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기"(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다양한 연구 분야만큼 면면도 화려하다. 총 33명에 이르는 교수진이 공정시스템, 무기 및 전기전자 소재, 고분자 및 유기 소재, 생물환경 등 크게 네 가지 연구 분야에서 많은 성과를 내고 있다. 교수 한 명이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저널에 연간 평균 8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하고 있다. 활발한 ... ...
- [과학뉴스] 달팽이에게 기억 이식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전기 충격을 주자, 기억을 이식받은 달팽이는 몸을 움츠리는 방어 반응을 보였지요. 즉, 전기 자극에 대한 반응을 훈련 받은 달팽이의 기억이 그렇지 않은 달팽이에게 이식된 거예요. 반면 충격 훈련을 받지 않은 달팽이의 RNA를 이식 받은 경우에는 아무런 반응이 없었답니다. ● RNA : DNA가 가지고 ... ...
- [과학뉴스] 카멜레온처럼 색 변하는 전고체 소재 개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광결정에 전기 자극을 줘 광결정 구조의 간격을 조절, 반사하는 빛의 색을 변화시켰다. 전기를 이용해 색을 변화시킬 수 있는 광결정 구조 연구는 이전에도 있었지만, 액체 환경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광결정 소재를 유연한 전고체 상태의 필름 형태로 만들어 굴곡진 ... ...
- Part 2.깃털의 원조는 공룡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날 수 없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최초의 깃털이 보온 용도였을 것으로 확신한다. 백악기 전기의 랴오닝성 일대는 잦은 화산 폭발로 인해 다른 지역에 비해 추웠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깃털로 덮인 시노사우롭테릭스는 당시에 벌거벗은 다른 공룡들보다 훨씬 따뜻한 나날을 보냈을 것이다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통해 임상시험을 위한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 현재 닥터 허준은 상용화를 위한 전기전자 안정성 시험과 인허가 절차를 밟고 있다. 인허가가 끝나면 로봇과 함께 상용화에 들어갈 예정이다. 아직 기술적·기계적 완성도를 높여야 하는 숙제가 남아 있다. 하지만 닥터 허준을 잘 발전시킨다면, 비단 ... ...
- [과학자의 부엌] 소금과 유산균의 콜라보, 김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설정해 발효가 진행되는 속도를 조절하는 김치냉장고입니다. 조리과학과 물리학, 전기공학, 기계공학이 힘을 모아 최적의 전통 식품을 지켜내고 있는 셈입니다 ... ...
- [Career] DGIST 에너지공학전공 - 수소연료전지차의 마지막 퍼즐 최고의 촉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백금끼리 뭉쳐서 표면적이 줄어 활성이 빠르게 감소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연료전지의 전기화학반응이 계속되면 탄소가 이산화탄소로 바뀌면서 지지체가 날아가게 된다. 만약 탄소 지지체가 사라지면 여기에 붙어있던 백금도 떨어져나가고 백금끼리 뭉쳐 활성도 역시 크게 떨어진다. 유 교수는 ... ...
- Part 1. 인공위성 IMAGE를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위성을 추적하게 됐나요?학교에서 수학과 과학, 공학을 배울 때 정말 재밌었어요. 그런데 전기 기술자로 일을 하게 되니 학창시절에 배운 지식을 모두 쓰지는 않더라고요. 수학과 과학을 더 많이 공부하고 싶어서 위성에 대해 공부하고, 위성을 추적하는 취미를 갖게 됐답니다.Q. IMAGE 위성의 행방은 ... ...
-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지금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시에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특징을 잘 알아야 한다. 전기 변환 효율은 미국 국립재생가능에너지연구소(NREL)가 집계한 2018년 7월 기준 연구용으로 달성한 최고 효율을 기준으로 했다 ...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약간 커질 가능성이 높다.전문가들은 ITER의 1.5~2배만 돼도 충분히 목표치 이상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정 단장은 “규모가 크다고 무조건 전력 생산효율이 높은 것은 아니다”라며 “장치가 너무 크면 건설에 들어가는 비용과 시간이 불필요하게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라고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