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등
광원
점화
빛
뉴스
"
조명
"(으)로 총 98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가 제안한 OLED
조명
기술 ‘국제표준’ 됐다
2014.11.11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팀은 이번 표준화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무선전원 OLED
조명
기술을 개발하는 등 다양한 기술적 성과도 함께 거뒀다. 국내외 12편의 논문과 국내외 29편의 특허를 출원했으며 4건의 기술을 기업에 이전했다. ... ...
태양전지에 레드 양자점 붙였더니…
2014.10.23
청색 발광다이오드(LED). 여기서 녹색 LED가 개발됐고, 이들은 기존의 붉은 LED와 함께 LED
조명
으로 모든 색을 낼 수 있는 시대를 열었다. 손동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선임연구원. - K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북분원 복합소재기술연구소 소프트혁신소재연구센터 손동익 ... ...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널리 퍼지면 안 그래도 심각한 빛공해가 더 심해질 게 분명한데다가 LED의 빛 품질이 기존
조명
인 백열전구나 형광등에 비해 건강에 안 좋기 때문이다. 즉 LED 백색광은 햇빛처럼 가시광선 범위의 파장대가 연속적으로 분포한 게 아니라 좁은 파장대를 지닌 청색광, 녹색광, 적색광이 조합돼(또는 다른 ... ...
‘아바타 마우스’는 실험동물의 희생을 줄일 것인가
2014.10.05
실험용 쥐 기술을 연구하는 케네스 몰리브 믹국 컬럼비아대 의대 교수의 이야기를 집중
조명
했다. ‘아바타 쥐’를 연구하고 있는 그가 어떤 과정을 거쳐서 현재에 이르렀는지를 소개하면서 암 실험용 쥐 연구의 최신 동향을 소개하고 있다. 올리브 교수가 처음 연구를 시작할 당시인 2005년에는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나왔다. 또 2012년엔 3쪽에 걸친 인터뷰성 기사가 실렸고(‘네이처’가 한 과학자를 집중
조명
하는 건 1년에 몇 차례 안 된다) 2013년엔 ‘생물학의 최전선’이라는 특집에 사사이 박사 단독 저자인 9쪽짜리 리뷰논문이 실리기도 했다. 십년 쯤 뒤 줄기세포치료에 노벨상이 주어진다면 아마도 사사이 ... ...
악명 높은 ‘프랑켄 푸드’가 식량난 해결할까
2014.08.31
’이 오늘날 존재하는 박테리아와 진핵생물, 고세균으로 분리되는 미스터리한 사건을
조명
하며 생물학, 물리학, 화학, 천문학을 융합한 그만의 답을 내놓는다. 2부의 주제는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생명의 미래’다. 합성생물학은 20세기까지 진행돼 오던 단순 교배나 유전자 조작의 단계를 넘어 ... ...
유리 투명전극을 LED에?
2014.08.20
제공 국내 연구진이 유리와 같은 부도체에 전류가 흐르게 하는 기술을 이용해 차세대
조명
과 광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돌파구를 찾았다. 김태근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팀은 유리 투명전극 기술을 발광다이오드(LED)에 적용하는 데 성공하고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 ...
의식 잃는 '압상스 간질' 원인 찾았다
2014.08.12
생각하던 기존 가설을 부정할 수 있게 됐다”며 “T형 칼슘 이온통로의 역할을 재
조명
할 필요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성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7월 28일자에 발표됐다. ... ...
[과학계 소식]전장수 GIST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수상 外
2014.08.06
UKC-2014에서 과학자들은 ‘함께 앞으로(Forward Together)’라는 주제로 과학기술의 역할을 재
조명
하며 인류가 함께 나아가야 할 미래 방향을 모색한다. 이번 행사에는 한국과 현지 과학기술인 1200여 명이 참석해 최신 연구 성과 등을 소개하고, 약 1000편의 논문 발표와 토론이 이어질 예정이다. ■ ... ...
자신이 가장 똑똑한 사람일 필요는 없다
과학동아
l
2014.07.27
그리고 라이너스 폴링이다. 책은 유전자 연구가 막 진행되던 1950년대 초를 집중
조명
했다. 당시 학계에서는 젊은 박사후 연구원이 DNA의 구조를 밝혀내는 영광을 차지하게 될 것이라곤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다. 일례로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라이너스 폴링은 1951년 단백질의 입체구조를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