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3,645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나리자 미소 비밀 풀릴까
과학동아
l
201106
통해 그녀의 얼굴을 가상으로 복원할 수 있다. 이탈리아 과학계는 500여 년 전 그려진
그림
의 모습과 실제 얼굴이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알아볼 예정이다 ... ...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106
관리할 수 있다는) 희망을 버리지 않고 있다.이런 배경에는 암의 전개 과정의 큰
그림
을 그릴 수 있는 핵심적인 생체분자들의 면면을 파악했기 때문이다. 특히 암억제인자로 유명한 p53 단백질의 발견은 지난 40년의 암 연구 업적 가운데서도 가장 중요한 성과다.p53이 처음 발견된 건 1979년. 그러나 이 ... ...
나만의 공부법부터 점검하라
과학동아
l
201106
과정도 다 알고 있어야 하고, 디자인 도구를 다루는 실용적인 지식도 갖춰야 해.”
그림
그리는 걸 좋아하고, 또 소질도 있다는 K학생은 전교 1등을 유지하는 우수한 학생이다. “이만한 성적을 받을 정도면 너는 무척이나 성실한 학생이구나. 내신성적은 네 성실성을 보여주는 가장 확실한 지표거든. ... ...
PART 1 오디션에 숨어 있는 3가지 수학
수학동아
l
201106
4(2²)개의 영역으로 나뉜다. 집합 3개면 8(=2³)개의 영역이 나온다. 이것은 각각 위
그림
과 같이 바꿔 그릴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생각하면 전체집합 안에서 n개의 집합을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2n개의 영역으로 나뉜다. 따라서 집합의 수가 아무리 많아도 그것의 벤 다이어그램을 그릴 수 있다 ... ...
완전수 6으로 떠나는 여행
수학동아
l
201106
모두 더한 수야.참 그거 아니? 1부터 n까지의 자연수를 쉽게 더하는 방법 말이야. 아래
그림
처럼 1부터 3까지의 합인3번째 삼각수를 2개 만들어 더하면 가로와 세로가 각각 4개와 3개의 점으로 이뤄진 직사각형 모양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어. 그리고 직사각형을 이루는 점의 개수는 4×3=12와 같이 쉽게 셀 ... ...
소통하는 영재의 산실 경원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06
학생들은 팀을 이뤄 도미노 칩을 배열할 밑
그림
을 함께 그린다. 자기 팀만의 독특한
그림
을 논의하다 보면 창의적인 결과물이 나온다. 하나하나 조심스럽게 칩을 세우는 과정에서 집중력과 인내심을 키울 수 있다. 한 사람의 실수로 공들여 세운 칩이 와르르 무너지지만 그때마다 서로를 다독이며 ... ...
PART 1 비를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06
하며 먹이를 포획한다.하늘을 나는 새의 날갯짓의 자취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
그림
과 같은 사이클로이드 곡선과 매우 흡사하다. 또한 새의 날개 끝은 몸통을 기준으로 할 때 사이클로이드 형태의 타원 모양으로 자취를 남기며 *양력을 이용해 앞으로 나아간다.수학자들은 이 아름다운 성질을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숨 막히는 스포츠 속 운동화의 비밀
수학동아
l
201106
매기발뒤꿈치가 헐거운 사람은 마지막 부분의 끈만 잘 매도 신발을 편하게 신을 수 있다.
그림
과 같이 마지막 부분에서 한쪽 끈 사이로 다른 쪽 끈을 넣어 빼면 신발 위쪽이 꽉 조여져 발뒤꿈치가 신발 뒤축에 밀착되는 효과가 나타난다.운동화만 잘 신어도 능력치 쑥쑥대부분의 사람들은 축구를 ... ...
삼각형의 결정조건은 세 가지뿐인가?
수학동아
l
201106
되기 때문입니다. 이제 더 많은 요소가 주어질 때를 생각해봅시다. 예를 들어 오른쪽
그림
을 보세요. 작은 삼각형과 큰 삼각형에서 세 각의 크기가 같고 변의 길이는 각각 8, 18, 12와 12, 27, 18입니다.한 변의 길이만 다르므로 두 삼각형은 5개의 요소가 같습니다. 그러나 두 삼각형은 서로 다릅니다. 즉 ... ...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06
치료하려고 했다. 심지어 그는 전기 충격으로 죽은 사람을 살릴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림
은 알비니가 시체에 전기 충격을 주는 모습이다.]“공부를 하지 않아도 수학 문제를 잘 풀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영국 옥스퍼드대 로이 카도쉬 교수팀이 뇌에서 수리 능력을 맡고 있는 두정엽에 1~2mA 정도의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