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고
스페셜
"
다시 생각함
"(으)로 총 996건 검색되었습니다.
[웹툰] 오줌 분수
KOITA
l
2013.12.12
했습니다. 그리고 얼마니(유명 메이커) 향수로 화장실을 도배했습니다. 이제 화장실은
다시
향긋한 내음으로 다가옵니다. 지금 우리는 오줌 분수를 뿜었던 오줌통을 보며 흐뭇한 미소를 짓습니다. 그리고 코 한번
다시
대어봅니다. 오~~~~~수멜~~~~ 여러분! 이제 화장실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35동 ... ...
전통에서 발견하고 현재가 완성한 난방기술
KOITA
l
2013.12.10
훨씬 우수했다. 재미있게도 미국인 건축가가 조선으로부터 도입한 온돌난방기술은
다시
전쟁 후 경제성장기의 한국으로 역수입된다. 바닥을 데우는 것이 미국인에게는 아직 생소할 때인데다 건물을 빠르게 늘려야 했던 한국의 사정에 개량 온돌의 간편함과 효율성이 딱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 ...
빛의 속력은 어떻게 측정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05
있다. 피조가 실험했던 방식 그대로는 아니지만, 톱니바퀴 틈으로 빛을 통과시킨 후
다시
되돌아오는 빛을 측정하여 빛의 속력을 계산하는 것은 동일하다. 다만 국립과천과학관에 ... 톱니바퀴가 천천히 돌 때는 톱니바퀴 틈을 통과한 빛이 5.5km 광케이블을 지나서
다시
되돌아 왔을 때 처음 지났던 ... ...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KOITA
l
2013.11.04
있던 점과 정보를 새로 받은 이웃의 두 점, 도합 세 점이 정보를 보유한다. 세 개의 점은
다시
이웃한 점에 정보를 전달하며 이 과정은 시간 가 지날 때마다 계속 반복된다. 결국 ... 강변하는 서비스가 유행했다. 그러나 한차례의 인기가 지나간 지금, 온라인 서비스는
다시
단순한 형태로 돌아갔다. ... ...
알레르기 환자는 암에 잘 걸리지 않는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0.30
이상 할 일이 없다는 것이다. 2000년 여전히 맥아더 장학금으로 생활하고 있던 프로펫은
다시
하버드대로 돌아와 수학을 공부했는데 당시 이미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었다고 지인들은 ... 있고 알레르기 가설도 점점 설득력을 얻고 있는 분위기다. ●알레르기 없는 게 다행?
다시
알레르기 얘기로 ... ...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사실을 아는 정도다. 그러나 해양지질학은 영토분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다시
논쟁이 점화된 한일 공동개발지역(JDZ)의 영토권 분쟁에서도 지질학적 정보가 주역이었다. JDZ는 제주도 남쪽, 오키나와 해구 인근의 해역으로 한중일 3국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얽힌 곳이다. JDZ는 박정희 전 ... ...
사람도 쥐도 초파리도 잠을 자야만 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3.10.21
톱니처럼 변화한다고. 즉 낮에 활동할 때는 엔트로피가 증가하고 밤에 잠을 잘 때는
다시
줄어든다고. 다만 감소하는 양이 앞서 증가량을 완전히 상쇄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멀리서 보면 완만하게 증가하는 곡선으로 보인다는 것. ‘대단한 구라’라고 생각하면서도 그 뒤 십 수 년 동안 잠의 과학에 ... ...
복잡한 세상, 수학적 원리를 따르는가?
KOITA
l
2013.10.18
대로를 달려야 할 자동차가 그만 골목길로 빠졌다가 막다른 골목을 만난 것이다. 차를
다시
돌려서 나오면 그만이었을 사소한 실수였지만 누군가에게는 믿기 힘들 만큼 엄청난 ... 완벽한 알고리즘이 있더라도 이를 통해 알아낸 상관관계가 실제로는 어떤 의미인지,
다시
고민해보아야 한다. ... ...
공감하고 싶으면 앨리스 먼로를 읽으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0.14
기뻐요. 곧 봅시다.)” 물론 둘 사이는 이걸로 끝이었다. ●문학소설 vs 대중소설
다시
논문으로 돌아와서 저자들은 공감의 능력을 평가하는 여러 방법을 써서 문학소설을 읽은 사람들이 비소설이나 대중소설을 읽을 사람들보다 공감 능력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뒤의 두 그룹은 아무 것도 ... ...
"어려움이 있더라도 늘 무언가는 배울 수 있는 직업이 과학자죠"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0.10
얻지 못하는 것을 보고 많이 불안했었지요. 연구를 그만둘까 하는 고민까지 했었어요.
다시
연구실에 나오면서부터는 어린 아이를 떼어 놓고 일해야 하는 것도 마음 아픈 일이었고요. 다행히 가족들이 믿고 지지해준 덕분에 연구생활을 이어나갈 수 있었어요. 가족들이 없었다면 견뎌내기 쉽지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