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1804년 7월 20일 ‘공룡’ 이름 만든 리처드 오언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발견되었죠.이 세 표본에서 공통점을 발견한 사람은 리처드 오언이었습니다. 1804년 7월 20일 영국에서 태어난 리처드 오언은 화석의 해부학적 구조를 현생 동물의 골격과 비교하는 비교해부학자였습니다. 겨우 32살에 교수로 임명될 정도로 똑똑했죠. 리처드 오언은 세 화석 모두 골반과 연결된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날아오르라, 익룡이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친구들은 풍력 에너지 타운을 만든 뒤, 꼭 기사로 써 주세요! •신청 기간 2021년 7월 30일까지•당첨자 발표 2021년 8월 1일 예정•신청 방법 어과수 홈페이지(kids.dongascience.com)에서 공지사항에 댓글을 달아 주세요 ... ...
- [그래프뉴스] 반려견 등록은 필수! 신분증 가진 댕댕이 확 늘었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4호
- 올해 7~9월 나라에 등록된 반려견의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동안 등록된 반려견 수의 3.6배인 것으로 나타났어요. 나라에서 인정하는 ‘신분증’을 ... 설명했어요. 나라에 등록된 전체 반려견의 수는 점점 많아지고 있어요. 2016년에는 107만 1000마리였는데 5년 사이 약 120만 마리나 늘어났어요 ... ...
- [기획] 지구를 잠시 떠나 보세요! 우주에서 지구 감상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올라간 뒤 활강해서 지상으로 내려와요. 버진갤럭틱의 리처드 브랜슨 회장은 “7월 11일 시험 비행에 참여해 우주여행의 완성을 위한 여정에 함께할 수 있어 영광”이라고 밝혔어요. ●준궤도: 지구 저궤도보다 더 낮은 고도 약 100km 지역. 풍선 타고 둥실둥실 성층권 여행로켓을 타고 고도 100km의 ... ...
- [특집] 암호화폐 때문에 숲이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나무는 26.8그루입니다. 채굴을 위해 컴퓨터를 1000대 운행한다고 가정하면, 한 달에 약 176.7t(톤)이 배출되며, 2만 6800그루의 나무가 필요한 셈이에요. Q어린이들이 이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요?암호화폐의 등장은 새로운 화폐시장의 혁명과도 같아요. 따라서 여러 나라에서는 미래를 ... ...
- [4컷 만화] 미니 심장이 콩닥콩닥!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연구팀은 유도만능줄기세포●를 활용했어요.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배양액에서 약 7일간 키우자 지름 2mm의 작은 공처럼 생긴 심장 오가노이드가 만들어졌어요. 이 심장 오가노이드는 분당 60~100회가량 박동할 수 있어요. 게다가 심장 오가노이드는 훗날 좌심실이 될 내부 방 구조가 하나 있는 형태인 ... ...
- [시사 과학] 직접 맞아 봄! 코로나 19 백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대신 가난한 나라에 백신을 기부하기를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중국과 미국 등 7개국에서 코로나19로 사망한 만 19세 미만 청소년과 어린이는 인구 100만 명당 2명이 채 안 되는 만큼●, 사망 위험이 높은 성인을 먼저 접종하자는 주장이지요. 반면에 한 나라에서 70% 이상이 백신을 맞는 집단 면역을 ... ...
- [이재형 천문대장]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별도 보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세요.일시 매달 14~20일 사이 수요일 저녁 7시 30분 ~ 9시 30분참가비 무료참가자 선정 매달 별빛미션 참가자 중 10명 선정※ 자세한 내용은 과학동아천문대 홈페이지를 ... ...
- [이달의 과학사] 1646년 7월 1일 미적분의 발견자는 누구? 라이프니츠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그런데 이 소식을 들은 뉴턴이 미분의 첫 발명자는 자신이라고 항의했어요. 약 7년 전인 1665년 10월, 홀로 물체의 운동을 연구하다 미분을 발명했다는 것이죠.둘의 논쟁은 누가 미적분 발명의 우선권을 가지느냐는 논쟁으로, 다시 유럽 수학자들 사이의 편 가르기 싸움으로 커졌어요. 라이프니츠는 이 ... ...
- [기획] 코로나19 때문에 살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수 있는 수칙도 제시돼야 한다”고 강조했답니다. 스마트폰 많이 쓰면 살이 찐다?6월 7일, 스마트폰으로 채팅, 게임, 영상, SNS 등을 많이 사용할수록 살이 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보건정책관리학부 오하나 교수팀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시간과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