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페름기 대멸종 일으킨 충돌분화구 호주서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역사상 규모가 가장
큰
생물 멸종으로 꼽히는 2억5천만년 전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멸종이 소행성 또는 혜성이 지구와 충돌한 결과임을 시사하는 흔적이 호주북동부에서 발견됐다.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 루안 베커 교수팀은 5월 13일 발표한 ‘사이언스’ 온라인 논문에서 이 사건을 ‘베두 ... ...
HOT ISSUE 1. 특명 '아인슈타인의 우주를 검증하라'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선택의 여지가 없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은 블랙홀이나 중성자 별 근처라면
큰
소리로 으르렁거리지만 지구 같은 곳에서는 속삭임조차 거의 들리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상대성이론의 속삭임을 감지하려면 잡음의 수준을 거의 0으로 만들어야 한다. 마치 축구경기장에서 모든 사람에게 ... ...
사막화되는 독도 앞바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받는다. 한편 연안 생태계의 균형이 깨진 결과는 어획량 감소로 이어져 결국 어민들도
큰
피해를 입게 된다.갯녹음의 원인은 아주 복합적인 것으로 보인다. 먼저 온실효과로 인한 수온의 상승과 수중으로의 이산화탄소 유입을 들 수 있다. 그 결과 바닷물 속의 칼슘이온(${Ca}^{2+}$)이 고체인 탄산칼슘 ... ...
03. 짝짓기 시장의 치열한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진화적인 시각에서 보면 연인 사이에서 당장 눈앞의 유혹을 물리치고 장기적으로 더
큰
이득을 보기 위해 서로에게 헌신하게 만드는, 자연선택에 의해 만들어진 복잡한 정신현상이다. 장기적 이득은 배우자와 자신의 유전자를 후세에 전할 수단인 자식을 낳아 키우는 것을 뜻한다. “네 IQ는 ... ...
서울대 물리학부 국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몰랐던 것을 배우고 ‘국양표 STM’ 에 가깝게 다가갈 수 있다는 점이 국교수에겐 더
큰
힘이었다. 그 덕에 STM 개발에 착수한 지 2년만인 1984년 4월 22일 나사에서 소프트웨어까지 직접 만든 ‘국양표 STM’ 으로 실리콘 원자의 표면을 볼 수 있었다.‘뚝딱’ 만드는 일은 어려서부터 최고국교수가 1984년 ... ...
우주공간에 있는 거대 다이아몬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은하핵은 화살 끝에 있던 다이아몬드가 아닐까.은하 충돌은 우주에서 일어나는 가장
큰
규모의 충돌 사건이지만, 단순하게 깨지고 부서지는 과정만은 아니다. 큐피드의 화살이 사람의 마음에 사랑을 불러일으키듯이 은하 충돌은 창조의 사건을 가져온다. 아픔만큼 성숙해진다고 할까. 고리를 이루는 ... ...
"인간을 중심에 둔 과학만이 인류의 미래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있다. 그러니까 이책에서 다루고 있는 과학사는 자연과학에 한정되지 않고 인류 문화의
큰
흐름을 모두 섭렵하고 있는 셈이다.브로노우스키는 인간이 자신의 지평을 끊임없이 확대하고 또 반대로 파괴하는 현장을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 20세기의 ‘자연철학’ 을 도출해내고 싶었다고 한다. 그는 ... ...
마지막 순간 선택의 문을 바꿔라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미국 TV 쇼 프로그램인 ‘거래를 합시다’ 는 바로 선택의 순간을 구경거리로 제공해
큰
인기를 끌었다. 이 프로그램은 이후 여러 차례 새로 만들어져 미국인에게 ‘순간의 선택이 평생을 좌우한다’ 를 잊지 않게 해줬다. 1991년 9월 어느 일요일, 미국의 대중잡지인 ‘퍼레이드’ 에 이 프로그램을 ... ...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은 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발전 같은 출력이
큰
것에는 적당하지 않으나 출력 수만 Kw까지는 만들 수 있으므로
큰
공장 내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예가 많다이온 로켓(ion rocket)의 하나 기체 방전(氣體放電)으로 생긴 플라즈마를 냉각된 금속의 작은 구멍으로 분출시켜서 만든 고온·고속의 가스 기류로 분사시키는 로켓 ... ...
위성이 안전 착륙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발생한 것이다.활주로마다 양방향의 계기착륙시스템이 필요하다면 활주로가 여럿인
큰
공항에서는 그 수가 너무 많아진다. 게다가 여러대의 항공기가 중복된 신호를 받지 않도록 각 시스템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를 통해 전파를 송출해야 한다. 따라서 유럽이나 미국처럼 대규모 공항이 밀집된 ... ...
이전
911
912
913
914
915
916
917
918
9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