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테
상황
형편
입장
현상
분위기
컨디션
스페셜
"
상태
"(으)로 총 3,18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니소바인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
2021.07.13
화석을 분류한 이번 연구결과에 신뢰가 가지 않는 이유다. 'PNAS' 제공 ‘그렇게 보존
상태
가 좋다면 DNA를 추출해 게놈 분석을 시도해보지 않았을까?’ 이렇게 생각하는 독자들도 있을 것이다. 뜻밖에도 연구자들은 이런 시도를 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너무 귀한 화석이라 ... ...
효능 논란 끊이지 않는 렘데시비르…노르웨이팀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 못 해”
동아사이언스
l
2021.07.13
주목받았지만, 이미 의학계에서 코로나19 치료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결론을 낸
상태
다. 국내에서도 올해 3월 한국보건의료연구원과 대한감염학회가 개발한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한 최신 근거기반 임상진료지침’에 “코로나19 환자에게 하이드록시클로로퀸 단독 투여를 권고하지 ... ...
셀트리온 "코로나19 항체치료제, 글로벌 임상3상서 중증 70%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1.07.13
진행한 28일간의 임상 3상 결과를 발표했다. 임상 3상에서 입원 및 산소치료가 필요한
상태
로 악화하거나 사망한 환자 비율을 나타내는 ‘중증환자 악화율’과 ‘임상적 증상 개선 시간’을 평가지표로 지정해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렉키로나주를 투여한 고위험군 환자군에서 중증환자 ... ...
억만장자 브랜슨은 정말 우주 다녀온 걸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12
고도 55마일(88.5㎞)까지 도달해 약 4분간 중력이 거의 없는 ‘미세 중력(microgravity)’
상태
를 체험한 뒤 지구로 귀환했다. 버진갤럭틱 제공 리처드 브랜슨 회장을 포함한 6명의 탑승객들은 지구 고도 88.5km에서 수분간 머물며 우주여행에 성공했다. 그러나 고도 88.5km 지점이 실제 우주인지에 대한 논란의 ... ...
코로나19 신규확진 1100명 일요일 기준 최다…수도권 4단계 적용 시작
2021.07.12
1명이 늘어 2044명으로 집계됐다. 국내 평균 치명률은 1.21%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진 이후
상태
가 위중하거나 중증 단계 이상으로 악화한 환자는 전날보다 7명 줄어 138명이다. 이날 격리 해제된 환자는 427명으로 지금까지 총 15만4187명이 격리치료를 받은 뒤 집으로 돌아갔다. 현재 병원과 ... ...
[사이언스N사피엔스]느려지는 시간
2021.07.08
뜻일까? 1초의 시간이 흐르는 데에 무한대의 시간이 필요하다면 이는 시간이 아예 정지한
상태
가 된다. 즉, 시간이 흐르지 않는다. 그 정도로 중력이 강력한 곳이 있을까? 있다. 짐작했겠지만 바로 블랙홀이다. ※참고자료 -Pound, R.; Rebka, G. (1960). "Apparent Weight of Photons". Physical Review Letters. 4 (7): 337– ... ...
서울대병원 해킹당해 환자 약 7000명 개인정보 유출
동아사이언스
l
2021.07.08
내용도 확인할 수 있다. 아직까지 이와 연관된 직접적인 2차 피해는 확인되지 않은
상태
다. 병원은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의심 정황 시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인 신고를 부탁드린다”며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하여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한 점 진심으로 사과드리며 병원은 향후 ... ...
델타 변이·임시검사소 확진자 증가·20~30대 확산...확산 경고한 신호 많았다
2021.07.08
은 지난달 20일 거리두기 개편안을 발표하며 “영국은 접종이 충분하게 이뤄지지 않은
상태
에서 엄격한 봉쇄 조치를 해제하고 방역 긴장도가 지나치게 완화되면서 유행 상황이 다시 증가한 것”이라며 “한국 상황과는 다르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한국도 접종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방역 ... ...
반짝반짝 작은 별? 사실은 쌍둥이 초거대 별!
과학동아
l
2021.07.08
100배 큰 별(항성)인 ‘VVV-WIT-08’이 갑작스럽게 밝기의 97% 잃은 뒤, 약 200일 동안 어두워진
상태
로 있다가 다시 빛나는 현상을 포착했다. 초거대 별이 몇 달 동안 별빛이 희미해졌다가 밝아지는 현상은 이제껏 알려진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어 오랫동안 미스터리로 남아있었다. 최근 리 스미스 영국 ... ...
[랩큐멘터리]난치병 원인 '단백질 수명' 결정하는 신호를 탐색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7
끊임없이 합성되고 분해된다. 유전적 결함이나 환경적 요인들에 따라 달라진 단백질
상태
를 원래대로 복구하기 위해서다. 이런 몸의 성질을 '단백질 항상성'이라 부른다. 단백질 항상성의 붕괴는 곧 각종 암이나 신경질환, 자가면역질환 등의 다양한 질병의 원인으로 이어진다. 황철상 포스텍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