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적
용적량
분량
함유량
산출량
뉴스
"
용량
"(으)로 총 1,592건 검색되었습니다.
버스 와이파이 속도 120배 끌어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30
서비스에 활용하고 있는 버스 와이파이 속도는 20Mbps 내외다. 그마저도 승객이 많거나 대
용량
콘텐츠를 즐기는 경우 체감 속도는 더 떨어진다. 영상을 내려받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김일규 ETRI 미래이동통신연구본부장 연구팀은 22기가헤르츠(GHz) 대역 밀리미터파 주파수를 활용해 버스와 지상 ... ...
바이오 데이터 국가적으로 관리하고 제공하는 정보센터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30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는 앞으로 국민, 연구자, 산업계를 대상으로 대
용량
바이오 데이터 분석 시스템 개방해 운영한다. 국가생명연구자원의 통합정보시스템 및 범부처 생명연구자원 정보 연계를 통한 생명연구자원 및 유전체 정보의 활용체계 구축의 역할도 맡는다. 국내외 관련 기관과의 ... ...
1초에 고화질 IPTV 영화 두 편 쏘는 대
용량
광 전송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1.26
확보하는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개발 기술은 광통신에서 초고속 대
용량
데이터 연결에 필요한 핵심 기술”이라며 “고품질 영상 및 초실감 미디어 서비스 등에 필요한 광인프라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옵틱스 익스프레스’ 1월 ... ...
노약자 행동 11만건 '돌봄로봇' 개발자들에게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9
ETRI 연구진이 수집한 데이터와 모형을 통해 휴먼케어 로봇을 연구하고 있다. ETRI 제공 국내 연구팀이 노약자의 생활을 곁에서 돕는 ‘돌봄(케어) 로봇’을 ... 생성할 수 있는 데이터 플랫폼도 만들었다. 이들을 이 플랫폼으로 만든 또다른 대
용량
데이터를 2020년 추가로 공개할 예정이다. ... ...
리튬이온전지보다 에너지 밀도 높은 리튬금속전지 안정성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7
“차세대 이차전지로 꼽히는 리튬금속전지를 안정화할 방안을 제시했다”며 “고
용량
전지가 필요한 드론이나 전기차,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최신호에 게재됐다. ... ...
고주파 무선으로 전력 공급받은 경전철 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4
300킬로와트(kW)급 무선급전시스템과 무선급전선로를 설치하면 차량에 탑재하는 배터리
용량
을 약 3분의 1 이하로 줄일 수 있다. 나희승 철도연 원장은 “무선급전기술은 철도 교통 패러다임을 바꾸는 신기술이 될 것”이라며 “상용화를 앞당겨 세계 철도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 ...
수명 늘고 안전성 확보한 ‘리튬 황 전지’ 제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형상의 리튬-황 전지를 제조해 성능을 테스트했다. 이상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고
용량
, 고안전성 전고체전지를 만드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했다”며 “가위로 자르거나 불을 붙여도 정상 작동하는 안전한 구조를 구현한 것으로 리튬-황 전지의 실용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전기車 ‘리튬이온배터리’ 수명 다하면?
동아사이언스
l
2019.11.08
성능이 현격히 떨어지는 것과 같은 이치다. 문제는 3, 4년 내에 전기차에 사용됐던 대
용량
폐배터리가 대량으로 나온다는 점이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7일 리뷰 논문을 통해 수명이 다한 리튬이온배터리가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어 재사용(Reuse)과 재활용(Recycle) 연구의 필요성이 ... ...
“시스템반도체 성공하려면 AI웨어·뉴로모픽 집중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11.06
탑재된 AI 기반 자율주행 시스템반도체가 소모하는 전력이 자동차에 탑재된 배터리
용량
의 8%에 달한다”며 “주행가능 거리의 10분의 1 가량을 반도체가 소모하고 있는 셈인데 전력을 낮추려는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이날 포럼에서 패널로 참여한 손광준 ... ...
시야 꽉 채우는 초고화질 영상, 시차 없이 지구 반대편까지 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및 형태 오류를 보정해 마치 한 대로 찍은 것처럼 자연스러우면서도 시야각이 넓다. 대
용량
영상이지만, 이를 전송할 때에도 지연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암스테르담 경기장에서 ETRI 연구원이 국제협력기관과 함께 시스템을 설치하고 시험하고 있다. 여러 대의 카메라로 찍은 영상을 자연스럽게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