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양
손해
손상
햇빛
불리
훼손
상해
d라이브러리
"
해
"(으)로 총 9,244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내 연구가 춤이 된다면
과학동아
l
201601
“많은 사람들 앞에서 춤을 추는 것이 부끄럽다는 분들한테는 영화 ‘마션’을 보라고 권
해
드리고 싶어요. 모든 일에 조금은 창의적일 필요가 있다고 느끼게 되거든요 ... ...
[쇼킹 사이언스]눈이 두루마리처럼 둘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1
두루마리 눈이 잘 만들어지기 위
해
Brenda Armstrong(W)선 0~1℃ 정도의 기온이 유지돼야
해
요. 이 정도의 기온에서는 두루마리 눈의 바깥면이 살짝 녹을 수 있거든요. 그뒤 바람이 두루마리 눈을 또 굴리면 바깥면에 새로운 눈 층이 잘 붙을 수 있답니다.우리나라에선 이렇게 까다로운 조건이 모두 ... ...
[퍼즐탐정 썰렁홈즈] 복면가왕 '롤라 자파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1
그건 바로 무대 의상!“무대 의상은 무척 중요
해
요. 제 노래를 더욱 돋보이게
해
줄 테니까요. 그런데 제작진이 알려 준 무대 의상 소개 종이가 이렇게 뜯어져 버렸어요. 제가 입어야 할 옷은 저기 걸린 옷들 중에서 어떤 걸까요?”\썰렁홈즈는 뿌듯한 마음을 안고 이제 방청석으로 가서 노래 감상을 ... ...
리만가설
수학동아
l
201601
전혀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말한다. 기하서 연세대 교수는 “리만 가설과 소인수분
해
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며, “사람이 만들어 낸 상상”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기가 막힌 아이디어가 나와서 RSA 암호체계를 무너트릴 수 있을지는 몰라도 리만 가설 때문은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 ...
[소프트웨어]앱으로 나를 소개하자!
수학동아
l
201601
대로 음성이 흘러나오지요?지금까지와 같은 방법으로 자신을 소개하는 다른 내용을 추가
해
보세요. 터치하면 학교나 취미, 좋아하는 것 등 다양한 내용이 음성으로 흘러나오게 할 수 있답니다.이번에 익힌 방법으로 나만의 자기 소개 앱을 만들어 보세요. 다음 호에는 더 재미있는 앱으로 ... ...
[재미] 마왕의 탑-1 화 탑에 갇힌 단
수학동아
l
201601
자신에게만 이익이 되는 최선의 선택을 하지 않아.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전략을 예상
해
그에 대응하는 ‘차선책’을 선택하지. 그 선택을 내시균형이라 이름 붙였는데, 내가 이것을 말한 이후 사람들은 가장 일반적인 균형의 개념으로 이걸 사용하게 됐네.”내시와 대화를 하고 나서 단은 문제가 ... ...
[News & Issue]딱딱한 지각판이 ‘말랑’
해
지는 순간
과학동아
l
201601
설명할 수 있는 현상이다. 와그너 연구원은 “대륙판 아래에 깔린
해
양판이 납작
해
지면서 판의 일부가 늘어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지구과학’ 온라인판 2015년 11월 23일자에 게재됐다 ... ...
[News & Issue]1986년 대전, 그때 그 사람들
과학동아
l
201601
전산학과 선배들은 후배가 들어오면손바닥 아래를 펼쳐서 굳은살이있는지 확인
해
프로그래밍 실력을가늠했단다.이도헌 교수에 따르면 전산학과학생들 사이에서 단연 인기는인공지능이었다. 과학동아도창간호(1986년 1월호)에서 ‘생각하는컴퓨터, 가능한가?’라는 기사로인공지능의 가능성을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
과학동아
l
201601
이뤄지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현재의 표준모형을 넘어서기 위
해
더 많은 실험과 더 깊은 이론적 성찰이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최고 이론을 향한 도전 표준모형Part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Part 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Part 3 ... ...
Part5. “‘최종 이론’ 찾을 때까지 탐구 멈추지 않을 것”
과학동아
l
201601
마지막으로 와인버그 교수에게 물었다. 과연 표준모형 이후의 물리학은 모든 힘을 통합
해
서 설명할 수 있을까.“저는 모든 것의 이론이라는 표현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마치 세상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는 물리법칙이 있다는 것처럼 들리거든요. 난기류 같은 기상현상이나 생물학적인 현상, 심지어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