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Zone
구역
시골
지방
지대
죤
d라이브러리
"
존
"(으)로 총 1,283건 검색되었습니다.
박테리아가 만든 황제의 상징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환원제를 사용합니다. 전통 염색은 이런 화학물질이 필요없는 친환경 염색법인 셈이죠.
존
박사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대량 염색법을 연구하고 있는 중입니다.한편 인디고도 요즘엔 석탄이나 석유에서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또 유독물질이 부산물로 나와 골칫거리입니다. ... ...
인간 배제된 채 기계 액션만 난무 터미네이터는 돌아왔는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스카이넷의 반란은 실패할 수도 있었다. 그리고 터미네이터가 등장하지 않았다면
존
코너는 인류의 지도자가 될 수 없었을 것이다. 1편과 매우 흡사한 구조다.만일 타임머신을 통해 역사를 바꿀 수 있다면 단순한 탐사 여행만으로도 우리의 역사는 엄청나게 바뀔 수 있다. 뉴욕의 나비가 날갯짓을 ... ...
4 인간 감성 충족시키는 생각하는 기계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그럴듯한 의상 디자인을 생성해낼 수 있다.3개의 부분으로 재구성된 여성복 디자인은 기
존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각각 독립된 3차원 모델로 만들고, 이들의 조합에서 개체가 만들어지도록 한다. 의상을 디자인하는 것은 결국 의상의 기본 요소로 구성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조합 중에서 최상의 ... ...
산호 2030년까지 60% 파괴 예상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깊은 바다 속에서 아름다운 색을 뽐내는 산호가 멸종 위기를 맞았다. 최근 병에 걸리면서 희게 표백된 산호가 많아졌다는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 번성하게 했던 환경 조건을 급격히 변화시킬 것”으로 확신했다. 따라서 산호의 생
존
을 위해 해양보호지역을많이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
꼬마 소금쟁이가 물위에서 걷는 비결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키웠는데, 그럴 경우 발목이 막대한 몸무게를 견딜 수 없다. 이런 괴물은 현실에서
존
재할 수 없는 것이다.그렇다면 거대한 소금쟁이는 영화에 출현할 수 있을까. 소금쟁이가 물에 뜨려면 몸무게가 늘어날수록 다리 길이도 비례해서 늘어나야 한다. 그래야 뜨게 해주는 표면장력도 커진다. 실제 조사 ... ...
95광년 밖에서 태양계의 형제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행성의
존
재를 확인했다고 발표했다.별과 행성의 중력 작용으로 인한 교란을 분석해
존
재가 확인된 이 행성은 목성과 상당히 비슷하다. 목성의 약 2배 크기이고 태양과 지구 사이의 3배 이상 되는 거리에서 별 주위를 거의 원형 궤도로 돌고 있다. 태양으로부터의 거리가 지구의 5.2배인 목성보다 작은 ... ...
SF 작가의 공상에서 태어난 통신위성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이것은 공상에 지나지 않았지만, 1954년 미국 전신전화회사(AT&T)의 연구소에서 일하던
존
피어스가 통신위성의 상업적인 성공가능성을 주목했다. 피어스는 당시 비용이 많이 들던 해저케이블로 대륙들을 연결하는 것보다 위성이 훨씬 경제적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십억달러를 벌어들일 수 있는 ... ...
쿠루병 감염 원인 식인 행위로 추정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콜린지 박사는 사람 고기가 바로 질병의 원인이었을 것이라고 말한다.쿠루는 주로 뇌에
존
재하는 단백질인 프리온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이다. 일반적인 단백질은 3차원 구조가 변형되면 대부분 기능을 상실한다. 그러나 프리온은 구조가 변형되면 주변에 있던 정상 프리온도 자신과 같은 형태로 ... ...
뜨거운 지방에 사내아이 많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의한 불임의 가능성도 예측할 수 있다.정자는 왜 작은 온도 변화에도 변성되거나 생
존
하기 어려웠을까? 이에 대해 명확히 밝혀진 것은 없지만 아마도 세포예정사에 의해 정자가 죽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라는 견해가 있다. 세포예정사 시나리오 중에는 세포들이 산소 가운데 일부인 활성산소가 ... ...
태양 표면은 울퉁불퉁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이뤄진 수백km 높이의 산정상과 계곡을 보여준다. 노스브릿지 소재 캘리포니아주립대
존
로렌스 교수는 이번 사진을 통해 태양의 밝은 부분인 백반을 이해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백반은 태양 표면에서 온도가 높은 부분으로 자기장에 의해 생성된 구멍이라고 생각됐다. 그러나 사진은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