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회
회합
위원회
모임
소사이어티
협회
단체
스페셜
"
학회
"(으)로 총 98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변화협약 청정개발체제 그리고 원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5.15
것이다. 즉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COP21에 정식 안건으로 제안할 예정이다. 한국원자력
학회
는 이번에 원전의 온실가스 감축효과에 대한 UN의 인정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교토의정서 채택 당시 원자력발전 시설이 배제된 이유도 환경 문제보다 다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이 ... ...
전 세계 나노 분야의 허브 센터 꿈꾼다
IBS
l
2015.05.07
물론 그동안 한국이 나노 분야에서 축적한 기술은 엄청났다. 이 단장은 "최근 국제
학회
에서 발표하기 위해 자료를 조사하느라 탄소나노튜브, 그래핀이라는 키워드로 논문을 검색했는데, 관련 논문 수에서 한국이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계 3위를 기록했다"고 말했다. 나노과학 분야의 세계적 ... ...
힉스 이후, 한국인이 제안한 3대 입자가 이끈다
IBS
l
2015.05.06
977년 7월 미국물리
학회
지(피지컬리뷰레터스)에는 4쪽짜리 논문이 하나 실렸다. 글쓴이는 미국 국립페르미연구소의 벤저민 리 박사와 스탠퍼드대 물리학과의 스티븐 와인버그 교수였다. 와인버그 교수는 10년 전인 1967년, 피터 힉스 교수 등이 발견한 힉스 메커니즘을 이용해 우주의 물질과 힘의 ... ...
30대 꼬부랑 젊은이, 강직성 척추염 때문
KISTI
l
2015.05.05
폐렴이나 결핵과 같은 감염성 질환에 취약해진다는 약점이 있다. 지난 2월 대학의
학회
지를 통해 발표된 연구결과를 보면 항TNF약물을 투여받은 873명을 대상으로 결핵의 감염 위험을 조사한 결과, 한국인의 평균 결핵 위험도보다 결핵에 걸릴 확률이 41.7%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치료 ... ...
권달관 전국원자력관련학과 교수연합회 회장 인터뷰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8
전문포럼을 2014년 11월 30일에 조직했습니다. 금년 중
학회
설립을 목표로 하고 있어요.
학회
가 설립되고 나면 본격적으로 연구와 교육을 병행하고 방사선카운슬러가 체계화된 국가들과 적극적으로 교류할 예정입니다. 권 회장이 교수로 재직한 신흥대학교 방사선의학 전공생들의 실습 모습. 주요 ... ...
첫 걸음을 뗀 방사선 안전 파수꾼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8
취득했다. 그러나 한국에서의 방사선카운슬러는 이제 막 첫 걸음을 떼었을 뿐이다.
학회
가 구성되고 첫 민간자격증 보유자도 배출했지만 아직 국내에서 방사선카운슬러에 대한 이해가 적어 전문인력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업무의 성격상 공공성도 강해 관련 정책을 어떻게 ... ...
DNA 복구 과정 밝혀 암과 노화 수수께끼 푼다
IBS
l
2015.02.26
받는데, 최근 2차례 리뷰에서 모두 '최우수(outstanding)' 평가를 받았고, DNA 복구 관련 여러
학회
에서 연사로 수차례 초청받았다고 한다. ● NIH 종신연구원 벗어던진 이유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Center for Genomic Integrity) 실험실' 앞에서 포즈를 취한 명 단장. - 이충환 그는 왜 NIH 종신연구원을 ... ...
귀신의 과학
KISTI
l
2015.02.24
체중이 감소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맥두걸 박사의 연구는 여러
학회
지에 실리면서 한 때 떠들썩했지만 인체의 전체 질량에 비해 21g은 극히 적은 양이며 오차에 의한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주장들로 결국 영혼이 존재한다는 것을 명확히 증명해내지는 못했다. 그러나 이 연구 결과는 ... ...
[만화] 9시 등교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KISTI
l
2015.02.02
반대로 비몽사몽이 되는 거지. 몸은 깨어있으나 뇌는 잠자는 상태인 거야. 미국소아과
학회
주장은 청소년의 수면 패턴이 이렇게 올빼미형으로 바뀌게 되니, 차라리 아침에 늦게 일어날 수 있게 등교 시간을 늦추자는 거란다. 우리나라 일부 교육청의 주장도 마찬가지고. 실제로 등교 시간을 늦췄더니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소개한 마틴 펄과 비슷한 삶의 궤적을 밟았다. 즉 본인은 화학에 관심이 많았지만 “큰 화
학회
사들은 유태인을 뽑아주지 않지만 의술은 너 하기에 달렸다”는 아버지에게 설득돼 뉴욕대 의예과에 들어간 것. 9년 뒤에 태어난 펄이 (일자리가 없어 보이는) 물리학 대신 화학공학을 택한 걸 보면 그사이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