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2022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 : 혁신으로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꿈많은 청년들이 모였다. 토크쇼가 시작되고, 연사가 무대에 오르자 청년들의 이목이 한
데
집중됐다. 토크쇼의 주제는 ‘뇌과학자와 디자이너가 말하는 혁신’. 연사로는 이석우 SWNA 산업디자인오피스 대표와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가 섰다. 토크쇼를 개최한 건 ‘제임스 다이슨 ... ...
네, 그래서 이과가 금을 만들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수 있다는 겁니다. 이렌과 프레
데
릭 부부는 알루미늄(Al)에 양성자를 붙여 인(P)을 만드는
데
성공했죠. 쉽습니다. 현자의 돌 대신 우리에겐 입자가 속기라 는 크고 아름다운 기계가 있습니다. 이걸로 작은 입자를 아주 빨리 가속 합니다. 그다음 금보다 더 높은 원자번호를 가진 원자에 충돌 시키면 ... ...
[힉스 10년] 1000만 힉스의 외침 “표준모형이 옳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2012년 7월 4일, 세계 과학계가 뜨거운 흥분에 휩싸였다.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충돌기(LHC)에서 드디어 힉스 입자가 발견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 ... 상호작용이나 암흑물질을 규명하고, 표준모형을 넘어선 새로운 물리를 탐색하는
데
RPC가 핵심 역할을 할 겁니다 ... ...
[특집] 익룡, 진짜 깃털인지 어떻게 알았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구조를 가져야 해요. 처음 진화한 단순한 형태의 깃털은 보온이나 의사소통을 하는
데
쓰였을 거예요. Q이번 발견은 공룡과 익룡의 조상이 이미 깃털을 가지고 있었다는 뜻인가요?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 살았던 공룡과 익룡의 공통 조상은 이미 깃털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어요. 하지만 그 당시의 ... ...
[기획] 우주의 소리 메아리 블랙홀의 협주곡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통해 천문학자들이 우리 주변의 우주 환경을 탐험하고 새로운 외계 행성을 찾아내는
데
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연구에 참여한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물리학과 매트 루소 교수는 “우주에서 음악적 리듬과 패턴을 발견할 수 있다”고 말하기도 했답니다 ... ...
[헷갈린 과학] 모네의 정원에 핀 꽃은? 수련 VS 연꽃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밝혀졌어요. 연구자들은 이 씨앗이 살아 있다는 결론을 내렸고, 늪지에 싹을 틔우는
데
성공했습니다. 피어난 분홍빛 연꽃에는 ‘아라홍련’이라는 이름이 붙었죠. ●소수성 : 물과 쉽게 결합하지 않는 성질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다시보기 지난 5월 5일은 우리나라의 100번째 어린이날이었어요. 어린이날을 제정하는
데
크게 힘썼던 방정환 선생님은 1922년 어린이날 선언을 통해 ‘어린이를 속이지 말라’는 등 어른이 지켜야 할 조항 일곱 개를 발표했습니다. 어과동은 어린이날 100주년을 기념해 100년 전 만들어진 어린이날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독일의 트라이아스계 지층이 3개의 층으로 나뉘는 것을 보고 ‘트라이아스’라고 부른
데
서 이름이 유래했답니다.트라이아스기 동안 지구의 주요 대륙은 하나의 초대륙인 판게아로 모여 있었어요. 페름기 말에 대량 멸종 사건이 있어 트라이아스기 중기에 이르러서야 생물 다양성이 회복됐지요. 이 ... ...
[특집] 브릭 작품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2호
월드컵경기장’이에요. 크기가 5m×4m로 매우 컸고, 약 25만 개의 부품이 들어가 조립하는
데
도 시간이 많이 걸렸지요. 지붕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와이어 같은 장치도 활용하면서 고민이 많았어요. 완성하기까지 무려 6개월이 걸렸답니다 ... ...
[특집] 비눗방울 3개 문제는 ‘입체사영’으로 해결!
수학동아
l
2022년 12호
수학자는 설리번 교수가 제시한 다음 추측을 문제를 푸는
데
적용했어요.구하려는 차원이 a라면 a+1차원에서 n+1개 비눗방울을 뭉친 뒤, ‘입체사영’ 시켰을 때 나오는 모양이 최소 표면적이 되는 모양이다.입체사영은 기하학에서 공간에 있는 도형을 한 차원 낮은 도형으로 변환해 분석하는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