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징후
징조
조짐
증후
병상
용태
병세
뉴스
"
증상
"(으)로 총 4,358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졸중도 감시하는 스마트폰 앱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3.02.03
치료를 투여하기 위해 적절한 시간 내에 병원에 오지 못하는 상황에서 뇌졸중의 징후와
증상
을 조기에 감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선 2017년 미국 스타트업이 개발한 약물중독 치료용 모바일 앱인 ‘리셋’이 알코올·대마·코카인 중독자들의 인지행동 치료의 효과를 입증해 ... ...
"코로나 백신과 사지마비 유발 급성횡단척수염 인과성 인정"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신고율이 다소 높았지만 연령별로 큰 차이는 없었다. 특별관심 이상사례(AESI)는 모든
증상
에서 기존 단가 백신의 신고율 대비 감소했다. 특히 응고장애 신고율은 기존 대비 20분의 1 수준으로 가장 크게 감소했다. 다만 호흡곤란은 약 2.4배, 가려움은 3배 이상 신고율이 증가했다. 박병주 코로나1 ... ...
"mRNA 코로나 백신 3차 접종 효과, 모더나가 효과 커"
동아사이언스
l
2023.01.31
1:1 비교연구는 거의 없었다"며 "모더나 백신을 접종 받은 사람들에서 코로나로 인한
증상
및 입원 등 위험이 일관되게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효과 차이에 대해서는 "화이자 백신과 비교할 때 모더나 백신의 mRNA 함량이 더 높기 때문"이라며 "화이자 백신 접종의 경우 부스터 및 3차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시대가 질병을 만든다
2023.01.31
걸 막기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인가, 무시해도 될 일인가. 의학적으로 쉽게 해결가능한
증상
이라면 무엇이든 개인에게 불편함이 없도록 바로잡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인체에 사소하지만 의학적으로 해결 불가능한 문제 또는 고치고 싶은 뭔가가 있다면 그건 질병이 아니라 자연현상으로 ... ...
항우울제, 슬픔뿐 아니라 즐거움도 앗아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4
사람들의 40~60%가 이러한 경험을 겪는 것으로 확인됐지만 약물 부작용인지 우울증의
증상
인지는 불분명했다. 연구팀은 66명의 지원자들을 두 집단으로 나눠 한쪽에는 21일 동안 SSRI 약물인 에스시탈로프람을 복용시켰다. 그 결과 위약을 투여받은 집단과 비교할 때 인지 기능에는 부정적 영향을 ... ...
위암 예방, 당뇨 관리에 중요…명절음식 건강하게 즐기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1.22
궤양 출혈에 의해 대변이 짜장면처럼 검게 되는 흑색변이나 피를 토하는 토혈 등
증상
이 발생할 수 있다. 더 진행해 말기 위암이 되면 복수가 차고 암이 번져나가 여러 군데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위암의 가장 큰 원인은 반복적인 위 염증이다.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되거나 타거나 맵고 짠 음식 ... ...
아침마다 뻣뻣, 퉁퉁 부은 손…겨울철 류마티스관절염 관리법은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규칙적인 생활과 운동, 건강한 식습관을 통해 류마티스 관절염
증상
의 악화 및 합병증을 예방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겨울철에도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짧은 산책이 필요하다. 또 주변의 정서적 지지도 중요하다. 류마티스 관절염을 관리하는 의지를 지지하고 질환에 따른 ... ...
세계 첫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백신 경쟁에 모더나도 합류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있었다고 17일(현지시간) 밝혔다. 이중 RSV에 감염된 64명은 기침이나 고열 등 최소 2개
증상
을 막는 효과가 있었다. RSV가 유발하는 급성호흡기감염증은 폐렴과 천식 등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늦가을부터 겨울철까지 유행하는 대표 질환 중 하나로 1세 이하 영유아나 노약자에서 사망률이 높다. 미국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
2023.01.17
몸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났을까. 페텐코퍼는 콜레라균 복용직후 약간의 소화기
증상
을 보이기는 했지만 콜레라는 발생하지 않았다. 그는 미아즈마가 콜레라의 원인이라는 자신의 학설을 고수했다. 그러나 콜레라균이 콜레라의 원인이라는 주장에 동의하는 학자들이 많아지면서 페텐코퍼의 ... ...
”무서운 망막질환, 방치하면 실명 위험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3.01.16
지키는 방법 당뇨병 등 만성질환자는 우선 질환 관리를 잘 하는 게 중요하다. 특별한
증상
이 없더라도 일찍부터 안과를 찾아 합병증 유무를 확인하고 정기적인 관리를 받아야 한다. 망막의 노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싱싱한 야채와 등 푸른 생선 등 영양 섭취를 잘 하는 것이 좋다.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