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 우롱이 생태일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약 935kg의 음식물 쓰레기를 먹어치운다는 것을 알아낸 것이다. 이 양은 비둘기 한 마리가
1
년에 먹는 양의 약
1
.5배다. 특히 공원보다 거리에 둔 음식물이 빨리 사라졌는데, 음식물을 좋아하는 ‘도로개미’가 거리에 많이 살기 때문이라고 한다.사회 뉴페이스 등장? 갈대밭의 삵!한강 갈대밭에 ... ...
원자핵공학과 - 핵융합 에너지 더 이상 꿈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충돌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 어마어마하게 큰 중력을 사용하거나
1
억°C 이상의 높은 온도가 필요한데, 이런 극한 환경을 견디는 소재가 아직까지는 없었습니다. 그래서 토카막은 아예 공중에 원료를 띄워 핵융합을 진행합니다. 현재 핵융합 지속시간은
1
0~20초 정도입니다. ... ...
굶주린 늑대 ‘다자바 머그리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내가 모두 맞히면 양들은 모두 내 거다!”과연 썰렁홈즈는 양들을 지켜낼 수 있을까?미션
1
첫 번째 문제는 OX퀴즈!썰렁홈즈가 미덥지 않은 양들은 모두 덜덜덜 떨고 있었다. 썰렁홈즈는 용기를 내어 첫 번째 문제를 냈다.“20
1
5년이 양띠 해라는 것 알고 있지? 먼저 양에 대해서 얼마나 잘 알고 있는지 ... ...
Part 3. 도시의 녹지는 섬처럼 조각조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지하수와 토양을 오염시켜. 도시의 식물은 악조건에서 억지로 버티고 있는 셈이야.20
11
년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곽정인 박사가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의 녹지는 대부분 ‘천이’가 중단된 상태라고 해. 천이는 한 지역의 주요 식물이 계속 바뀌며 울창한 숲을 가꿔가는 자연적인 흐름을 ... ...
PART 5. 중력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 우주를 뒤바꾼 일반상대성이론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INTERVIEW. “2
1
세기는 일반상대성이론의 시대”PART 5. 중력파PART6. 일반상대성이론 뒤집히나EPILOGUE. 상대성이론 가지고 ... ...
Epilogue. 태양광 유인항공기 3월 세계일주 도전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수 있는데, 야간에 필요한 전기를 저장하기 위해 실은 전지 무게만 비행기 무게의 4분의
1
인 633kg에 달한다. 그렇다면 차세대 태양광 여객기는 그저 백일몽일까. 김 실장은 “아직은 효율이 무척 낮지만, 불가능한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배터리 기술이 획기적으로 발전해 많은 승객을 태울 수 있는 ... ...
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의 반격이 시작됐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특집 참고)▼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의 반격이 시작됐다PART
1
.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 ...
PART
1
.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계속 보시려면?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의 반격이 시작됐다PART
1
.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 ...
[과학뉴스] 국내 최초 수각류 공룡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반응이 대단해 놀랐어요. 어떤 신문에는
1
면에 나갔는데, 아마 우리나라에서 공룡이
1
면에 나간 건 처음이지 싶어요.Q 이번 발견이 어떤 의미가 있기에 이리 큰 주목을 받았을까요.A 다들 한국엔 공룡 화석이 없을 거라는 생각했거든요. 그래서 발자국 등 흔적 화석만 연구하거나, 외국으로 나갔죠. ... ...
[Knowledge] 어느 날 멈춰있던 땅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읽고 있는 순간에도, 지구의 표면을 구성하는 열 개가 넘는 판들은 손톱이 자라는 속도(
1
년에 4~5cm)와 비슷한 빠르기로 이동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화산과 지진의 원인으로 꼽히는 판구조 운동이다. 하지만 지구가 태어나자마자 판이 움직인 것은 아니다. 아주 오래전 땅은 가만히 멈춰있는 존재였다. ... ...
이전
928
929
930
931
932
933
934
935
9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