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방탈출 in 스페이스] 드디어
지구
에 도착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3호
“국제우주정거장(ISS)은
지구
에서 400km. 바로 저기가
지구
야!”동글이가 가리킨 곳엔
지구
가 푸른빛을 내며 수연과 동글이를 환영하고 있었다. “이제 집에 갈 수 있어!”우주 식물에게 잡아먹힐 뻔하고 우주 해적으로 오해받고…. 그동안의 일들이
지구
를 바라보자 주마등처럼 스쳐갔다.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3호
그런 물체를 말해요. 소행성이나 혜성은 지나간 자리에 많은 먼지를 남기는데, 이 주변을
지구
가 지나면 여러 개의 유성이 한꺼번에 떨어지는 유성우가 생기죠.유성우는 대부분 어두운 유성이 소규모로 떨어지기 때문에 눈에 잘 띄지 않지만, 3대 유성우 중 하나인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많은 수의 ... ...
[특집] 감마선 폭발 vs 우주 쓰레기? 과학자들, 논쟁을 벌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3호
주장했습니다. 인공위성의 잔해부터 로켓 부스터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우주 쓰레기가
지구
궤도를 돌고 있어요. 덴마크 연구팀은 섬광이 감마선 폭발보다 우주 쓰레기에서 반사한 빛일 확률이 100만~1000만 배 정도 높다고 계산했지요. 한편, 폴란드 연구팀은 중국 연구팀이 관측에 사용한 켁 망원경●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3호
규조류의 수를 헤아리면 1000만 개는 넘을 거예요. 규조류는 다른 식물성 플랑크톤과 함께
지구
에 공급하는 산소의 50% 가량을 생산한다고 알려져 있답니다 ... ...
[현장취재] 자연과 하나되는 생태관광!가을 바람 타고 운곡람사르 습지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2호
자연과 하나되는 여행, 즐기는 법!전라북도 14개 시군에서는 기후변화와 환경으로부터
지구
를 지키는 특별한 여행법을 만날 수 있습니다. 동아사이언스 탐험대학과 전라북도가 함께 준비한 ‘생태관광’을 체험해 보세요! 자세한 내용은 함께 제공된 브로마이드를 참고하세요 ... ...
[스미스의 탐구 생활] 암석과 모래에 숨은 보물을 발굴하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2호
반응하지 않아,
지구
대기 중에서 아주 천천히
지구
를 벗어나 우주로 날아가 버리거든요.
지구
에 있는 헬륨은 보통 지하의 천연가스에 들어 있어요. 천연가스를 채굴한 뒤 이를 영하 254℃로 냉각시키면, 끓는점 차이에 따라 액체 상태의 헬륨을 다른 물질과 분리할 수 있어요. 이렇게 얻은 고순도 ... ...
[기획] #감각 #기후변화 #유기촉매 노벨상 2021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2호
먹으면 왜 매울까요?
지구
온난화가 일어난다는 건 어떻게 알게 된 걸까요? 우리가 먹는 약품은 어떻게 만드는 걸까요? 이 궁금증에 대한 답변이 궁금하다면 올해 노벨상을 주목하세요! 노벨상의 주인공과 그 연구를 어린이 눈높이에 딱 맞게 설명해 드림!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기획] ... ...
[기획] 복잡한 세상! 어떻게 예측하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2호
여러 요소가 복잡하게 얽혀 쉽게 예측할 수 없는 현상을 만들어내는 시스템을 말해요.
지구
기후가 대표적인 복잡계죠. 이탈리아 사피엔자대학교 조르조 파리시 교수는 복잡계를 이해하기 위해 ‘쩔쩔맴 현상’이라는 이론을 제시했어요. 쩔쩔맴 현상은 어떤 현상일까요? 예를 들어 한 장소에 서로 ... ...
플라스틱 다이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2호
캠페인’을 행동으로 옮기고 있죠. 여러분들도 플라스틱 다이어트 프로젝트에 참여해
지구
를 구하는 영웅이 되어 주세요~! 줍깅탐사환경을 위해 줍깅하기!박성희 기자편의점 앞에 쓰레기들이 있어서 줍깅했어요. 환경을 위해 주웠다고 생각하니 정말 뿌듯했어요. 줍깅탐사줍깅으로 주운 ... ...
[이달의 과학사]1998년 11월 20일 국제우주정거장(ISS) 우주 건설 시작!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2호
함께 참여해 ISS를 만들기로 했지요.ISS는 1998년 11월 20일, 첫 번째 모듈인 ‘자랴’가
지구
궤도에 올라오면서 시작되었습니다. 한 번에 모든 부품을 발사할 수 없어 우주정거장을 구성하는 부품인 모듈을 하나씩 발사하여 조립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원래는 2005년 완성 예정이었으나 경제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