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해
검토
해석
평가
코프롤라이트
비교분석
비교
뉴스
"
분석
"(으)로 총 16,968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외유입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 3건 확인..."보고된 적 없는 새 변이"
동아사이언스
l
2020.08.10
때문에 진단에는 영향이 없다”고 말했다. 방역당국은 감염력이나 병원력 변화는 추후
분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은경 방대본 본부장은 “아직까지는 처음으로 발견한 변이기 때문에 감염력이나 병원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세포나 동물을 가지고 평가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 ...
[팩트체크] 코로나19 '도쿄 변종'출현? 日연구소 "지역명 붙은 유형 출현 근거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0
“무증상 환자가 의식하지 않은 채 감염을 이어갔을 가능성…국립감염연구소
분석
”이라는 제목으로 역시 조용한 전파에 초점을 맞췄다. 그나마 가장 변이에 초점을 맞춘 요미우리신문은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19 유전자배열, 바이러스 6월에 출현...도쿄에서 지역으로 확산”이라는 제목으로 ... ...
미국에서 퇴짜 맞은 진단키트...'더이상 굴욕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0
이런 단점을 상쇄할 수 있어 PCR 방식의 보완재로 떠오르고 있다. 진단기기
분석
비영리단체 'FIND'에 따르면 이달 6일까지 전세계 보건당국에 등록된 항체진단기기는 330개에 달한다. FIND에 등록된 PCR진단키트 수인 354개와 비슷한 수준이다. 한국도 이 시장에 뛰어들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 ...
손 대신 지느러미 택했지만...자연은 손가락뼈 유지한 수중동물 택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9
분석
'을 활용해 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이를 다른 동물의 네트워크와 비교하는 식으로
분석
했다. 우선 육상에서 바다로 돌아간 수생 동물은 대부분 지느러미 속에 손가락들이 서로 구분되는 형태의 뼈 모양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손가락이 따로 보이지 않는 지느러미에서 볼 수 있듯 ... ...
무증상 환자도 많은 양의 바이러스 옮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9
올해 3월 6일부터 26일까지 천안지역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한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303명을
분석
했다. 이들의 나이는 22세에서 36세로 젊은층이었다. 전체의 3분의 2인 201명은 여성이었다. 193명은 입소 당시 증상을 보였고 110명은 무증상 환자였다. 이들 중 19.1%인 21명이 입소 후 증상을 보였고 89명은 ... ...
서울시 'AI 양재 허브' 2년 8개월만에 80여 기업 입주
연합뉴스
l
2020.08.09
민간데이터와 생활인구, 사물인터넷(IoT) 데이터 등 공공데이터 등을 자유롭게 열람·
분석
할 수 있다. 서울시는 AI 양재 허브 설립 이래 카이스트-㈜모두의연구소 컨소시엄에 운영을 맡겨 왔으나, 위·수탁 협약 기간이 만료됨에 따라 공모를 통해 국민대 산학협력단(단장 신동훈) ... ...
혈압·심전도 버튼만 누르면 측정 '뚝딱'…갤워치3 써보니
연합뉴스
l
2020.08.09
잰 측정값을 3회 워치에 입력해야 했다. 워치가 측정한 맥박파형을 기준 혈압과 비교·
분석
해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 혈압값에 대한 오차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다. 집에서 사용하는 커프를 이용해 기존 측정값을 입력했더니 그다음부터는 언제 어디서든 고정된 자리에 앉아있기만 하면 혈압을 ... ...
[의학게시판] 서울보라매병원, 지자체 운영병원 최초 암센터 개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8.09
등 최첨단 암 진단 및 치료장비가 갖춰져 있다. 차세대염기서열
분석
기(NGS), 면역세포
분석
기 등의 첨단장비 도입이 추가로 계획돼 있다. 허승철 센터장은 “환자중심, 근거중심, 적정수가를 통한 최상의 진료를 실현하고 협진체제 속에서 최선의 치료법을 구현하고자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 ...
[프리미엄 리포트] 마스2020 ‘인내’와 ‘끈기’로 흙 가지러 떠납니다
2020.08.08
임무를 맡았다. 안타깝지만 아직 현재 과학기술로는 로버가 지구로 보낸 데이터를
분석
하는 것만으로는 생명체의 존재 여부를 알아낼 수 없어서다. 가령 어떤 물체가 탄소로 이뤄졌는지는 우리가 눈으로 직접 보지 않고 측정만으로도 확인할 수 있지만, 이 물체가 값싼 석탄 덩어리인지 비싼 ... ...
[표지로 읽는 과학] 목성 대기에서 치는 새로운 번개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0.08.08
CNRS) 공동연구센터는 NASA가 2011년 발사한 목성 탐사선 ‘주노’의 관측 데이터를
분석
해 목성 표면에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번개가 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 그 발생 원리를 규명해 ‘네이처’ 6일자에 발표했다. 주노는 2016년 목성에 도달해 목성 주변을 공전하며 과학 관측을 하고 있는 ... ...
이전
926
927
928
929
930
931
932
933
9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