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트
최초
시작
시초
출발점
개시
출항
d라이브러리
"
출발
"(으)로 총 2,256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과학의 불 밝힌 유영숙 박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통합생물학은 단일학문으로는 생명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불가능하다는 개념에서
출발
한 학문이다. 세포가 외부자극에 반응할 때 세포내의 신호 단백질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핵 안 신호전달을 통해 어떤 생물학적 반응이 일어나는지에 관한 복합적인 연구를 수행한다. 유 박사는 올초 ... ...
우리 손으로 그린 첫 남극 그림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손으로 그린 첫 남극 그림지도인천을
출발
한 비행기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닿았다. 여기서 비행기를 갈아타고 칠레 산티아고에 내렸다. 다시 비행기를 타고 칠레 남부의 푼타아레나스에 닿았다. 이곳이 남극의 문턱이다. 드디어 세종과학기지에 들어가는 길! 금방이라도 도착할 듯이 설레는 ... ...
기대와 숙제를 동시에 남긴 2010 F1 코리아 그랑프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못했다. 머신 24대가 동시에 스타트하지 못하고 세이프티 카(safety car)를 앞세워 차례대로
출발
했다. 세이프티 카는 스타트 후에도 한동안 맨 앞에서 머신을 이끌었다. 세이프티 카가 있을 때는 앞차를 추월할 수 없다. 따라서 속도로 경쟁하는 다른 대회에 비해 재미가 반감됐다. 이유는 서킷에 ... ...
하늘을 읽는 삼각법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별자리 지도를 믿고 하늘과 바다만 보이는 큰 바다로 항해를 나설 수 있었다.삼각법의
출발
삼각법은 기원전 150년경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히파르코스에 의해 시작됐다. 히파르코스는 가장 위대한 그리스 천문학자로 관측소를 세워 여러 관측도구를 발명해 천체를 관측했다. 잴 수 없는 거리를 ... ...
붕~, 떠서 달린다! 자기부상열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있다.
출발
! 자기부상열차가슴이 두근두근, 드디어 자기부상열차에 올라탔어. 그럼
출발
해 볼까? 원리 노트 ① 전자석의 힘으로 뜬다!자기부상열차를 뜨게 만드는 힘의 비밀은 바로 열차 아래에 달려 있는 전자석. 전자석은 전기와 만나면 자석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 이 때문에 전기를 받은 ... ...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비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찾았다. 이처럼 유클리드의 다섯 번째 공리에 관한 의심에서
출발
한 비유클리드 기하학은 미시공간과 극대 공간을 해석하는 이론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서로 다른 생물이라고 해도 같은 목적을 위해 진화한 기관은 모양이 비슷할 확률이 크다.
출발
은 달라도 똑같은 문제를 해결하다 보니 똑같은 결론에 도달한 셈이다. 대표적인 예로 날개, 눈, 광합성 능력, 팔이나 다리가 있다. 지구와 비슷한 환경에서 진화했다면 외계생명체라고 해도 하늘을 날기 ... ...
변화무쌍 수조 진짜 남극바다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초속 2.5m로 운항 실험을 진행한다. 30분의 1 크기로 축소된 모형선에 페인트를 바르고
출발
시키면 달리는 동안 배 표면에는 주위의 물 흐름과 유사한 줄무늬(유선)가 나타난다.선형시험수조는 다른 수조에 비해 모형선을 장시간 운항시킬 수 있다. 해양운송연구부 안해성 선임연구원은 “배가 달리는 ... ...
똑딱이로 찍은 명품 항공사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30km 상공의 대기권과 성층권 경계 지점까지 올라갔다가 3시간 30분 뒤인 오후 3시 11분
출발
지점에서 150km 떨어진 경북 의성군 생송리에 떨어졌다. 카메라에는 사진이 888장 촬영됐는데 그중에는 지구의 곡선과 기상 상황이 선명하게 찍힌 대기권 사진도 있었다.김 씨는 “외국 사례에서 낙하한 박스가 ... ...
꼭 의사가 되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사는 걸 되려 장점으로 만들어봐.” 지역에 대한 관심을 갖는 데서부터 봉사활동은
출발
한다. 지역에서 자라며 얻은 것들을 고마운 마음으로 환원하는 것. “아버지가 지금 반딧불이 복원을 연구하고 계세요. 그래서 저도 어렸을 때부터 곤충을 무척 좋아했어요. 생명이 가장 소중하다고 생각하고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