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북
각
hadj
haji
d라이브러리
"
하지
"(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맛있는 수학] 추석맞이 베이글 인절미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생각하는 분이 있는 것 같네요. “좋아. 위상수학에서 빨대 구멍이 1개라는 건 인정할게.
하지
만 대체 그 위상수학에서의 ‘구멍’이란 게 뭐란 말이야?” 좋은 질문입니다. 그럼 여기 자르지 않은 베이글을 들고 구멍을 좀 더 깊이 들여다볼까요? 우리가 일반적으로 ‘구멍’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미세먼지 측정기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위해 브레드보드에 LED 센서와 부품을 꽂고 아두이노와 연결했어요. 브레드보드는 납땜
하지
않아도 전선과 부품들을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만든 판이에요. 플라스틱 틀 안쪽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금속이 들어있어 부품을 꽂기만 하면 전류가 흐르지요. "불이 잘 들어와요!" LED를 꽂은 ... ...
26개 뼈와 33개 관절의 정교한 하모니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상쇄시키기 위해 발의 안쪽 아치 부분을 적당한 질감의 쿠션으로 받쳐주는 방식이다.
하지
만 아치를 기존보다 더 높이기 위해 무리하게 깔창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효과도 없거니와 걸음걸이만 더 불안하게 만들 수 있다. 안 교수는 달리기 전 2가지 준비를 당부했다. 평발이든 요족이든 자신의 발 ... ...
[매스미디어] 의사 요한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관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한편 통증의 원인을 찾기 위해 다양한 검사를 진행한다.
하지
만 암이나 치아 이상 등 질병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컴퓨터단층촬영(CT)은 방사선량이 다소 높아 유아나 노약자의 DNA를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선량을 줄여서 얻은 희미한 영상을 깨끗하게 만들어 진단 ... ...
[JOB터뷰]유쾌한 지구 생각 십년후연구소 조윤석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절약하는지 연구하고 있죠. 살면서 이렇게 바쁜 적은 처음이네요. Q 실패를 무서워
하지
않는 비결이 있나요?무섭고 넘어질 것 같고 깨질 것 같아도 한번 부딪혀 보고 깨지고 싸우면 이기든 지든 얻는 게 있어요. 저도 실패를 통해 많이 배웠거든요. 어린 친구들도 이런 실패의 특권을 누리는 세상을 ... ...
[과학뉴스]입자 로봇 10만 대, 뭉쳐야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약한 자석을 사이에 두고 붙어 있어요. 움직일 때는 지름이 15~23cm에서 커졌다 작아졌다
하지
요. 이처럼 입자 로봇들은 순차적으로 지름을 바꾸면서 아주 천천히 이동한답니다. 움직이는 속도는 조금 느리지만 입자 로봇은 다른 장점이 많아요. 우선 각 입자 로봇이 서로 쉽게 떨어졌다 붙을 수 있기 ... ...
[영국유학일기] 이력서 검토에 진로 상담까지 최고의 진로지원센터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당히 실질적인 상담을 제공하기로 정평이 나 있다. 1 대 1 상담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진로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자료들을 참고할 수 있다. 성공하는 이력서에 대한 자료가 여럿 올라와 있고, 영상으로도 친절히 정리해 놨다.일자리 검색 시스템도 홈페이지에서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모래알이 몇 개 모여야 더미일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나쁘다’라고 할 때, 어느 정도가 되면 ‘매우 나쁨’이고 그냥 ‘나쁨’인지도 모호
하지
요. 나쁨의 기준인 36㎍/㎥ 이상이면 나쁨일까요? 그럼 35.99㎍/㎥은 안 나쁜 걸까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 ...
[통합과학 교과서]사오정과 콘서트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건 무선 이어폰 역시 마이크로파를 이용해 스마트폰과 정보를 주고받기 때문이에요.
하지
만 이 마이크로파는 이미 널리 사용하고 있는 다른 전파와 크게 다르지 않지요. 서강대학교 이덕환 교수는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통신용 마이크로파는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확실히 ... ...
[과학뉴스] 남쪽으로 날아가던 제왕나비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않았다”며 “이주 특성을 잃어버린 제왕나비가 겨울을 날 수 있는 따뜻한 서식지로 이동
하지
못하면서 개체 수는 더욱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73/pnas.190469011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