겠냐는 주장도 했다. 하지만 죽은 사람은 더 이상 호흡을 하지 않으며 심장이 뛰지 않아 신선한 혈액이 뇌에 공급되지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