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아름다운 별 푸르체리마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사냥꾼 아르카스가 변신한 모습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자신의 어머니가 변신한
큰
곰을 사냥하려한 비극의 주인공이다. 아크투르스에서 좌우로 뻗은 2개의 별이 목동의 다리부분이며, 아크투르스 북쪽의 5각형이 몸통이다. 5각형의 왼쪽 아래 꼭지점인 목동의 허리춤에서 푸르체리마가 빛나고 있다 ... ...
1. 복제양 돌리와 줄기세포의 만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개발한 기술들은 모두 특허 출원한 상태"라고 밝혔다.‘원재료’ 도 배아 복제 성공에
큰
기여를 했다. 황 교수팀의 연구결과를 접한 해외 과학자들은 무엇보다도 건강한 상태의 난자를 대량 확보한데 놀라움을 표시했다. 시벨리 박사는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난자가 2백개 이상이었다고? 와우 ... ...
3. 배아 줄기세포 치료이용, 그 머나먼 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조직으로 분화시키기가 매우 어렵다”며 “따라서 성체 줄기세포 중에서 증식력이
큰
것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특히 유방 줄기세포와 자궁 줄기세포에 관심이 높다.“월경을 생각해 보십시오. 매달 자궁내막에 엄청난 조직이 생겼다가 떨어져나가는 일이 반복됩니다. 줄기세포 ... ...
나노기술 미래의 시한폭탄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계속해서 증가했다.나노입자이 뇌로 침투할 수 있다는 오베도스터 박사의 연구결과는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에 대해 서울대 보건대학원 백도명 교수는 “설탕가루 자체가 흡수된 셈”이라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설탕은 체내 물질에 녹아 다당으로 분해돼야 몸에 흡수되지 설탕가루 자체가 ... ...
열대 곤충과 함께한 6일간의 정글 탐험 리포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타만네가라 리조트에 닿는다. 보트로 이동하는 템벨링 강의 주변에는 말레이시아 경제에
큰
영향을 주는 팜유 생산의 원목인 팜나무들이 무성하며 자신의 무게조차 지탱하기 힘들어 휘어져버린 대나무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다.강가에는 원숭이들이 가족 단위로 몰려다니고, 워터모니터(Water ... ...
사랑에 눈먼 두뇌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과정은 성호르몬의 작용으로 이성을 찾는 것이죠. 그 다음부터는 두뇌의 보상중추가
큰
역할을 합니다.피셔 박사는 지난해 사랑에 빠진 사람을 찾는다는 광고를 보고 찾아온 17명의 자원자들에게 연인의 사진과 그냥 알고 지내는 사람의 사진을 차례로 보여주면서 뇌기능의 변화를 조사했습니다. 그 ... ...
전산수학 개척자 마이크로소프트의 김정한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그룹이 반드시 존재하는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를 따져보는 겁니다. 저는 이 문제에서
큰
집단의 크기가 정확히 얼마일 때면 작은 집단이 반드시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지를 알아냈어요. 물과 얼음의 경계인 0℃를 밝혀낸 것과 같아요. 그 연구결과는 사이언스에 95년 게재됐죠.상을 받았을 때 ... ...
50광년 밖 다이아몬드 별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별의 핵은 다이아몬드 단위로 환산하면 ${10}^{34}$ 캐럿 이상이다.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큰
다이아몬드는 5백30캐럿의‘아프리카의 별’로 다이아몬드 별과는 크기가 비교도 안 된다. 이 별을 발견한 천체물리학센터의 트래비스 메트캘페는 “다이아몬드 별을 감정하려면 태양 크기 만한 루페가 ... ...
제주서 5만년 전 사람 발자국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발자국 화석이 한반도에서 인류의 초기 활동을 연구하는데 신기원을 이룰 귀중한 자료로
큰
기대를 모으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김 교수는 “사람 발자국은 21-25cm 정도로, 발뒤꿈치, 중간 아치, 앞꿈치가 잘 나타나 있다” 면서 “제주 지역에 구석기인들이 거주했으며 이들의 신체구조까지 ... ...
1백년 뒤에는 언어 절반 멸종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각국의 고유언어를 사용할 것을 촉구했다.사용자 기준으로 세계에서 16번째로
큰
언어인 한국어 역시 최근 ‘영어 공용화론’ 을 비롯, 사이버 공간에서의 언어파괴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그 결과 세대간, 계층간의 의사소통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언어 멸종이 전혀 남의 얘기인 것만은 ... ...
이전
917
918
919
920
921
922
923
924
9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