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축
구축
공사
건조
건립
설계
가설
d라이브러리
"
건설
"(으)로 총 1,955건 검색되었습니다.
녹둔도에 가고 싶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규명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중국은 동해 진출을 염원하며 두만강 하구에 새 항구를
건설
할 태세다. 남한과 북한을 잇는 경의선이 개통되고 경원선이 연장되면서 북한의 라진, 선봉을 거쳐 두만강 하구를 통해 러시아 연해주까지 철도가 연결될 것이기 때문이다. 녹둔도가 조선의 개척정신을 ... ...
3. 100m 달리는데 33초 이상 걸려야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곳에서 축구를 할 수 있을까.준결승전이 열린 축구장은 에로스의 사각형 크레이터에
건설
됐다. 이 소행성에는 우주를 떠돌던 암석 덩어리가 부딪쳐 만들어진 구덩이인 크레이터가 많다. 크레이터는 대개 원형인데, 사각형 크레이터는 상당히 특이하다. 사각형 크레이터 구장에는 ‘함부로 뛰거나 ... ...
LCD 월드컵에서는 한국이 우승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세계 최대 규모의 LG필립스 LCD공장이 경기도 파주에 준공됐다. 삼성전자가 충남 아산에
건설
한 공장에 이어 7세대 LCD공장으로는 2번째다. 우리나라가 세계 제1의 와이드 TV 생산국이 된 것이다.여의도에서 차를 타고 자유로를 따라 북쪽으로 50분 정도 가면 외벽이 바위로 된 성체가 보인다. 파주 ... ...
2. 거꾸로 휘는 바나나킥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조직위는 바람을 빼내 공기가 희박한 돔 축구장을 화성 표면에
건설
했다. 지구 대기보다 10만배 정도 희박한 조건이다. 돔 축구장은 화성에서 황사처럼 일어나는 모래바람을 막는데도 안성맞춤이었다.바나나킥을 즐겨하던 선수들은 화성 구장에서 지구와 반대로 휘는 공에 ... ...
태권V 광자력 빔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전송한 레이저 광선을 반사해 적에게 쪼이는 것이다. 물론 레이저 기지를 여러 곳에
건설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레이저 무기에서는 열 문제 또한 무시할 수 없다. 레이저를 생산하기 위해 공급된 에너지는 모두 레이저로 변환되지 않는다. 보통 변환효율은 10~40%이다. 예를 들어 수MW 출력의 레이저를 ... ...
우리 서로 조.용.히. 살아요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공동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현실에서 이제 ‘층간 소음’은 민감한 사회문제로 떠올랐다.
건설
교통부는 공동주택 관리규약에 층간 소음 규정을 넣도록 주택법 시행령을 개정해 지난 2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아파트에서는 소음을 내는 집에 자체 벌과금을 물릴 수 있다. 소음 문제를 ... ...
고성에서 날아온 '백악기 공원' 초대장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야생화가 어우러진 옥상정원은 에너지를 절약하는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국
건설
기술연구원에서 개발한 ‘역지붕형 녹화옥상시스템’을 적용한 우리나라 최초의 건물이다.녹화옥상시스템이라고 하면 옥상에 식물을 심고 꾸민 것인데 ‘역지붕’은 무슨 뜻일까? 보통 건물의 지붕은 ... ...
기획2. 컴퓨터 가르치며 내가 배운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퀴즈를 푸는 간접 테스트를 통해 이뤄진다. 코리를 잘 가르치면 암석을 받아 멋진 마을을
건설
할 수 있는 보상이 있고, 가르치는 학습자의 특성을 진단하며 학습자의 흥미와 인지상태를 고려한다는 점도 게임의 특성이다. 뇌와 심리, 컴퓨터가 만나야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높이는 차세대 ... ...
화성 궤도탐사선(MRO) 화성 궤도 진입 성공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1901년 상파울루 교외 9km 지점에 연구실과 박물관 · 부속병원이 300ha의 넓은 대지에
건설
되었다 단색광을 시료물질에 투사하여 그 시료가 흡수한 빛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분광측정이라고도 한다빛의 복사에너지의 상대량을 파장의 함수로 측정하므로 화학 분석에 응용될 뿐만 아니라 산 · 염기의 ... ...
기획1. 전파망원경으로 한반도 지각변동 잡아낸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아시아-오세아니아 권에서는 최초로 국제 GPS 관측망의 데이터센터로 출범했다.현재
건설
이 순조롭게 진행 중인 KVN이 GPS와 결합할 때 한반도 지각운동, 지구자전 등에 대해 초정밀 관측이 가능하다. 그러면 일상생활과 밀접한 차량항법, 측량, 지진 방재 등에 대한 연구능력도 한단계 향상될 전망이다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