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형태"(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노트] 지방은 어디로 가는가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몸에서 지방은 글리세롤 한 분자에 지방산 세 개가 결합한 트라이글리세리드(C55H104O6) 형태로 존재한다. 이 화학반응식에 따르면 트라이글리세리드 10kg을 잃어버리면(지방 10kg을 빼면) 8.4kg은 이산화탄소로, 1.6kg은 물로 배출된다(대·소변, 땀, 눈물 등이다). 2014년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 ... ...
- 살이 빠지는 화학반응이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포함된 탄수화물은 단당류인 포도당(glucose)과 과당(fructose), 이당류인 유당(galactose) 등의 형태로 체내로 섭취된다. 이들은 아밀레이스와 같은 소화 효소의 작용으로 잘게 분해돼 글루코스-6-인산(glucose-6-phosphate)이라는 당질 대사의 중간 생성물로 바뀐다. 탄수화물 대사에서는 글루코스-6-인산이 매우 .. ...
- 초음속기vs하이퍼루프vs위그선...진정한 ‘번개’를 가리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생성을 최소한으로 줄였다. 총 29m에 이르는 기체에서 조종석이 가운데에 놓여 있는 형태다. 또 항공기 주 날개 앞쪽에 작은 날개(canard)를 달아 기체 주변에 압축되는 공기를 분산시켰다. 앞코가 길어져 조종사의 시야에 제약이 생기는 문제는 카메라를 달아 해결했다. NASA는 올해 하반기 X-59 퀘스트의 ... ...
- [기초과학의 힘] 빛으로 이산화탄소 잡는다...인공광합성 하는 광촉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무색, 무취의 백색 분말이다. 자연 상태에서는 아나타제(anatase)와 루타일(rutile) 두 가지 형태의 결정으로 존재한다. 이런 단일 결정 외에 두 결정이 4대 1의 비율로 혼합된 아나타제-루타일 이산화타이타늄이 있다. 아나타제-루타일 이산화타이타늄은 자외선을 흡수해 물과 이산화탄소를 메탄,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기둥 없이 튼튼! 지오데식 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평면과 입체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데, 고척 스카이돔의 지붕은 입체적인 돔 형태로 만든 ‘지오데식 돔’에 속하지요.트러스 구조가 안정적인 이유는 삼각형의 성질에 있어요. 삼각형은 세 변의 길이가 정해지면 단 하나의 모양만 만들 수 있거든요. 이 때문에 삼각형 구조물은 한 변을 ... ...
- [융복합 파트너@DGIST] '씨앗' 키워 정제까지...친환경 퀀텀닷 레시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기술이 곧 그 연구실만의 노하우가 된다.이 교수팀은 인화인듐을 1.9nm 크기의 ‘씨앗’ 형태로 만든 뒤 이를 키우는 방식으로 일정한 크기의 퀀텀닷 입자를 구현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490~650nm 파장을 흡수해 붉은 색을 구현하는 퀀텀닷을 제작하면서 씨앗 입자를 키웠고, 이를 한 번 더 ... ...
- [헷갈린 과학] 흑당 VS. 흑설탕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가라앉은 불순물을 제거하고 끓인 뒤 원심분리기에 넣으면, 끈적끈적한 검정색 시럽 형태의 ‘당밀’과 황갈색 결정 ‘원료당(원당)’이 분리된다(1차 정제). 여기서 원료당을 탈색하면(2차 정제) 백설탕, 이후 백설탕에 분리했던 당밀을 섞으면 갈색설탕이 된다. 여기에 시럽이나 카라멜 색소를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기후(climate), 유전체(genome)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생명체의 세포가 증식할 때 나타나는데, 현미경으로도 관찰할 수 있어 유전물질의 형태 중 초기에 알려졌지요. 이런 염색체 전부를 가리키기 위해 윙클러는 용어 ‘게놈’을 만들었답니다 ... ...
- [한페이지 뉴스] 심우주 첫 손님, 오무아무아 탄생의 비밀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이유도 새롭게 찾아냈다. 일반적으로 혜성이 태양을 지날 땐 표면 얼음 등이 녹아 가스 형태로 빠져나가면서 속도가 빨라진다. 하지만 과거 연구에서 오무아무아는 표면 변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오무아무아 표면 아래에 묻혀 있던 물(H2O)이 가스로 빠져나가며 속도가 빨라진 것으로 ... ...
- [퀀텀닷 완전정복]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소비하던 니켈카드뮴 이차전지 역시 니켈금속수화물이나 리튬이온, 리튬폴리머 등 다른 형태의 배터리로 대체되는 추세다.퀀텀닷도 같은 흐름이다. 인체와 밀접하게 닿는 디스플레이, 심지어 체내로 집어넣는 바이오이미징 분야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카드뮴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웨어러블이나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