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d라이브러리
"
미국 항공 우주국
"(으)로 총 1,488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리보다 빠른 스카이다이빙 성공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살의 미 공군 조종사가 수립했다. 이번 도전에는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전문가 수십 명이 참가한다. 성층권까지 올라갈 기구와 스카이다이버를 보호할 가압 캡슐의 제조, 점프와 관련한 세부 계획과 특수 복장의 제작까지 도맡았다.
항공
생리학 연구자들은 이번 도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 ...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펜실베이니아대에서 천문학 박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항공우주국
(NASA)에 한국인으로는 첫 연구원이 됐다. 이후 메릴랜드대 교수 등을 거쳐 1969년부터 연세대에서 교편을 잡았다. 몇 년 전 재미과학자인 신재원 박사가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NASA 국장보급인
항공
연구부문 총책임자에 오르면서 ... ...
화석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저 미화석만 겪어 본 특이한 연구거든요.1996년,
미국항공우주국
(NASA) 존슨우주센터의 데이비드 매케이 박사는 남극에서 발견된 ALH84001이라는 운석에서 미화석을 발견했다고 주장했어요. ALH84001은 약 39억 년 전에 화성에서 만들어진 돌이에요. 매케이 박사는 여기에 당시 화성에 살던 미생물이 화석이 ... ...
두 소행성 충돌이 낳은 우주방랑자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최근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두 소행성이 충돌해 생긴 것으로 추정되는 혜성 ‘P/2010 A2’의 사진을 공개했다. 이 혜성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소속 링컨지구근접소행성연구팀(LINEAR)이 1월 6일 처음 발견했다.시속 17만km로 우주를 날아다니는 이 혜성은 태양에서 3억km, 지구에서 9000만km 떨어진 곳을 . ...
끝없는 도전의 산물 NASA 우주복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사실은 여러 실험에서 이미 증명됐다. 1965년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한 연구 시설의 저압실 안에서는 테스트 중이던 우주복이 터지면서 사람이 진공상태에 노출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당시 이 남성은 진공 상태에 노출된 지 약 15초 만에 의식을 잃었는데, 이는 산소가 부족한 피가 폐에서 뇌까지 ... ...
블랙홀 ‘식성’, 생각보다 까다롭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하버드대 천문학과 로만 슈체르바코프 박사팀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찬드라 X선 우주망원경으로 ‘궁수자리 A*’로 명명된 블랙홀(사진)을 2주간 관찰한 결과 빨아들인 우주먼지의 99.99%를 다시 내뱉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당초 과학자들은 블랙홀이 빨아들인 먼지의 1% 정도를 흡수할 거라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무게를 포함하지 않은 것이다. 참고로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만든 우주왕복선은 고작 2000t에 지나지 않는다.연료 무게만 획기적으로 줄여도 장거리 우주여행의 가능성이 조금이나마 열리는 셈이다. 그렇다면 암흑물질을 어떻게 우주선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을까. 암흑물질의 정체도 아직 밝혀지지 ... ...
웰컴투 초음속 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아직 연구 중인 엔진으로, 지난해 12월 초에
미국항공우주국
에서 시험 비행에 성공했답니다.❶ 스크램제트는 미사일용 엔진으로도 개발되고 있다.
미국
은 지난 12월 9일 스크램제트 미사일 ‘X-51A(흰색미사일)’의 시험비행을 실시했다.❷ 현재 전투기에 이용되는 제트엔진은 소리의 속도의 2배 ... ...
한반도 상공 지킬 비밀 병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석·박 사 학위를 취득하게 된다. 선발 방식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적용하는 우주비행사 선발 기준을 따를 예정이다. 우주비행사의 신체 조건은 일반 조종사보다 까다롭다. 공군은 1단계로 우주실험전문가를, 2단계로 우주비행사를 뽑는다는 계획이다. 우주실험전문가는 해외 우주인 훈련기관에서 ... ...
사이언스誌 선정 10대 과학뉴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내보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2008년 6월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쏘아올린 페르미감마선우주망원경은 우주 곳곳에서 감마선을 내보내는 펄서를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펄서 바깥의 자기층에서 감마선이 나온다고 추측했는데, 추가 연구를 통해 펄서의 실체를 밝힐 전망이다.모노폴 유사물질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