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질"(으)로 총 3,2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연꽃과 도마뱀 키우는 기계공학자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이 분야의 대표적인 예가 게코 도마뱀이다. 게코 도마뱀은 어떤 벽에도 잘 달라붙는 성질이 있다. 이 원리를 궁금히 여긴 과학자들이 발바닥을 자세히 살펴보니 발끝에 달린 나노미터(nm․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미터) 크기의 작은 섬모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처음에는 ‘비슷한 구조를 만들면 ... ...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주고 받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물질이에요. 산화•환원 반응이 가능하다는 거죠. 이 성질을 이용해 전극소재를 개발했습니다. 공기를 이용한 전극도 있어요. 전이금속의 도움 없이 리튬과 산소가 직접 만나 전자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만든 전극소재입니다. 이 밖에도 환경에 유해하지 않은 ... ...
- [지식] 2015 아벨상 수상자 존 내시, 루이스 니렌버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교수, 웨이 밍 니 미국 미네소타대 교수와 함께 비선형 타원방정식의 해가 대칭의 성질을 갖는다는 것을 증명한 게 대표적이다. 또한 기하학과 같은 수학의 다른 분야로 편미분방정식의 가능성을 넓혔다. 다른 문제의 연구 과정을 편미분방정식으로 해석한 것이다.섬세한 도구, ... ...
- [생활] 나만의 주치의, 맞춤의학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정보사람은 각자 고유한 유전자 DNA 염기서열을 갖고 태어난다. 염기서열은 유전자의 성질을 결정짓는 일종의 코드 배열로, 이 배열에 따라 건강에 관련된 신체적 특성이 달라진다. 따라서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면 개인별로 걸리기 쉬운 질병을 미리 알 수 있고, 평소에 대비할 수 있다. 어떤 유전자와 ... ...
- [생활] 겉은 바삭~ 속은 촉촉~ 크루아상이 맛있는 비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L)의 비로 알 수 있다.[탄성★ 반죽을 늘이거나 비틀었을 때 원래 모습대로 되돌아오려는 성질. 점성★ 반죽이 길게 늘어나는 성질.] 식빵이나 소보루빵처럼 푹신푹신한 빵을 만들 때는 P/L의 값이 0.6에서 0.68 사이가 되는 것이 좋다. 글루텐의 탄성과 점성이 좋아 반죽이 부풀면서 생기는 ... ...
- PART2.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게 양전자포다. 멀리 떨어진 사도를 한 방에 보낼 때 요긴하다. 양전자는 전자와 모든 성질이 같지만 전하가 반대인 입자다. 이런 입자를 반물질이라 하는데, 반물질은 물질과 만나 소멸되면(쌍소멸)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한다. 질량이 온전히 에너지로 바뀌기 때문이다. 반물질 0.5g과 물질 0.5g이 ... ...
- [Knowledge] 펨토초 엑스선으로 본 세상, 분자가 결합하는 찰나를 포착하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상황을 만들었다.탄화질소금(Au(CN)2)을 특정 농도로 용액에 녹이면, 금끼리 서로 당기는 성질(친금성) 때문에 분자 세 개가 가까이 모여 있게 된다. 이를테면 부부끼리 아직 손을 잡지는 못했지만, 쉽게 손 잡을 수 있도록 가까이 모아 둔 셈이다. 여기에 즈웨일 교수의 들뜸 탐색 방법을 그대로 ... ...
- [Knowledge] 7전 8기, 일반상대성이론의 탄생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제시된 중력장 방정식은 ‘어떤 좌표변환에 대해서도 똑같은 모습을 띠어야한다’는 성질을 만족시키지 못했다. 아인슈타인-그로스만의 새로운 이론은 특수상대성이론보다는 더 일반적이었지만, 아직은 일반상대성이론이라 부를 수 없었다. 1913년 8월 아인슈타인이 로렌츠에게 보낸 편지를 보면, ... ...
- [Hot Issue] 빨간약, 진짜 만병통치약이었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원소로부터 전자를 잘 뺏어온다는 뜻이다. 달리 말하면, 산화력(다른 원소를 산화시키는 성질)이 세다고 할 수 있다. 요오드가 미생물을 죽이는 원리는 대략 세 가지다. 첫째로 시스테인, 메티오닌 같은 아미노산에서 황의 전자를 빼앗아 결합을 깬다. 둘째 아르기닌, 히스티딘, 라이신, 티로신 같은 ...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특정한 온도에서 하나같이 0이 된다는 점도 알게 됐다. 그 온도는 영하 273.15℃였다.이 성질을 이용해 만든 온도가 바로 오늘날 국제적 표준 온도로 쓰이는 절대온도 켈빈(K)이다. 절대온도눈금으로 1K은 섭씨온도 눈금 1℃와 간격이 같다. 섭씨온도에 273.15만 더하면 정확히 절대온도가 된다. 즉, ... ...
이전8889909192939495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