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d라이브러리
"
장치
"(으)로 총 4,30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104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온도에서 일어나는 초전도 현상이다. 규모가 크고 값비싼 냉각
장치
가 필요 없다는 얘기다. 만약 상온초전도체가 등장한다면 고온초전도체의 발견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커다란 사건이다. 초전도 현상을 연구하는 과학자가 가질 수 있는 최고의 꿈은 상온초전도체 ... ...
광펌핑 세슘원자시계 KRISS-1
과학동아
l
201104
오차는 1000분의 1초, 휴대전화와 기지국은 10만분의 1초보다 작아야 한다. 인공위성항법
장치
(GPS)는 10억분의 1초 단위로 시간을 맞춰야 한다. 그야말로 눈 깜짝할 틈도 안 되는 시간이지만, 우리는 이렇게 시간을 정확히 맞춰내지 못하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세상에 살고 있다.이런 첨단 기기들은 ... ...
Part 2. 과학수사 X파일 5
과학동아
l
201104
이를 이용하면 원하는 물질만 선택적으로 형광을 내게 할 수 있다. 반사자외선영상
장치
(RUVIS)로 ‘파장이 짧은’ 자외선(180~254nm, 1nm는 10억분의 1m)을 쬐면 증거물을 훼손하지 않고도 지문의 모양을 볼 수 있다.지문보다 더 정확하게 범인을 잡을 수 있는 증거는 DNA다. 사건 현장에서 용의자의 DNA를 ... ...
과학을 그린 화가 홀바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4
모양을 뒤트는 그림이 유행했어요. 이 때 볼록렌즈로 바라본 세계를 묘사하거나, 모든
장치
와 장식품들을 길게 늘어뜨린 변형된 모습이 등장했답니다. 이처럼 사물의 모습을 변형시킨 것을 ‘왜상’이라고 해요. 다시 홀바인의 로 돌아가 볼까요? 이 그림에도 ‘왜상’이 있어요. 바로 두 ... ...
Part 1. 날개 접었다 폈다, 출퇴근용 변신 비행기
과학동아
l
201103
걸림돌이 될 수 있으므로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최대 숙제는 자동항법
장치
PAV가 현실화되려면 가장 먼저 해결할 문제가 있다. 안전한 관제시스템을 만드는 일이다. 공항 관제탑에서 항공기의 이착륙 순서를 지정해 주는 데 그치는 현재의 관제방식으로는 모든 PAV를 안전하게 통제하기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03
일으키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면역세포의 말이 통증을 일으킨다. 통증은 일종의 경고
장치
로, 외부의 유해한 요인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고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꼭 필요한 증상이다. 뇌는 다른 신체부분과 격리돼 있기 때문에 몸에 있는 일반적인 면역세포가 뇌 안으로 들어올 수 없다.따라서 ... ...
기계에도 근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03
박상덕 한국 생산기술연구원 민군실용로봇사업단장은 “지금까지 만든 로봇은 다른 기계
장치
의 부품을 빌려서 만든 것과 마찬가지”라며 “인공근육이 실용화된다면 로봇공학은 비약적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내다 봤습니다.사실 ‘인공근육’이라는 개념은 꽤 오래전부터 있었습니다. ... ...
레이저 광선 흡수하는 ‘안티레이저’ 개발
과학동아
l
201103
열로 변환돼 사라졌다. 연구팀은 실리콘 웨이퍼로 만든 이 장비를 ‘결맞음 완전 흡수
장치
(CPA)’로 명명했다.이 장비는 레이저 빛을 99.4%까지 흡수했다. 이론상으로는 99.99%까지 흡수할 수 있다는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 장비로 광학 스위치를 만들면 광자의 움직임으로 작동하는 광학 컴퓨터를 ... ...
입자 가속기 삼국지
과학동아
l
201103
끌어 올릴 예정이다. [포항가속기 연구소의 내부 전경. 빔라인과 연결된 각종 실험
장치
가 어지럽게 늘어서 있다.] 정부는 추가로 4세대 방사광 가속기를 짓기로 하고 2011년 200억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4세대 방사광 가속기가 만들어 내는 빛은 X선 레이저로 수 나노미터(nm, 1nm=10억분의 1m) 크기의 ...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103
아보가드로 프로젝트에 비해 신뢰성이 더 높다. 하지만 와트 밸런스는 매우 복잡한
장치
라 실용적이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워낙 어려운 기술이라 와트 밸런스는 몇몇 선진국에만 있다.2011년 10월 국제도량형총회가 열리면 새로운 질량의 정의가 탄생한다. 아보가드로 상수와 플랑크 상수 중 과연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