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하
작은길
소로
cerro
d라이브러리
"
세로
"(으)로 총 1,339건 검색되었습니다.
18세기 최첨단 요새 수원 화성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쌓았지만 가로
세로
가 40~60cm 정도인 커다란 돌을 사용했다. 기존 성벽은 대개 가로가 60cm,
세로
가 20~30cm인 돌로 지었다. 돌을 적게 쓸수록 석성의 약점인 이음새가 적어진다. 또 층층이 쌓은 돌은 크기가 일정하지 않아 위아래로 들쭉날쭉하다. 하지만 이음새가 딱 들어맞도록 모서리를 가공하고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수의 균형을 맞춘다.“비장이 적혈구의 유연성을 판단하는 과정을 모방해 가로 2μm,
세로
2.2μm의 필터를 만들었습니다. 이 미세한 필터를 여러 개 연결한 뒤 그 사이를 통과하는 적혈구가 각 단계마다 얼마나 파괴되는지 측정해 건강한 사람의 적혈구와 비교하면 질병에 걸렸는지 진단할 수 있죠 ... ...
고흐에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건 바로 그림이었다’고 했지. 몸과 마음이 아파도 나처럼 어떤 일에 푹 빠져 집중하면
세로
토닌 같은 호르몬이 나와 고통을 줄여 준대. 그래서 인지 고통이 심할수록 더욱 그림에 몰두했단다. 어때, 그림을 찬찬히 보니 붓질이나 색깔 하나도 예사롭지 않지? 관심을 가지고 내 그림을 보면 더 많은 ... ...
과학뉴스 - 자격루 다시 태어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동료의 페로몬을 따라 한곳에 모이는 습성을 이용했어요. 그가 만든 로봇은 가로
세로
3㎝ 크기예요. 다른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페로몬을 풍겨서 바퀴벌레 무리를 이끌고 밝은 곳으로 가지요. 연구팀은 이 로봇을 이용해 곤충 집단을 조종하는 대장 로봇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 5 ... ...
착각하는 뇌 너 믿어도 되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0호
옷의 무늬나 모양에 따라 더 날씬하거나 뚱뚱해 보이기도 하잖아. 날씬해 보이고 싶다면
세로
선의 옷을 입어 봐. 시선을 끌어내려 더 크고 날씬해 보이는 착시를 일으킨단다.사랑은 착각?아프냐? 나도 아프다~!사랑하는 사람이 아프면 나도 아프다고? 정말? 영국 런던대학교의 신경과학자 타니아 싱어 ... ...
헬리콥터 100년史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구별하기 위해서 모피질(毛皮質)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피질은 피브릴(fibril)이
세로
로 집합하여 된 피브릴속(束)으로 되어 있다 피브릴과 피브릴 사이에는 세포간질(細胞間質)이라고 하는 접합물질이 존재한다 양모(羊毛)의 피질에는 황(黃)의 함량이 다르고 화학반응성도 서로 다른 2종의 조직인 ... ...
차세대 초대형 여객기 A380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최대 해상도 6백40×2백에서 16색을 사용할 수 있다문자를 나타내는데 필요한 가로
세로
도트의 수를 말한다 CGA의 경우 8×8을 사용하며, VGA는 8×16을 사용한다픽셀의 크기 대개 작은 도트 피치를 가진 모니터의 해상도와 선명도가 훨씬 앞선다최대 6백40×3백50해상도에서 64가지 컬러 팔레트를 사용한다 ... ...
'특별한 가족'을 맞이한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탈피는 단순하며 대개는 잠자리나 매미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가슴과 등부의 중앙이
세로
로 갈라지고 성충제가 탈출한다인간과 기계와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하여 생겨난 학문 HE라고 약칭하기도 하고 에르고노믹스(ergonomics)라고도 한다 인간과 기계의 관계를 따로 떼어 놓을 수 없는 하나의 계 ... ...
바퀴벌레 없애는 로봇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페로몬을 따라 한곳에 모이는 습성이 있다는 사실에 착안했다.할로이 교수가 만든 가로,
세로
3cm 크기의 바퀴벌레 퇴치로봇은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페로몬을 주변으로 풍긴다. 이 로봇은 센서를 달아 밝은 곳을 스스로 찾아가도록 만들었기 때문에 이 로봇을 따라 모여든 바퀴벌레는 자연스럽게 ... ...
주사기여 안녕~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고통 없이 전달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미국 MIT의 로버트 랭거 교수는 1999년 가로
세로
수cm 크기의 칩에 수십μm 크기의 우물을 수없이 만들고, 여기에 약물을 담은 뒤 금 막으로 코팅한 인체삽입형 약물전달시스템을 개발했다. 전기신호로 금 막을 파괴해 몸 안에 약물을 방출하는 원리다.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