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10,106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루 만이라도 머리 좋아지게 해주세요”
2014.08.29
뇌 피질을 잇는 부분의 신경 연결이 가장 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6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
에서 사람마다 수 cm의 차이는 있었지만 머리 왼쪽 뒷부분에서 크게 벗어나진 않았다. 또 이 부분을 5일 동안 매일 20분씩 반복해서 자극했더니 기억력이 높아지는 현상도 발견했다. 자극을 마친 뒤 얼굴 ... ...
길이만 30km, 세계 최장 가속기 ILC
2014.08.28
지난해 12월부터 일본 국립 고에너지 가속기 연구소(KEK)에 빔 진단 시스템을 설치하고
실험
한 결과 오차 범위 20nm 이내로 입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었다. 경북대 물리학과 연구원이 일본 국립 고에너지 물리연구소에 설치한 빔 진단시스템을 조작하고 있다. - 김은산 교수 제공 김 교수는 ... ...
이공계 출신 재계 리더들이 10년째 초등학교에…
2014.08.28
성동구 한양대 HIT빌딩 6층. 기업 소속 엔지니어들이 초등학교에 직접 찾아가 재미있는
실험
을 하거나 키트를 이용해 시제품을 만들면서 미래 공학도를 양성하는 ‘주니어 공학기술교실’ 10주년 행사가 열렸다. 정준양 한국공학한림원 회장(포스코 상임고문)의 축사가 끝난 뒤 현장에 있던 ... ...
물고기는 땅에서 살 수 있을까, 없을까
2014.08.28
- 네이처 제공 연구팀은 폴립테루스 세네갈루스(Polypterus senegalus)라는 현생 어류로
실험
을 진행했다. 이 물고기는 아프리카에서 서식하는 종으로 화석에 남아 있는 고대 어류와 생김새가 비슷하다. 또 물속에서는 아가미 호흡을 하지만, 폐와 비슷하게 생긴 기관을 가지고 있어 땅 위에서는 공기 ... ...
[채널A] 타이어 3분의 2 잠기면 급류에 휩쓸린다
채널A
l
2014.08.27
전복될 위험이 더 높습니다. 전문가들은 실제 홍수 상황에서는 물살이 초속 3m 이상으로
실험
에서 재현했던 것보다 더 빠르기 때문에 수심이 무릎 높이 이상인 급류가 흐르는 도로는 절대로 지나가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차에 탄 채로 급류에 휩쓸렸을 경우 물이 흘러오는 방향으로는 문을 열 ... ...
결핵 예방에는 BCG 대신 이거 맞으세요~
2014.08.26
균이 완전히 사라졌다. 호로비츠 교수는 “한센병에 대한 효과는 아직 동물
실험
에서만 검증됐지만 임상 시험도 계획 중”이라며 “결핵과 한센병 모두에 효과가 뛰어난 만큼 기존 BGC 백신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미생물학회가 발행하는 ... ...
올리브오일로 나노입자 만든다
2014.08.26
겨울철 물 분자의 확산으로 눈 결정이 가지 모양으로 성장하는 원리에 착안했다.
실험
결과 올리브오일에서 추출한 올레산과 물 사이의 계면에서 금 나노입자가 눈 결정처럼 여러 개의 가지를 가진 2차원 구조로 성장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3년 내에 기술을 실용화할 수 있을 ... ...
게임으로 난치병 치료할 수 있을까
2014.08.26
감각을 되찾을 수 있도록 몸 동작을 이용하는 비디오 게임인 ‘닌텐도 위’를 활용했다.
실험
에 참가한 환자 27명에게 12주 동안 스키 등 스스로 자세를 잡아야 하는 게임을 하게 한 뒤 특수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을 이용해 뇌에서 일어난 변화를 조사했다. 그 결과 뇌에서 신체 균형과 움직임을 ... ...
잘 되면 제 탓, 못 되면 엄마 탓?
2014.08.25
생쥐를 아세토페논이라는 아몬드 냄새가 나는 물질에 노출시킨 뒤 발에 충격을 주는
실험
을 반복하면 생쥐는 아세토페논 냄새만 맡아도 공포반응을 보인다. 그런데 이 수컷 생쥐와 이런 학습을 한 적이 없는 암컷 생쥐를 교배해 나온 새끼 가운데 다수가 아세토페논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그리고 ... ...
ECR이 만든 푸른색 플라스마 별
2014.08.25
완료된 상태로 올해 안에 장치가 완성되면 ECR 이온원에서 만든 중이온빔을 가속하는
실험
이 진행될 예정이다. 또 이 장치는 기초과학 연구뿐 아니라 산업 분야에도 유용하게 쓰일 전망이다. 이온원에서 만든 이온빔을 이용하면 물질 표면을 가공하거나 새로운 특성을 갖게 할 수 있기 ... ...
이전
929
930
931
932
933
934
935
936
9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