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5. 서울이 가장 심하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2015년 미국 시카고대와 퍼시픽노스웨스트 국립연구소 공동연구팀은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로 쥐의 뇌를 관찰한 결과, 중금속의 일종인 바나듐이 전두엽에 쌓여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doi:10.2310/7290.2015.00001 중금속이 뇌에 축적될 수 있다는 사실을 눈으로 확인한 것이다. 황 교수는 “미세먼지에 ... ...
-
- [특별 인터뷰] 한국인이 탐사 대장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화성이나 다름없지요. 연료와 음식을 제한하고, 통신을 20분 지연시키는 등 사소한 장치 하나하나가 화성에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키거든요. 4~6명의 대원들은 8개월 정도 이곳에 머물며 맡은 임무를 수행해요. 고립 생활이 대원들의 심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어떻게 갈등을 줄일 수 있을지 ... ...
-
- Part 2. 남극에 사는 별별 생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이곳의 관리권을 얻어 펭귄 연구를 하고 있답니다. 우리나라 연구팀은 펭귄의 몸에 각종 장치를 부착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바이오로깅’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요. 작년에는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해 젠투펭귄이 무리를 지어 사냥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지요. 혼자 헤엄치던 젠투펭귄이 ... ...
-
- [과학뉴스] 다이아몬드가 밝힌 맨틀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제7형 얼음은 3만 기압 정도의 고압에서도 고체상태를 유지하는 결정체로, 초고압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자연에서 발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방사광가속기로 제7형 얼음의 고유신호를 확인하고 압력을 측정해 다이아몬드가 지하 400~800km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했다. 지금까지 지구 ... ...
-
- [Tech] 기계식 키보드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키보드를 직접 분해해 본다는 흥분이 컸습니다. 키보드는 가장 기본적인 컴퓨터 입력 장치로, 멤브레인, 펜타그래프, 기계식 등 구동방식에 따라 종류가 다양합니다. 과학동아는 그중 ‘키감’이 좋다고 알려진 에이수스(ASUS)의 기계식 키보드(모델명 ASUS ROG CLAYMORE)를 분해해보기로 했습니다 ... ...
-
- 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살피기 위해 1991년 연구를 시작해 지금까지 22년간 청소년 3500명의 뇌를 9000회에 걸쳐 MRI 장치로 촬영했다. 2001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은 현재까지 무려 1371회나 인용되면서 사춘기 뇌 분야의 ‘바이블’로 꼽힌다. 이 연구에 따르면 사춘기의 뇌는 말 그대로 ‘제2의 탄생기’를 ... ...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인턴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도 주어진다. 이병호 학부장의 제자는 컴퓨터용 그래픽 처리 장치를 개발하는 글로벌 기업 엔비디아(NVIDIA)에서 인턴을 한 뒤 취업까지 했다. 다른 연구실의 연구원 중에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인턴을 한 경우도 있다. 이병호 학부장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 ...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홀로그램과 분광 기법을 적용한 지문 측정 장치를 수사관들이 휴대할 수 있도록 소형화할 계획이다. 장 과학수사기법계장은 “겹친 지문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기술을 개발해서 실제 수사 현장에 적용할 경우 한국이 세계 최초의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팰컨 시리즈의 경우 착륙을 위해 착륙 다리, 자세 제어 시스템, 추가 연료 등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면서도 “지구로 회수한 로켓을 점검한 뒤 다시 발사에 사용하면, 1회 발사 비용을 30% 가량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지금은 퇴역한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왕복선 ... ...
-
- [Issue] 노벨상 산실 가속기 누가 먼저 짓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년 첫 가동 예정이다. 한중일 가속기 중에서 가장 먼저 완공된다. 지난해 6월 가속기 핵심 장치인 ‘초전도 가속 모듈’을 개발해 성능 시험까지 마쳤다. 초전도 가속 모듈은 올해 양산에 돌입해 22개를 만들고, 내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설치에 들어갈 예정이다. 권 연구위원은 “2020년이면 우라늄238을 ... ...
이전8889909192939495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