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d라이브러리
"
한쪽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실명도 줄기세포로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놀다가 귀가하는 버스에서 두 남자가 싸우는 걸 구경하다 한 사람이 뿌린 암모니아에
한쪽
눈 각막이 손상됐다. 그 뒤 힘든 삶을 살던 그는 줄기세포 치료로 시력을 회복해 다시 인생을 즐길 수 있게 됐다며 의료진에게 감사해 했다. 피구에이레도 박사는 “전체 실명의 10%가 각막에 문제가 생겨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솜을 다시 꺼낼 필요가 없어서 편리했다.때론 방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옷감의
한쪽
면에 한지를 덧붙여 입기도 했다. 옷감 위에 한지와 솜을 샌드위치처럼 포개 두고 그 위에 다시 옷감을 얹어 꿰매는 방식은 몇 가지 이점(利點)을 동시에 취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바람이 들어오는 것을 ... ...
나타났다 사라지는 마술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편광 필름을 서로 방향이 어긋나게 겹치면 어떻게 될까요? 하나의 편광 필름을 통과해서
한쪽
으로만 진동하는 빛이 두 번째 편광 필름에 막혀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 거예요. 그러면 우리 눈에 어둡게 보이지요호기심 해결입체 안경도 편광 필름!물체를 입체적으로 보기 위해서는 각각의 눈이 보는 ... ...
곤충계 싸움의 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자만이 암컷을 차지할 수 있다. 사슴벌레 수컷은 큰턱으로 씨름을 하듯 겨루는데, 어느
한쪽
이 나무 위에서 밀리거나 떨어져야 다툼이 끝난다. 거칠게 싸울 때는 단단한 외골격이 뚫리거나 몸통이 잘리기도 한다.하지만 사슴벌레는 힘을 겨룰 때만 턱을 쓸 뿐 다른 곤충을 공격하지는 않는다. ... ...
둘째 날 알쏭달쏭 신기한 세계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만큼 한 번 꼬아 끝을 연결하고 면 위에 아무 데나 점을 찍는다.➋ 점 찍은 곳을 시작으로
한쪽
방향으로 원을 그려 나간다. 원 위에 화살표로 방향을 표시한다.➌ 원을 계속 그리다 보면 점을 찍었던 면의 반대쪽에 원이 그려진다.➍ 원을 그리다가 반대쪽에 비친 점과 만나면 펜을 놓고 띠를 ... ...
겨울스포츠의 꽃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해. 얼음 위를 직선이나 원, S자의 궤도에 따라 움직이는 동작을 말하지. 스파이럴은
한쪽
발을 엉덩이보다 높게 올리고 움직이는 거야. 완성된 동작을 3초 넘게 유지해야 해서 힘과 균형 감각이 필요해. 오른발을 뒤로 들고 두 팔을 벌리며 하늘을 바라보는 김연아 선수의 스파이럴은 단연 세계 ... ...
첫째 날 M-214호에 떨어지다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충분해. 한 가지 귀띔해 주자면, 여행중에 길을 잃어도 괜찮아. 차분히 길만 따라서
한쪽
방향으로 걸으면 어떻게든 제자리로 다시 돌아올 수 있으니까. 시간은 좀 걸리겠지만.”뫼비우스보다 내가 먼저야! 독일의 수학자 리스팅은 1840년에 ‘위상학’이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했다. 리스팅은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1년반 이상의 시간이 훌쩍 지나갔다.과제3 상반신을 비틀어라2008년 조 박사는 연구실
한쪽
에 세워져 있던 또 다른 로봇을 한 대 끌어왔다. 2005년 발표된 휴보(KHR-3)의 원형이 됐던 로봇 KHR-2였다. 안정성이나 모터성능 등이 조금 차이가 났지만 기본적인 성능과 구조는 휴보와 똑같은 로봇이다.이 ... ...
천식, 치매까지 치료하는 파스의 변신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같은 유명 화장품 회사 에서 실제로 제품을 출시한 적이 있으며 제품에 따 라 패치
한쪽
면에 비타민 C 용액이 발라져 있는 형태도 있다.한편 주사바늘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통증은 없 앤 마이크로 바늘 패치도 있다. 모기 침에서 힌트를 얻어 개발한 이 패치에는 길이가 수백μm(마이크로 미터, 1μm= ... ...
사이언스誌 선정 10대 과학뉴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호는 지난 8월 25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된 뒤 위성보호용 덮개(페어링)
한쪽
이 정상적으로 분리되지 않아 과학기술위성 2호를 궤도에 진입시키지 못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페어링 분리에 실패한 원인을 아직 조사 중이다. 정부는 2010년 상반기 나로 호 2차 발사를 앞두고 있다. 20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