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석유보다 값진 물 - 동해 심층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발전은 태양에 의해 가열되는 따뜻한 표층 해수와 수심 수백m 이상의 심층 해수의
큰
온도차를 이용해 전기를 얻는 것이다. 따뜻한 표층해수를 이용해 끓는점이 낮은 암모니아나 프레온을 증발시키고 그 증기압에 의해 터빈 발전기를 회전시켜 발전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사용된 가스는 심층 냉수로 ... ...
2 미생물을 이용해 생산하는 21세기 청정연료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특히 이 과정에 고부가가치 의약품과 식품원료가 부산물로 생기기 때문에 매우
큰
경제성을 갖는다. 더욱이 우리나라와 같이 자원이 빈약한 국가에서 효율적인 생물학적 수소생산기술을 개발하면 에너지 생산국으로 도약할 가능성도 크다. 하지만 이런 긍정적인 면과 아울러 생물기술이 갖는 ... ...
목숨 걸고 경고음 내는 땅다람쥐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두르고 강물에 뛰어드는 얌체 나그네쥐를 보십시오. 이 배신자는 저런 상황에서 가장
큰
이득을 챙기는 놈이 되지 않겠습니까. 생명의 진화에서 배신의 유혹만큼 달콤한 것은 없습니다. 이런 측면에서 협동의 진화는 분명 수수께끼입니다.사회자: ‘이기적 유전자’는 바로 이런 수수께끼를 ... ...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주기적 배열에 격자결함이 있는 결정 실존하는 결정은 모두 불완전하나 특히 불완전성이
큰
것을 가리켜 불완전결정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곤충의 변태 중에서 번데기 시기를 거치지 않는 것 하루살이·잠자리·메뚜기·바퀴·이 등 하등곤충류에서 많이 볼 수 있다 2중결합 또는 3중결합을 가진 ... ...
10억분의 1세계에서 반도체용 소자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생체분자가 단단하게 결합돼 있기 때문에 여기서 얻은 자료가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김 교수는“기초과학을 연구하는 것은 예측불가능 한 길을 가는 과정”이라며“상상력이 풍부한 젊은이들이 도전할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의 연구실에는 2명의 ... ...
2 이보다 더 얇고 가벼울 수 없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견뎌낼 수 있는 유기재료의 개발이 시급하다.하지만 현재 유기물 기판을 사용하는데
큰
걸림돌은 수분이나 산소 또는 자외선이다. 일반적으로 유기물은 공기, 물, 빛에 노출되면 화학적·광학적으로 변화한다. 이 점은 유기물을 이용한 시스템 개발에 장점이면서도 단점이기도 하다. 특히 수분과 ... ...
5 햇빛 받으면 전기 발생시키는 염료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따라서 이들 국가들은 고효율의 태양전지 개발과 저가의 태양전지 개발이라는 두가지
큰
목표를 가지고 연구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값비싼 재료를 사용하는 실리콘 또는 III-V족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는 고효율을 요구하는 특수목적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지만 저가의 보급형 태양전지의 개발은 ... ...
3 레이저빔 발사해 안개를 거둔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회항 또는 감속에 따른 연료와 시간 감축으로 경제적 파급효과가 크다. 미래에 보다
큰
전력을 얻을 수 있는 에너지원이 개발돼 좀더 싼값에 공급될 수 있다면 지속적인 안개소산이 가능할 것이다. 새로운 에너지원 개발이 근 미래에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므로 그 후에는 매우 경제성 있는 안개소산 ... ...
중금속 사냥에 나선 유전자변형 포플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확보하고 있다”며 “환경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기 때문에 이 분야는 머지 않아
큰
시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우리나라도 폐광지를 비롯, 오염도가 심해 정화가 필요한 곳이 상당하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몇몇 기업들이 관심을 보이고는 있지만 당장 수익을 기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 ...
제2회 닮고싶고되고싶은 과학기술인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한다.현재 오 교수는 한국물리학회에서 교육위원장을 맡고 있다. 과학 교육에
큰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잘못된 과학교육을 바로 잡는 일에 기여하는 것이 그의 꿈이다. 지금의 중·고등학교 물리 교과서는 엉망이라 전문가가 보더라도 이해하기 힘들다고 말하고는 무조건 ... ...
이전
931
932
933
934
935
936
937
938
9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